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생전(生前) 국립묘지 안장 여부 확인, ‘나이 상관없는 질병’까지 확대

[보도] 생전(生前) 국립묘지 안장 여부 확인, ‘나이 상관없는 질병’까지 확대

공지사항

[보도] 생전(生前) 국립묘지 안장 여부 확인, ‘나이 상관없는 질병’까지 확대

0 861 01.22 13:11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 국사모 유튜브, 카카오톡 채널에 가입하시면 관련 소식을 보내드립니다.
▷ 전화 : 0505-379-8669
▷ 이메일 : ymveteran@naver.com
▷ 국사모 쇼핑몰  : https://www.kbohun.com
▷ 국사모 카카오톡 채널 가입  : https://pf.kakao.com/_NDxlKl
▷ 국사모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s://bit.ly/3taVGkA
▷ 국사모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ymveteran.com
▷ 국사모 공식 블로그 : https://ymveteran.tistory.com

제공 : 국가보훈부

생전(生前) 국립묘지 안장 여부 확인, 기존 75세 이상에서 ‘나이 상관없는 질병’까지 확대한다
- 생전 국립묘지 안장 대상 여부 확인, ‘질병’까지 확대하는 국립묘지법 개정안 23일 공포... 올해 7월 24일부터 시행
- 2019년 7월(80세 이상), 2021년 12월(75세 이상) 이어 ‘질병’까지 확대... 더 많은 국가유공자 생전에 국립묘지 안장 여부 확인 가능
- 강정애 장관 “국립묘지 안장 지원, 최고의 영예 되도록 안장 심의제도 개선 등 다각적인 노력 기울일 것”

국가유공자 등이 생전(生前)에 국립묘지 안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이 기존 75세 이상에서, 나이에 상관없이 질병으로 인해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로까지 확대된다.

국가보훈부(장관 강정애)는 22일 “질병으로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국가유공자 등이 국립묘지 안장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생전에 심의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국립묘지법)」을 개정, 23일(월) 공포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 법률안은 국립묘지 생전 심의신청 요건을 ‘질병’으로까지 확대하는 것을 골자로 발의(2023년 2월 이철규 의원 대표발의)된 후, 국회를 거쳐 지난 1월 16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

법률 개정안 공포에 따른 후속 조치로, 국가보훈부는 질병으로 인한 사유의 구체적 기준을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근원적인 회복 가능성이 없어 수개월 이내에 사망이 예상된다’는 의사 진단서 또는 소견서를 제출하는 경우”로 하는 국립묘지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며, 해당 국립묘지법 개정안은 오는 7월 24일부터 시행된다.

국립묘지의 생전(生前) 안장심의 제도는 사후가 아닌 생전에 국립묘지 안장 대상 여부를 미리 확인함으로써,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난 2019년 7월 80세 이상에 한 해 처음 도입·시행됐으며, 2021년 12월 말 연령 기준을 75세 이상으로 확대했다.

이처럼 생전 안장 심의신청 기준이 확대되면서, 80세 이상일 때 연평균 275명이던 안장 심의신청이 75세 이상일 때는 연평균 677명으로 146% 증가했다.



또한, 이번에 개정된 법률에 따라 앞으로 나이에 상관없이 질병으로까지 확대되면서 더 많은 국가유공자들이 생전에 국립묘지 안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생전안장 심의신청은 안장 대상자 본인이 ‘국립묘지안장신청시스템’ 누리집(www.ncms.go.kr)에 접속한 뒤 안장을 희망하는 국립묘지를 선택하여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지방 보훈관서나 국립묘지에 방문 또는 우편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신청 이후, 안장심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바로 국립묘지 안장 대상 여부가 안내되고, 법으로 정한 안장 비대상 범죄를 제외한 금고 이상의 형 선고자와 탈영·제적·징계처분 등 병적기록 이상자는 국립묘지 안장대상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안장 대상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은 “국가를 위해 희생·공헌하신 분들에 대한 마지막 예우인 국립묘지 안장 지원이 국가유공자를 비롯한 보훈가족 분들에게 최고의 영예가 될 수 있도록 안장 심의제도 개선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470 [2023년 보훈부 국감] 민병덕 위원, 윤석열 정부는 참전명예수당 2배공약 지켜야 2023.10.14 907 0
1469 [SBS보도] 희소성 높은데. 희소성 중증질환 환자. 백신 우선 접종해야. 2021.06.01 908 0
1468 [보훈처] 첨단 보철구 연구개발과 수요조사, 예산확보로 지급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댓글+1 2022.09.15 909 0
1467 [보도] 충남 서산시, 참전명예수당 월 50만원, 보훈수당 월 20만원, 전국 최고수준 댓글+2 01.14 911 1
1466 [취업] 2021년 코레일관광개발 숙사관리직 보훈특별고용 안내 (~4.4) 2021.03.29 912 0
1465 [참전보훈수당] 2016년 충남 서산 참전수당 20만원, 광주 남구 1만원, 지금은? 지자체 … 2023.03.31 912 0
1464 [2022년] 전라북도 보훈명예수당, 참전명예수당, 보훈단체등 보훈대상자 지원현황 2022.08.13 913 0
1463 [영상] 안성시의회 정토근 부의장의 눈물, 안성시 보훈참전명예수당 인상지급 거부 댓글+1 2023.05.12 920 0
1462 [국정감사] 정무위, 민주당 이용우 위원 "보훈공단과 보훈병원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해야" 2022.10.19 923 1
1461 [취업]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공무직(실내미화) 보훈제한경쟁 (~4.5) 2021.03.29 924 0
1460 [취업] 일진제강(주) 임실사업장 생산직 채용 (~4.28) 2021.04.21 924 0
1459 [보훈처] 2023년 정전 70주년, 6.25 참전유공자에게 새로운 제복 지급 2023.01.13 928 0
1458 [등록] 독립유공자 및 유가족 등록신청, 보훈지원 안내 2021.03.28 940 0
1457 [취업] 인천광역시의료원 계약직 직원 채용 공고 (~4.6) 2021.03.29 941 0
1456 [국회] “보훈단체 보훈부 승격 로비” 與의원 주장에 野의원들 “자발적 노력” 보훈처장 옹호 … 댓글+2 2023.02.25 941 0
1455 [등록] 참전유공자 등록신청, 보훈지원 안내 2021.03.28 946 0
1454 미국이 참전 국가유공자의 마지막 가는길을 배웅하는 방법 댓글+4 2023.02.21 946 1
1453 [국회] 민주당 단독, '민주유공자법' 국회 본회의 부의 안건 처리 댓글+1 04.24 946 0
1452 [국회 인사청문회] 박민식 장관은 보훈가족과 국민이 인정하고 공감하도록 한 사람입니까? 댓글+2 2023.12.27 947 0
1451 [보도] 권익위, 보훈대상자 품위손상행위…형평성 고려해 보상 정지해야 01.15 947 0
1450 [등록] 국가유공자 요건의 기준 및 범위 2021.03.28 950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