[보도] 목숨 바쳐 나라 지켰지만... 돌아온 건 ‘평생 고통’뿐

[보도] 목숨 바쳐 나라 지켰지만... 돌아온 건 ‘평생 고통’뿐

공지사항

[보도] 목숨 바쳐 나라 지켰지만... 돌아온 건 ‘평생 고통’뿐

3 993 06.08 10:13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목숨 바쳐 나라 지켰지만... 돌아온 건 ‘평생 고통’뿐 [잊지 않겠습니다 ‘호국영웅’]
승인 2023-06-08 05:00
이연우 기자 27yw@kyeonggi.com

전쟁 끝났지만 질병·장애 얻어, 취업은커녕... 결혼 꿈도 못꿔
도내 ‘독거유공자’ 2만명 넘어 의료비 등 실질적 지원 ‘미흡’...“실태파악 등 시스템구축 절실”


월남전 참전용사 조광현씨는 “고엽제 후유증과 각종 후천적 장애로 인한 신체적 아픔보다 사회적 무관심이 더 힘이 든다”고 말했다. 사진은 오산시 내삼미로 자택에서 홀로 살고 있는 조 씨와 참전유공자증서 및 국가유공자증서. 조주현기자

“먹는 약이 늘어간다고 푸념하며 혼자 살던 형님이 어느 날 보니 없어. 당장이라도 나라가 당신을 찾으면 목숨 바치겠다던 노인네가 그렇게 외롭게 간 거지.”

현충일을 앞둔 지난 5일 경기일보와 만난 ‘월남전 참전용사’ 조광현씨(76)는 전우(戰友) ‘박씨 형님’을 회상했다. 이들은 20대 초반 해병대 청룡부대 소속으로 베트남 전장에서 살아남았다.

조씨는 “숱한 생사의 고비를 이겨내고 귀국했는데 뒤늦게 들은 박씨 형님의 사정이 녹록지 않았다”고 입을 뗐다. 박씨는 전쟁 여파로 각종 질병과 질환을 얻은 데다 경제적 사정이 어려워 취업도, 결혼도 못했다고 했다. 심지어 부모마저 어린 나이에 여의었던 만큼, ‘형님’은 외로움과 우울증에 시달리다 결국 15년 전 쓸쓸히 홀로 눈을 감았다고 전했다.

“이런 게 남 일만은 아니다”라고 응어리를 풀어내던 조씨는 “내 삶도 같다”고 말했다. 그 역시 고엽제 후유증과 각종 후천적 장애 등으로 고단한 삶을 보냈다.

하지만 그는 “정작 힘든 건 신체적 아픔이 아닌 사회적 무관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독거 유공자를 돕기 위한 지원 서비스가 있는지도 모른 채 혼자 초라한 마지막을 맞는 이들이 지금도 주변에 많다”며 “평생 남은 건 집 현관문에 ‘국가유공자’라는 명패와 훈장뿐”이라고 읊조렸다.

조씨와 같은 ‘독거 국가유공자’를 돕기 위해 정부가 각종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정작 의료 서비스와 같은 현실적인 지원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박씨 형님’처럼 국가유공자였지만 숨진 후 ‘무연고자’로 처리되는 안타까운 상황도 있다. 2018년부터 지난해 8월까지 전국에서 숨진 국가유공자 중 49명이 무연고자로 처리돼 지방자치단체 창고나 서고 등에 유해가 보관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된 바 있다.

7일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독거 국가유공자는 총 11만688명으로, 경기지역에선 2만2천282명(20.13%)으로 집계됐다. 인천에도 4천792명(4.32%)이 살고 있지만 일반적 통계만 파악되는 수준이다.

정부는 이들을 위해 △보행차 등 생활지원용품 지급 △보훈회관 등 여가활동 지원 △보훈 공무원 파견 및 민원 접수 지원 등에 나서고 있지만 이들이 처한 현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지방자치단체 간 정보 공유도 아직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서다.

