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휴정보] 고엽제 당뇨합병증, 당뇨망막병증, 알기쉬운 보훈의료정보, 전문의가 알려드립니다.

[제휴정보] 고엽제 당뇨합병증, 당뇨망막병증, 알기쉬운 보훈의료정보, 전문의가 알려드립니다.

공지사항

[제휴정보] 고엽제 당뇨합병증, 당뇨망막병증, 알기쉬운 보훈의료정보, 전문의가 알려드립니다.

0 2,081 2022.11.28 16:25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고엽제 당뇨 합병증, 당뇨망막병증, 당뇨망막증, 알기쉽게 풀어보는 보훈의료정보, 눈에 나타나는 당뇨합병증. 전문의가 알려드립니다.

국사모 의료자문 및 협력기관
국가보훈처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국가보훈대상자 국비지원 위탁병원
여의도 JC빛소망안과 · 내과

당뇨망막병증에 대해 OX퀴즈로 알아봅시다.

< JC빛소망안과 소개 >
⏰ 예약 및 상담문의는 http://www.jceye.co.kr
▶▶ 안과 상담 및 예약 : 02-785-1068
▶▶ 내과 건강검진 상담 및 예약 : 070-5145-2509

< OX퀴즈 당뇨망막편 >

1. 당뇨가 있으면 무조건 당뇨망막증이 생긴다? - X
당뇨병 경력이 30년 또는 그 이상인 환자의 약 90%에게서 발생하며, 15년 전후일 경우에는 발병률이 약 60~70%에 이릅니다. 혈당 조절이 잘 안되는 경우 더욱 잘 발생합니다.

2. 당뇨망막증은 예방이 가능하다? O
당뇨망막병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원인 질환 치료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당뇨망막병증의 발생은 혈당치보다 당뇨병을 앓았던 기간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 혈당을 엄격하게 조절할 경우 당뇨망막병증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고, 그 정도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당뇨병의 초기에 혈당을 조절하는 것이 당뇨망막병증의 빈도를 줄이는 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당뇨병 환자는 혈청 지질이 증가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지질 이상은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을 조장하여 당뇨망막병증의 미세혈관 변화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혈청 지질을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혈압을 조절하거나 흡연을 하는 경우에는 금연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당뇨망막증 자가진단이 가능하다? X
초기에는 망막병증이 있으면서도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기적인 안과 진찰이 중요합니다.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황반부 망막이 붓는 황반 부종은 심각한 시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이 많이 진행되었다고 하더라도 황반부에 장애가 없다면 좋은 시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벼운 당뇨망막병증에서도 황반 부종이 발생하면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력은 당뇨망막병증의 정도를 파악하는 지표로 삼을 수 없습니다.
당뇨병을 진단받은 경우 증상 유무에 상관없이 정기 검진과 추적 관찰이 중요합니다.

4. 눈이 뻑뻑하고 통증이 있으면 당뇨망막이다? - X
초기 당뇨망막병증의 경우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비문증(눈앞에 먼지나 벌레 같은 것들이 떠다니는 것처럼 느끼는 증상), 광시증, 변시증(사물이 비뚤어져 보이는 증상), 시야 흐림, 야간 시력 저하, 독서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당뇨망막증은 약물치료로만 가능한가? - X. 
일단 발생한 망막병증, 특히 증식성 망막병증에 대해서는 레이저 광선을 이용한 '광응고 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에 이를 잘 치료하면 실명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습니다.
한편 초자체의 출혈이나 망막의 박리 등으로 시력이 더욱 저하된 경우에는 초자체 제거술과 같은 외과적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안구내 항체주사 요법으로 혈관 증식을 억제하고 황반 부종을 더욱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있습니다.

< JC빛소망안과가 다른이유?>
1. 경험이 풍부한 망막전문의 상주
2. 대학병원 수준 최첨단 검사장비
3. 클린룸 시스템(무균시스템 99.9%) - 주사치료가능
4. 당일 검사 당일 치료 지향

★국가보훈처 지정 보훈위탁병원인 JC빛소망안과에서는
보훈병원과 똑같이 환자본인부담금(급여부분)없이 진료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보훈대상자들을 대상으로 비급여 치료부분에 대해서도 할인혜택을 드리고 있습니다.

