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국민권익위, “군인 2,048명 유가족 찾아 전사·순직 결정 통보해야”

[보도] 국민권익위, “군인 2,048명 유가족 찾아 전사·순직 결정 통보해야”

공지사항


[보도] 국민권익위, “군인 2,048명 유가족 찾아 전사·순직 결정 통보해야”

1 2,380 2021.04.02 10:08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국민권익위, “군인 2,048명 유가족 찾아 전사·순직 결정 통보해야”

2021. 3. 29.(월)

- 군복무 중 눈감은 가족 기다리는 아픔과 상처 마지막 하나까지 어루만져줘야 -

□ 가족에게 정확한 사망 이유조차 알리지 못한 채 전사·순직한 군인 2,048명의 유가족을 찾아 조속히 전사 또는 순직결정을 통보하라는 권고가 나왔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순직 결정을 해놓고 이를 알려주지 않은 것은 부당하다’라는 민원을 조사하던 중 이와 같은 사례가 더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군인 2,048명의 유가족을 찾아 전사·순직 결정을 통보할 것을 육군에 권고했다.



□ 군복무 중 사망한 군인은 그 원인이 공무와 관련되면 전사 또는 순직, 단순 사망일 경우 병사 또는 변사로 처리된다.
 
그러나 과거 6·25전쟁 등으로 인해 사망구분에 대한 심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전투나 공무 중 사망했어도 단순 변·병사로 처리된 경우가 많았다. 이에 육군은 1995년부터 1997년까지 병·변사자 순직 재심의를 실시해 9,756명을 전사 또는 순직으로 처리했다.
 
□ 문제는 이 재심의 결과가 25년이 넘도록 유가족에게 통지되지 않은 사례가 2,048건에 달한다는 점이다.
 
고 정OO 상병도 1996년 재심의를 통해 순직 결정을 받았지만 육군은 2007년까지 이를 유가족에게 알리지 않았다.
 
정 상병의 순직이 유가족에게 통보된 것은 그의 어머니가 사망한 지 넉 달 후였다. 11년만의 통보로 인해 정 상병의 어머니는 군복무 중 알 수 없는 이유로 병사한 아들이 사실 순직했다는 사실을 끝내 알지 못하고 눈을 감았다.
 
육군은 정 상병의 순직을 뒤늦게 통보한 이유에 대해 “정 상병 가족의 주소 불명확, 행정구역 변경 등으로 신속히 통보하는 데에 어려움이 많았다.”라고 했다.
 
그러나 국민권익위의 확인 결과, 정 상병의 군복무 기록에는 유가족의 주소가 정확히 기재돼 있었고 정 상병의 어머니는 2006년 사망 당시까지 아들을 기리며 같은 주소지에서 평생을 거주했다. 지금도 해당 주소지에는 정상병의 가족들이 살고 있다.
 
□ 국민권익위는 육군에 유가족을 찾아 조속히 전사·순직 사실을 통보할 것을 권고하는 한편 유사한 사례들과 관련 문제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전사·순직 미통보자 2,048명이라는 숫자에는 6·25참전용사 아들을 가슴에 묻은 독립유공자 어머니부터 고지전 중 전사한 젊은 하사관까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과 아직도 군복무 중 세상을 떠난 가족을 기다리는 2,048개의 아픔과 그리움이 서려있었다. (붙임 사례 참조)
 
□ 또한 국민권익위는 유가족에게 전사·순직이 통지되지 않은 2,048명의 국가유공자 등록을 위한 전사·순직 통보 등의 협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개선이 필요한 상황임을 확인했다.
 
전사·순직 재분류자 명단을 국가보훈처에 통보했다는 육군과 명단을 받은 사실이 없다는 국가보훈처의 주장이 서로 엇갈리는 와중에 나라 위해 목숨 바친 전사·순직군인들이 호국하고도 보훈 받지 못한 세월이 25년이 지나고 있는 것이다.
 
□ 육군은 지난 2월 25일 위 사례들과 같은 전사·순직 미통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권익위의 권고에 따라 유가족을 다시 찾겠다고 밝혔다.
 
행정관서에 전사·순직자 명부를 비치한 후 행정관서별로 자체적인 유가족 찾기를 실시하면 육군은 그 결과를 접수해 유가족에게 통보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이 계획은 2000년대의 유가족 찾기 운동을 그대로 따른 것이라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국민권익위 안준호 고충처리국장은 “순직군인의 유가족을 찾는 것은 나라를 위해 젊은 목숨을 바친 이들과 그 유족의 명예를 회복해 주는 일이자 국가의 당연한 책무이다. 국민권익위는 앞으로 국방부, 국가보훈처 등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조해 아직 전사·순직 통보를 받지 못한 군인 2,048명의 유가족을 찾고 그들을 예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다.”라고 했다.



< 독립유공자 어머니가 가슴에 묻은 6·25참전용사 아들 >

고(故) 현종석 이등중사는 6·25전쟁 중 복부에 관통 총상을 입고 전사했다. 그런데 현중사의 군복무 기록(사진 오른쪽)에는 주소가 “남제주 성산읍”이라고만 기재돼 있어 유가족을 찾을 수 없었다.

국민권익위는 현씨 문중 족보 등을 확인해 마침내 그의 유가족을 찾았다. 현중사를 길러 주신 어머니는 2013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은 독립유공자 고(故) 탁명숙 선생(사진 왼쪽)이었다.

