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A뉴스] 20년간 오지 않은 6.25 ‘전사 통보’

[채널A뉴스] 20년간 오지 않은 6.25 ‘전사 통보’

공지사항

[채널A뉴스] 20년간 오지 않은 6.25 ‘전사 통보’

0 2,609 2018.01.05 20:12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더깊은뉴스]20년간 오지 않은 6.25 ‘전사 통보’

[채널A] 2018-01-05 19:57

6.25 참전 군인 중 생사가 확인되지 않은 1만 8000명은 전사자로 간주됐습니다.

이런 결정은 김대중 정부 때 국방부가 내렸는데,

문제는 이런 결정을 가족들에게 알리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그 바람에 20년 동안 가슴앓이를 한 이들이 많습니다.

배영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순국선열의 넋을 기리기 위해 만든 전쟁 기념관.

1층 외벽에는 6.25 전사자들의 이름이 빼곡히 새겨져 있습니다.

그 가운데 새겨진 이름, 남상용.

6.25가 터진 직후 23살의 나이로 징집됐다가, 두달 만에 실종된 병사입니다.

아들 남봉수 씨는 지난 60년 간, 아버지가 행방불명된 것으로 알고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7년 전 어버이날.

아버지가 생각나 방문한 전쟁 기념관 전사자 명단에서 아버지의 이름을 우연히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행방불명자가 아닌 전사자가 됐다는 사실도 그때 처음 알았습니다.

[남봉수 / 6.25 전사자 유족]
(아버님 성함이 있는 걸 보고 어떤 기분이 드셨습니까?)
“이거 보고 여기서 통곡을 했죠. 많이 울고, 여기 직원들 저를 모두 알아요. 여기서 울고 하니까.“

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졌을까.

6.25에 참전했다 행방불명된 병사는 만 8천여 명.

이들은 전쟁 발발 40여 년이 지난 1998년 2월에야 전사 처리됐습니다.

당시 국방부는 이 행방불명자들을 모두 전사자로 모신다는 방침을 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같은 해 4월 14일 6.25 행방불명자 만 8천여 명은 전사자로 공식 인정됐습니다.

[육군본부 관계자]
“98년도에 국방부 지침 내려와서 육군본부에서 심의하고 인사명령까지는 발령하고 다 배부를 했더라고요.“

그런데 문제는 이런 결정이 병무청으로 전달되지 않으면서 발생했습니다.

후손들에게 '아버지가 전사 처리됐다'는 내용이 통보되지 않은 겁니다.

[병무청 관계자]
"(전사 통보는) 없죠 거의. 아주 가끔 있는지는 모르겠는데 제가 기억하기엔 잘 없어요.

이에 따라, 가족들은 전사 처리된 지도 모른 채 20년을 살았습니다.

10년 넘게 6.25 행방불명자 유가족 찾기 운동을 하고 있는 이영호 씨.

이씨의 삼촌도 6.25에 징집됐다가 실종됐습니다.

이씨는 그동안 삼촌이 행방 불명된 줄로만 알고, 전사 처리를 촉구하는 서명 운동까지 했습니다.

이씨도 기자를 만난 뒤에야 삼촌이 20년 전에 전사 처리된 사실을 알았습니다.

그동안 국민권익위와 육군본부 등을 헤매고 다닌 세월이 허탈할 뿐입니다.

[이영호 / 6.25 행방불명자 유족]
“이게 나라인가 싶고, 군대에 간 사람이 돌아오지 않는데 이것이 현실에서 참 딱하고 안타까워서 분통이 터졌습니다."

6.25 전사자들은 국가 유공자로 예우받습니다.

국가 유공자의 유가족으로 인정되면, 배우자는 매달 134만 원, 자녀는 118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직계자녀들은 대학 때까지의 수업료 일부도 면제받을 수 있었습니다.

취업 때는 가산점을 받고 의료 혜택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상당수의 행방불명자 유족들은 20년 간 이런 혜택을 하나도 받지 못했습니다.

[노용환 /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 대표]
"전쟁에 나가서 목숨 바쳐 희생하신 분들인데 정작 국가는 이분들을 챙기지 못한 거나 마찬가지 거든요. 지금부터라도 이런 잘못을 국가가 인정하고..."

국가 유공자 가족임에도 불구하고 '아빠 없는 아이'라는 손가락질까지 당하며 살아온 후손들.

가슴에 한을 묻고 가난하게 살아온 사람들이 많습니다.

[남봉수 / 6.25 전사자 유족]
“전사 통지서를 가지고 우리 어머니 산소 가서 드리고 저도 많이 울었습니다. 어머니는 우리 아버지 찾아 다니다가 결국 화병, 폐병 걸려서 돌아가셨고..."

이제라도 참전용사들의 명예를 회복시키고 뒤늦게라도 실질적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 국가의 도리라고, 유족들은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배영진입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09 로그인 하신후 회원정보를 수정하여 주세요. 2004.04.10 2685 0
208 철도 무임 승차증 발급 폐지 안내 - 국가보훈처 2004.03.29 3774 0
207 상이 국가유공자 열차 이용제도 개선안내 - 국가보훈처 2004.03.26 4076 0
206 4.15총선 선거관련 선거법위반에 대해 유의하세요. 2004.03.24 2627 0
205 국사모 정회원 공간을 꾸미는중입니다. 많은 의견 부탁합니다. 2004.03.22 2600 0
204 국가유공상이자의 국민연금 가입에 관하여 2004.03.18 3783 0
203 국사모에서 영웅분들의 취업란을 함께 고민해 보려합니다. 2004.03.17 5979 0
202 2004년 3월 12일에 전체 회원께 발송한 이메일 2004.03.14 2770 0
201 국가유공상이자에 비데를 지원합니다. 1,2,3급(일부 제외) 2004.03.13 3070 0
200 경향신문 - 잊혀져가는 독립유공자들(외국사례) -외국의 보훈제도 2004.03.12 3993 0
199 폭설로 피해 입은 독립유공자 및 국가유공자(유족) 재해위로금 지급 2004.03.12 3181 0
198 취업관련 국가유공자등예우법시행령 개정 3월중 시행 2004.03.11 3333 0
197 2004년 4월15일 17대 총선에 대해 공지합니다. 2004.03.03 2783 0
196 애국지사, 상이 국가유공자 및 5·18민주화운동부상자 고속철도 이용시 4월부터 무임(감면) 승… 2004.03.03 3532 0
195 3월 2일 국회 본회의 통과 법안 보훈제도 관련 주요 내용 2004.03.03 3611 0
194 PD 수첩 '친일파는 살아있다 3탄'을 꼭 시청하세요. 2004.03.02 2814 0
193 3월 1일부터 국가유공상이자 3급이상 가정의 전기요금(20%) 할인 2004.03.02 4173 0
192 차량, 업소, 기타 국가유공자 홍보 부착용 스티커를 제작예정 2004.03.01 5335 0
191 경향신문 - 친일규명·청산 이제 정부가 나서야 2004.03.01 3064 0
190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특별법’ 문제 많다. - 민족문제연구소 2004.03.01 2861 0
189 제85주년 3·1절 기념식 세종문화회관에서 거행 2004.02.29 2686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