< 진료과목 >
노안, 백내장, 녹내장, 망막, 황반변성, 시력교정술(라식, 라섹, 렌즈삽입술), 눈물질환, 건성안클리닉, 각막이식, 외안부질환

< JC빛소망안과 협약 할인안내 >
1. 안종합 검사〔안압검사, 시력검사, 광각안저촬영, 사시검사, 망막CT(시신경,황반부), 각막 내피세포 검사, 원추각막, 녹내장검사〕 비급여부분 할인
2. 안압검사, 결막염/각막염검사, 백내장 검사 내원 시 검사비 8만원 -> 1만원
3. 라식라섹 30~40% 할인
4. 안과 비급여 진료 시 20% 할인 (비급여 할인적용 안내)
5. 내과 건강검진 중
- 경동맥 초음파 6->4만원
- 갑상선 초음파 8->6만원
- 복부 초음파 10->8만원
- 위 내시경 수면비용 7->5만원
- 대장내시경 수면비용 9->7만원
* 국비지원대상자도 비급여 할인 동일적용
* 혜택은 의료법에 위배되지 않는 비급여에 한함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19 2024.10.05 38318 0
[보훈지원] 2024년 대상분류별 국가유공자 참전 보훈대상자등 보훈지원 안내자료 2021.03.28 26284 2
[공지]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 국사모 보훈정책공약 주요핵심요구안 댓글+12 2021.10.15 15403 1
[공지] 신체검사,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등록 상담안내 댓글+4 2014.03.03 21305 1
1711 [제10회 서해수호의 날] 국가를 위한 희생을 끝까지 책임지고 지원하는 보훈 천명 03.29 266 0
1710 [정책] 국민의힘 주요 보훈정책 추진, 위탁병원 전국 1차 의원급 확대, 참전 배우자 생계지원… 댓글+4 03.27 1152 0
1709 [국회] 정무위, 참전수당 월 5만원 추가 인상, 독거유공자 장례서비스, 지자체 보훈참전당 03.02 1158 0
1708 [보훈부] 2025년 1월 기준, 전국 243개 지자체 참전수당 지급 현황 공개 댓글+3 02.17 2473 0
1707 [보훈부] 저소득 보훈대상자 모두에게 생활조정수당 등 지급, 4월부터 시행 댓글+5 01.21 3700 2
1706 [신년인사] 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를 맞이하여 호국영웅들께 드리는 글 댓글+9 01.02 1568 0
1705 [김포시의회] 국기계양대 태극기 보시면 국가의 자부심과 애국심이 고취됩니까? 댓글+1 2024.12.27 1118 0
1704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19 2024.10.05 38318 0
1703 [보훈참전수당] 의왕시 한채훈 의원, 지자체 상향평준화 위한 국가보훈기본법 개정 촉구 2024.12.05 1430 2
1702 [국회 예산심사회의록] 제복근무자 관련예산, 국가보훈부 관할이 맞는것인가? 댓글+3 2024.11.26 1391 1
1701 [국회 예산심사회의록] 참전명예수당, 무공영예수당 추가 월2만원 증액의견 2024.11.26 1134 0
1700 [보도자료] 피 흘린 헌신에도 한숨짓는 참전용사들 댓글+2 2024.11.26 2496 1
1699 [보도자료] “내년 50% 인상한다지만”…경기도 참전명예수당, 여전히 적어 댓글+1 2024.11.26 2469 0
1698 [국회 예산심사회의록] 국가유공자 생활조정수당, 생활지원금, 6.25제적자녀 가산금 증액 의견 2024.11.25 1329 0
1697 [국회 예산심사회의록] 이희완 차관, 재해부상은 전투와 관련없고 상이7급은 미약한 부상이다. 댓글+13 2024.11.25 4046 1
1696 [보훈부 브리핑] 보훈보상금 지속적 인상, 참전명예수당 역대정부 최고수준 인상 2024.11.18 4346 0
1695 [국회] 국가보훈부 2025년 보훈예산안 상정, 총 6조3561억, 보상금 5%인상 댓글+6 2024.11.12 4821 0
1694 [보훈부] 2025년부터 보훈대상자 자녀 취업 지원 39세까지 확대 2024.11.05 2577 0
1693 [2024 국정감사] 보훈의료 진료비 부족으로 보훈보상금 참전명예수당 예산 500억 전용 2024.10.30 1639 0
1692 [2024 국정감사] 국립묘지 현충원 호국원 안장여력 대책마련, 보훈 위탁병원 시스템 개선 2024.10.30 1067 0
1691 [2024 국정감사] 참전 국가유공자 매년 1만명 이상 사망, 보상금예산은 오히려 줄어 2024.10.29 1375 1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