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보훈수당의 이중지급금지 규정 하루빨리 재검토하여 참전 국가유공자 지원을 강화해야

[정책] 보훈수당의 이중지급금지 규정 하루빨리 재검토하여 참전 국가유공자 지원을 강화해야

공지사항

[정책] 보훈수당의 이중지급금지 규정 하루빨리 재검토하여 참전 국가유공자 지원을 강화해야

1 4,592 2023.03.31 14:37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보훈수당 이중지급금지 규정 재검토 통해 보훈대상자 지원 강화해야

- 보훈 수당 대상자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연로한 유공자에 대한 보상 강화 필요성 더욱 증가
- 이 의원 “참전명예수당·무공영예수당 이중지급금지 규정 검토 통해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호국영웅에 대한 지원 강화 필요”

국민의힘 이종배 의원(충북 충주)은 28일, 국가보훈처를 통해 보훈 수당 지급 대상자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이중지급대상자에 해당하여 수당을 지급 받지 못하는 인원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 보훈 수당 이중지급금지 규정을 폐지해 보훈 대상자 지원 강화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종배 의원이 국가보훈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참전명예수당*의 경우 2018년 지급인원이 205,896명이었으나 2022년에는 146,932명으로 감소해 지급 인원이 4년 전보다 약 25% 감소했음을 확인하였다. 또 무공영예수당**의 경우 2018년 16,227명이었던 지급 인원이 2022년에는 10,750명으로 줄어 약 35%의 감소율을 보였다.

*참전명예수당 : 참전유공자 등록자 중 65세 이상에 지급하는 수당
**무공영예수당 : 무공수훈자 중 60세 이상에 지급하는 수당



보훈보상금***과 무공영예수당은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국가유공자법’) 제12조 및 제16조의2를 근거로, 참전 명예수당은 「참전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이하 ‘참전유공자법’) 제6조를 근거로 대상자에게 지급되고 있다.
***보훈보상금 : 국가 수호 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중 부상을 입거나 사망한 군인이나 경찰, 소방 공무원 등에 지급하는 수당

무공영예수당의 경우 국가유공자법 제16조의2 제1항 단서에 따라, 참전명예수당의 경우 참전유공자법 제6조 제1항 단서에 따라 국가유공자법상의 보훈보상금 기(旣) 지급 대상자에 대해서는 이중지급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참전명예수당과 무공영예수당 대상자는 계속해서 감소하는 만큼 연로한 참전명예수당과 무공영예수당 대상자를 확대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참전유공자법 상의 이중지급금지규정을 합헌으로 판단한 “헌재 2010.2.25. 선고 2007헌마102” 결정문을 살펴보면 ‘국가의 재정여건이 허락하여 모든 참전유공자에게 참전명예수당을 지급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겠지만, 이것이 어렵다면 입법자로서는 국가예산 내지 보상능력, 그 입법목적, 수혜자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스스로 합당하다고 판단하는 범위로 그 대상을 정할 재량이 있다고 할 것이다’라고 적시하고 있다. 즉, 국가의 예산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는 국가 재량에 의해 수혜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종배 의원이 국가보훈처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보훈보상금 중복인원 현황>에 따르면 ‘22년 보훈보상금 대상자에 해당하여 참전명예수당을 받지 못한 인원이 54,889명, 무공영예수당을 받지 못한 인원이 4,419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중복대상자에 해당하여 보상금을 수령 하지 못하는 인원이 매년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보훈처는 증가 원인을 만65세 이상, 만60세 이상으로 각각 규정되어 있는 연령 기준을 충족시키는 유공자 증가로 꼽았다.



이 의원은 “작년 윤석열 정부에서 보훈 관련 수당을 획기적으로 인상하고 국가보훈처를 국가보훈부로 승격시킨 만큼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분들의 존중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충분히 형성되었다”라며, “참전명예수당과 무공영예수당에 대한 이중지급금지 규정폐지를 위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호국영웅들에 대한 예우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Comments

금빛바다 2023.04.01 16:59
무공영예수당 유공자 본인들도 많이 돌아가시고 그 유족들도 고령인데 몇 년 마다 잠깐 얘기 꺼내다 말고 뭐하는 짓인지? 국개 놈들은 지들 복지는 발의하면 바로 통과인데 이 잡것들이 이벤트용으로 립서비스만 해대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0 2024.10.05 39252 0
[보훈지원] 2024년 대상분류별 국가유공자 참전 보훈대상자등 보훈지원 안내자료 2021.03.28 26464 2
[공지]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 국사모 보훈정책공약 주요핵심요구안 댓글+12 2021.10.15 15561 1
[공지] 신체검사,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등록 상담안내 댓글+4 2014.03.03 21685 1
1721 [유튜브] 월남참전 노병의 마지막 소원. 미지급 전투수당 지급. 그리고... 05.07 290 0
1720 [공지] ‘호국보훈의 달’ 보훈대상자 무료 건강검진 실시 (5.1~) 05.06 649 0
1719 [국회] 정무위 국가보훈부 소관,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993억4,200만원 증액 통과 댓글+1 04.29 1111 0
1718 [보훈부] 국가유공자 ‘공설 화장시설 이용요금 면제’ 혜택 서류 간소화 댓글+3 04.27 689 0
1717 [정책] 김성태 구리시의원, “국가유공자 마을버스 무료 이용 지원 필요” 04.25 420 0
1716 [국회] 2025년 보훈보상 정책포럼, 국가책임과 보훈보상제도 발전 방향 (2025.03.19… 댓글+1 04.24 748 0
1715 [보훈부] ‘국가보훈대상자 주택우선공급 온라인 지원시스템’ 구축 추진 댓글+2 04.21 792 0
1714 [공지] 상이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등 보철차량의 "민자 유료도로" 통행료 유의 안내 댓글+1 04.20 967 2
1713 [공지] 2025년 1학기 보훈가족장학 신청 안내 (~4.30) 04.17 479 0
1712 [공지] 포스코1%나눔재단의 국가유공자 첨단보조기구 지원 안내 04.17 396 0
1711 [제10회 서해수호의 날] 국가를 위한 희생을 끝까지 책임지고 지원하는 보훈 천명 03.29 438 0
1710 [정책] 국민의힘 주요 보훈정책 추진, 위탁병원 전국 1차 의원급 확대, 참전 배우자 생계지원… 댓글+4 03.27 1696 1
1709 [국회] 정무위, 참전수당 월 5만원 추가 인상, 독거유공자 장례서비스, 지자체 보훈참전당 03.02 1365 0
1708 [보훈부] 2025년 1월 기준, 전국 243개 지자체 참전수당 지급 현황 공개 댓글+3 02.17 2873 0
1707 [보훈부] 저소득 보훈대상자 모두에게 생활조정수당 등 지급, 4월부터 시행 댓글+5 01.21 4178 2
1706 [신년인사] 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를 맞이하여 호국영웅들께 드리는 글 댓글+9 01.02 1707 0
1705 [김포시의회] 국기계양대 태극기 보시면 국가의 자부심과 애국심이 고취됩니까? 댓글+1 2024.12.27 1251 0
1704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0 2024.10.05 39252 0
1703 [보훈참전수당] 의왕시 한채훈 의원, 지자체 상향평준화 위한 국가보훈기본법 개정 촉구 2024.12.05 1550 2
1702 [국회 예산심사회의록] 제복근무자 관련예산, 국가보훈부 관할이 맞는것인가? 댓글+3 2024.11.26 1493 1
1701 [국회 예산심사회의록] 참전명예수당, 무공영예수당 추가 월2만원 증액의견 2024.11.26 1223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