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예산 없다”며 6·25 참전용사들 약값 지원 못한다는 정부

[보도자료] “예산 없다”며 6·25 참전용사들 약값 지원 못한다는 정부

공지사항

[보도자료] “예산 없다”며 6·25 참전용사들 약값 지원 못한다는 정부

3 2,255 2021.06.14 07:57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예산 없다”며 6·25 참전용사들 약값 지원 못한다는 정부

대부분 80~90세 거동 불편한데 보훈병원 가야만 약값 지원
“참전 명예수당 월34만원 받아… 거주 지역서 약값 대기도 빠듯”
현재 생존 참전 유공자 26만명

"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의 노용환 대표는 “유공자를 대변해야 할 부처인 국가보훈처는 ‘노력 중’이란 말만 반복한다”며 “이제 약값 지원이 참전유공자에 대한 정당한 예우가 아니라 그저 어르신들의 하소연 정도로 전락해버릴까 두렵다”고 했다. "

김동현 기자 입력 2021.06.14 04:16



국가보훈처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참전용사들을 국민과 함께 기억·감사하고자 '이웃에 영웅이 산다(Our Neighbor Hero)' 캠페인을 오는 25일까지 진행한다.
사진은 1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국가보훈처 건물 외벽에 걸려있는 '이웃에 영웅이 산다' 현수막./국가 보훈처

경상북도 경산시에 사는 조규식(90)씨는 한 달에 두 번 병원을 찾는다. 6·25 참전유공자인 그는 전쟁 당시 총탄이 스친 후유증으로 허리와 어깨 통증을 평생 달고 살았다. 당뇨와 전립선 통증에, 작년에는 폐렴까지 재발했다. 이 노병(老兵)에겐 매달 34만원의 ‘참전 명예수당’이 나오지만, 수당 대부분을 약값으로 쓴다. 조씨는 “총 8개 약을 먹는데, 한 달에 30만원이 넘는다”고 했다.

조씨가 국가로부터 약값을 지원받으려면 전국 6곳뿐인 보훈병원으로 가야 한다. 서울과 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에 하나씩 있다. 이곳에선 참전유공자 진료비의 90%, 약제비(藥劑費)는 최대 전액을 지원해준다. 조씨 집에서 가장 가까운 대구보훈병원까진 버스 타면 2시간, 승용차로도 1시간 이상이 걸린다고 한다. 대부분 80~90대로 거동이 불편한 참전유공자들이 그렇게 긴 거리를 이동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조씨는 “허리도 제대로 못 펴는데 대구까지 갈 엄두가 안 난다”고 했다.

대신 그는 국가보훈처가 지정한 전국 421곳의 민간 위탁병원을 이용한다. 동네 곳곳에 위치해 찾기 편하지만, 이곳은 진료비만 90% 지원해줄 뿐 약값은 예외다. 결국 조씨처럼 거동이 불편한 경우 사비(私費)로 전액을 내야 한다. 참전유공자법 시행령에 ‘위탁병원의 경우 약제비용은 제외한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 조씨는 “명예수당을 모두 약값으로 쓰니 ‘명예’라는 명분은 사라진 지 오래”라고 했다.

강원도 강릉시에 거주하는 6·25 참전유공자 김영호(90)씨도 비슷한 상황이다. 그는 “질환이 하나씩 늘 때마다 약값은 천정부지로 뛴다”며 “부담스럽지만 살기 위해 낼 수밖에 없다”고 했다.

정부도 이런 문제를 알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2019년 국가보훈처에 제도를 개선하라고 했지만, 2년이 지난 지금도 그대로다. “예산 부족”이 이유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권익위 권고를 받은 2019년엔 이미 내년도 예산안이 확정돼 있어 반영하지 못했고, 2020년엔 예산안에 반영해 기획재정부에 제출했지만 최종 예산안에서 빠졌다”며 “참전유공자분들의 불편을 알고 있고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했다. 제도 개선을 권고한 국민권익위 측은 “위탁병원을 이용하는 분들은 격오지에 살거나 고령화로 거동이 불편한, 참전유공자 중에서도 더 약자(弱者)인 분들”이라며 “계속 진행 상황을 지켜보면서 권고 이행을 독려하고 있다”고 했다.

문제 해결이 지지부진한 사이, 매년 2만명가량의 참전유공자가 세상을 떠나고 있다. 지난 5월 기준 전국의 참전유공자는 26만1360명. 이 중 절반 이상이 75세 이상이다. 보훈단체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의 노용환 대표는 “유공자를 대변해야 할 부처인 국가보훈처는 ‘노력 중’이란 말만 반복한다”며 “이제 약값 지원이 참전유공자에 대한 정당한 예우가 아니라 그저 어르신들의 하소연 정도로 전락해버릴까 두렵다”고 했다.