따라서 혼자 남은 국가유공자가 쓸쓸히 생을 마감하지 않도록 제도적 개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국사모) 노용환  대표는 “나이가 들고 혼자 사는 독거 국가유공자는 사회의 무관심에 놓여 있다. 국가보훈처가 국가보훈부로 승격된 마당에 ‘의지’만 가지면 실태파악 등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 지자체가 독거 국가유공자를 위한 적극적 의지를 보여주는 세심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경기일보 :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30607580286


Comments

파괴마왕 06.09 23:00
국가유공자선배님들의 희생을 헛되이 하지 않도록 예우를 다해주세요. 보훈부 제발..
왜 무관심하고 방치하려고 합니까..왜 이런분들 글을 이런 기사로 접해야합니까.. ..
독거 국가유공자어르신들을 방치하며 고독사하길 바라고있는게 아닐꺼라 생각합니다..
조금만 더 멀리보고 조금만 더 눈길을 돌려보며 찾아나서서
소외된 국가유공자분들 찾아가는 보훈섬김활동 부탁드립니다.. 보훈부.. 일좀해주세요.
지우지우 06.11 09:53
동갑입니다 위에 글 자유게시판에 올렸습니다
지우지우 06.11 09:52
동감입니다  저가 위에 자유게시판에 글 남겼습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023년 보훈지원] 2023년 대상분류별 국가유공자 참전 보훈대상자등 보훈지원 안내자료 2021.03.28 16398 0
[2023년_보훈급여금_월지급액표_전체대상자] 국가유공자 상이군경 참전 고엽제 보훈보상 유족 … 2022.12.24 22234 2
[공지]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 국사모 보훈정책공약 주요핵심요구안 댓글+11 2021.10.15 12301 0
[2007년 성명서] 보훈보상금 인상과 7급 보상금의 불합리성에 대해 댓글+124 2007.03.04 34135 5
[공지] 신체검사,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등록 상담안내 댓글+4 2014.03.03 16220 1
1522 [공지] 최고의 보상과 예우를 담은 2024년 보훈예산이 편성되도록 요청합니다. 09.22 334 0
1521 [영상] "프랭크 카프리오 판사"의 국가유공자에 대한 놀라운 판결 댓글+4 09.22 269 1
1520 [보도] 세계 상이군인들의 축제 ‘인빅터스 게임 2023’ 폐막…한국 선수단 금5 은2 동1 … 댓글+3 09.20 278 1
1519 [공지] 국가유공자 등, 추석 앞두고 받을 수 있는 '명절 지원금' 대상 및 신청 방법 댓글+5 09.17 2393 0
1518 [보도] 못난 정부가 90대 6.25참전용사를 범죄자로 내모는 현실 댓글+1 09.16 427 1
1517 [통계] 최근 20여년간 상이군경 국가유공자 보훈보상금, 참전명예수당 인상율 추이 댓글+1 09.16 866 0
1516 [2024년_보훈급여금_월지급액표(안)] 국가유공자 상이군경 참전유공자 유족 댓글+9 09.13 25244 1
1515 [보도] 장애가 장애물 아닌 대회…영국 해리 왕자, 나형윤 선수 언급도 09.11 288 0
1514 [정책포럼] 경제적 보상 강화를 위해 국가유공자의 소득보장제도 도입 필요 09.11 747 0
1513 [정책포럼] 국가유공자의 사회적 지위를 보장하는 수준으로 보상이 이루어져야 댓글+6 09.11 1115 0
1512 [정책포럼] 이제는 세계 10위 경제대국에 걸맞는 예우 필요 09.10 487 0
1511 [정책포럼] 국가보훈은 유공자의 공헌과 희생에 합당하게 항상 넘쳐야.. 09.10 472 0
1510 [정책포럼] 2024년부터 충남 모든 지자체, 참전명예수당 43만원+α 지급 09.10 503 0
1509 [정책포럼] 참전유공자 예우 어떻게 개선할것인가? 지자체 보훈참전수당 09.08 575 0
1508 [공지] 국사모 공식 블로그 누적방문자 200만명 달성 안내 댓글+22 09.02 1244 0
1507 [2024년 보훈예산안 개요] 국가보훈부, 2024년 예산안 6조 3,948억원 편성 댓글+18 08.29 5043 1
1506 [예산안] 2024년 보훈예산안 발표, 보훈보상금 평균 5%, 상이7급 7% 인상 등 댓글+23 08.29 6674 1
1505 [보도] 국가보훈부, ‘국가유공자 우선 주차구역’ 전국 확대 본격 시동 댓글+7 08.28 4397 1
1504 [공지] 2024년도 예산안 관련 당정협의회. 일류보훈 뒷받침하겠다. (2023.8.23) 댓글+2 08.24 1857 0
1503 [공지] 윤석열 대통령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사 댓글+3 08.15 854 0
1502 [행정안전부] 제6호 태풍 '카눈' 이렇게 대비해주세요. 08.09 324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