탁명숙 선생의 큰 손자이자 현중사의 조카인 강태용씨는 “할머니께서는 삼촌을 친 자식처럼 아끼셨다. 할머니께서 생전 군에 갔다 돌아가신 삼촌을 생각하며 늘 마음아파 하시던 모습과 매년 삼촌을 모신 충혼묘지에 함께 참배하러 갔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삼촌이 돌아가신 지 꼬박 70년이 흐른 오늘에야 국민권익위로부터 삼촌이 병사(病死)한 것이 아니라 전사(戰死)하셨다는 사실을 듣게 됐다. 그래도 이것으로 삼촌의 넋이 조금이나마 위로받길 바란다.”라며 눈물을 보였다.

치열한 고지전 선봉에 선 박종기 하사, 70년 째 가족에게 닿지 못한 그의 전사 통지

고(故) 박종기 하사는 충청남도 논산군 은진면에서 출생했다. 그는 6·25전쟁 발발로 조국이 위기에 처하자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지 위해 학업과 생업을 중단하고 국군에 입대, 하사관 양성교육을 이수한 후 제21사단 제63연대에 배속됐다.

박종기 하사가 강원도 38도선 일대에서 고지쟁탈전을 수행할 무렵 판문점에서는 군사분계선 설정 문제와 포로송환 방법을 둘러싸고 휴전회담이 전개되고 있었다. 양측은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상대방에게 군사적 압력을 가하는 한편, 장차 휴전협정이 체결될 경우 유리한 방어선을 확보할 목적으로 고지쟁탈전에 집중했다.

박종기 하사는 적에 맞서 용전분투하다가 1953년 6월 11일 꽃다운 청춘을 남겨둔 채 고성지구전투에서 전사했다. 정부는 호국의 별이 된 고(故) 박종기 하사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기 위해 그의 위패를 대전현충원에 모시고, 전쟁기념관 전사자명비에 그의 이름을 새겨 명복을 빌고 있다. 그러나 그의 전사 통지는 7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가족들에게 닿지 못하고 있다.

※ 내용문의 국민권익위원회 국방보훈민원과
과장 이진석 ☏ 044-200-7361
주무관 김보배 ☏ 044-200-7368


Comments

영진 2021.04.06 13:33
고인 의 명복빕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0 2024.10.05 50755 0
[보훈지원] 2024년 대상분류별 국가유공자 참전 보훈대상자등 보훈지원 안내자료 2021.03.28 27976 2
[공지]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 국사모 보훈정책공약 주요핵심요구안 댓글+12 2021.10.15 16991 1
[공지] 신체검사,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등록 상담안내 댓글+4 2014.03.03 24399 1
1789 [유튜브] 미국 재향군인의 날, 미국 참전용사를 맞이하는 오바마 "희생에 감사" 댓글+2 11.13 298 0
1788 [국회] 정무위, 2026년 보훈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검토보고 요약 11.12 767 0
1787 [국회] 강민국 의원, 강윤진 보훈부 차관! 스스로 사퇴해야 되는 거 아닌가? 11.11 433 0
1786 [권익위] 지원공상군경 등 보훈수당 지급 관련 사각지대 해소 권고 댓글+2 11.07 1085 1
1785 [종합감사] 나형윤 예비역 중사, 국가를 위한 희생 상을 원한것이 아닌 합당한 대우를 바라는것 10.31 1048 1
1784 [종합감사] 부승찬 의원, 국가가 책임지는 모습 보여야, 참전명예수당 월100만원 수준으로 10.30 624 0
1783 [종합감사] 허영 의원, 미혼 순직전사자 국립묘지 부모합장 가능해야 10.30 351 0
1782 [종합감사] 이양수 의원, 월남참전제복 15%(11,800명) 미지급 10.29 388 0
1781 [종합감사] 이헌승 의원, 참전유공자 배우자 생계지원금 신설은 보여주기식 행정 10.29 366 0
1780 [종합감사] 유영하 의원, 국립묘지 유골함 침수(결로 물고임) 대책마련 하라 10.28 358 0
1779 [국정감사] 이인영 의원, 보훈부의 가혹한 보훈관련 소송관행 혁파해야 10.23 592 0
1778 [국정감사] 이양수 의원, 보훈급여금을 1969년부터 무려 46년5개월간 부정수급 10.23 874 0
1777 [국정감사] 이헌승 의원, 5년간 보훈급여 519건 약 47억원 규모의 부정 수급 적발 10.22 634 0
1776 [공지] ‘국가보훈장해진단서’ 발급병원 내년부터 140곳으로 확대 댓글+4 10.22 823 1
1775 [국정감사] 이정문 의원, 방탄소년단 RM 기부금 1억을 참전유공자를 위해 사용 못한다 댓글+1 10.22 368 0
1774 [국정감사] 김재섭 의원, 보훈돌 집행예산 4억4천 누구를 위한 사업인가? 10.21 415 0
1773 [국정감사] 윤한홍 위원장, 국가보훈은 좌우 이념에 휘둘리지 말아야 댓글+1 10.20 533 0
1772 [국정감사] 강민국 의원, 권오을 보훈부 장관 취임후 세종청사 근무일수 10일 10.20 429 0
1771 [국정감사] 이인영 의원, 국가유공자 긴급대부지원 현실성 떨어져 개선필요 10.19 601 0
1770 [국정감사] 김상훈 의원, 취업지원제도 개선, 참전명예수당 월50만원 인상 무산 10.19 555 0
1769 [국정감사] 이양수 의원, 강윤진 차관 발언 보훈부에는 "기억 나지 않는다." 거짓해명 10.18 403 0
Category

0505-379-8669
010-2554-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