지난달 국회에서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됐다. 대표 발의에 나선 이만희 국민의힘 의원 측은 “참전유공자를 예우해야 한다는 기본적 인식을 갖고 있는 국가라면 당연히 개선해야 할 문제”라며 “기획재정부에 예산을 요구하는 등 근시일 내 반드시 해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한국보훈포럼 회장을 맡고 있는 김태열 영남이공대 교수는 “미국·호주·대만은 국가 예산 중 보훈 관련 비율이 3%에 가깝지만 우리나라는 1.7%에 그친다”며 “보훈처에 자체 예산권을 주는 등 권한을 강화하지 않으면 해결이 어려울 문제”라고 했다. 그는 “위탁병원까지 약제비를 지원한다 해도, 연간 소요 예산은 70억~110억원 수준으로 추정된다”며 “복지는 요람에서 무덤까지지만, 보훈은 ‘전쟁부터 사후(死後)까지’란 생각으로 구조적 문제부터 해결하지 않으면 보훈의 진짜 의미를 잃어버리게 될 것”이라고 했다.

출처 조선일보 : https://www.chosun.com/national/2021/06/14/5IRB2NVMJ5FCDAMEAAALODKETQ/?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Comments

정실 2021.06.14 19:46
국가유공자분들은 집 가까이 있는 병원에서 무료로 진료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것이 진정한 영웅들의 희생을 존경 하는 것입니다. 마음에 깊이 새기는 것입니다.
국가보훈처 구호는 좋은데 실천이 아쉽습니다
의료혜택을 마음껏 받을 수 있는 작은 것이 아쉽습니다
감사합니다.
너구리 2021.06.14 20:29
이런 나라에서 더이상 희생을 강요하지말아라!!
빙신같은 대한민국이여
아기공 2021.06.15 15:28
동네에 기초수급자 영감이 있는데요. 6단지 임대아파트 살면서  수급비매달받고  빵받고 식사 배달받고  틀니 하는데 동네병원에서 개당6000원에 하더군요.저도 치아 임플란트 좀 하려고 보훈병원갔더니 1년넘게
 걸린데서 그냥 왔습니다.유공자들도 동네병원에서 치료 가능하게 해주십시요. 뭔가 잘못된거 아닙니까?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54 [공지] 서울시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사업 신청 접수, 유공자 복지카드 중복X (2023.7.1… 2023.07.15 1564 0
153 [재공지] 7월18일, 재해부상군경 지원대상자의 지하철 KTX 고궁 등 이용 안내 댓글+4 2023.07.17 2152 1
152 故 해병 채수근 상병의 명복을 빕니다. 댓글+9 2023.07.20 974 0
151 故 해병 채수근 상병 대전현충원 안장식 (2023. 7. 22 토 오후5시) 댓글+3 2023.07.22 828 0
150 [동아일보] 나는 로봇팔을 한 상이군인 사이클 선수 나형윤 입니다. 댓글+2 2023.07.24 1192 1
149 [공지] 의심 국제우편물 개봉금지, 테러의심 우편물 택배 식별 및 대응요령 2023.07.25 677 0
148 [5분발언] 충남도의회 편삼범 의원 "이제는 생활고로 고통받는 참전용사가 없어야.." 2023.07.30 1073 0
147 [긴급공지] 재해부상군경(공무원), 지원대상자의 지하철 무임 이용 안내(2023.08.02 기… 2023.08.02 1471 0
146 [통계] 상이군경 국가유공자, 재해부상군경, 고엽제 상이등급별 현황 (2023.6) 2023.08.03 2178 2
145 [국군복지단] 군 영외마트 이용방법, 이용대상, 신분확인 방법, 전국 현황 (2023.08) 댓글+1 2023.08.04 13385 0
144 [공지] 2024년 보훈예산안. 국가유공자 보훈보상금 수당 정부안 인상전망에 대해 댓글+14 2023.08.06 24506 3
143 [행정안전부] 제6호 태풍 '카눈' 이렇게 대비해주세요. 2023.08.09 664 0
142 [공지] 윤석열 대통령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사 댓글+3 2023.08.15 1265 0
141 [공지] 2024년도 예산안 관련 당정협의회. 일류보훈 뒷받침하겠다. (2023.8.23) 댓글+2 2023.08.24 2275 0
140 [보도] 국가보훈부, ‘국가유공자 우선 주차구역’ 전국 확대 본격 시동 댓글+7 2023.08.28 5701 1
139 [예산안] 2024년 보훈예산안 발표, 보훈보상금 평균 5%, 상이7급 7% 인상 등 댓글+24 2023.08.29 10631 2
138 [2024년 보훈예산안 개요] 국가보훈부, 2024년 예산안 6조 3,948억원 편성 댓글+18 2023.08.29 7047 1
137 [공지] 국사모 공식 블로그 누적방문자 200만명 달성 안내 댓글+22 2023.09.02 1654 0
136 [정책포럼] 참전유공자 예우 어떻게 개선할것인가? 지자체 보훈참전수당 2023.09.08 967 0
135 [정책포럼] 2024년부터 충남 모든 지자체, 참전명예수당 43만원+α 지급 2023.09.10 968 0
134 [정책포럼] 국가보훈은 유공자의 공헌과 희생에 합당하게 항상 넘쳐야.. 2023.09.10 914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