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국가보훈처, 고엽제후유증 대상 질병 4개 추가 인정, 방광암,다발성경화증,갑상샘기능저하증,비전형파킨슨증

[안내] 국가보훈처, 고엽제후유증 대상 질병 4개 추가 인정, 방광암,다발성경화증,갑상샘기능저하증,비전형파킨슨증

공지사항

[안내] 국가보훈처, 고엽제후유증 대상 질병 4개 추가 인정, 방광암,다발성경화증,갑상샘기능저하증,비전형파킨슨증

0 1,217 2023.02.25 21:02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자료제공 :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 고엽제후유증 대상 질병 4개 추가 인정 입법예고, 방광암,다발성경화증,갑상샘기능저하증,비전형파킨슨증, 2023년 6월 국회 제출 예정

국가보훈처, 고엽제후유증 대상 질병 4개 추가 인정

국가보훈처는 월남전 참전유공자 등이 앓고 있는 질병 중 방광암을 비롯한 4개 질병을 고엽제후유증 질병으로 추가 인정하는 관련 법률 일부개정안에 대한 입법예고 절차에 돌입했습니다. 법률 개정 절차가 마무리되면, 고엽제후유증으로 인정되는 질병이 기존 20개에서 24개로 늘어나고, 관련 보상과 유족 지원 등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 고엽제후유증 인정 20개 질병
① 비호지킨임파선암 ② 연조직육종암 ③ 염소성여드름 ④ 말초신경병 ⑤ 만발성피부포르피린증 ⑥ 호지킨병 ⑦ 폐암 ⑧ 후두암 ⑨ 기관암 다발성골수종 전립선암 버거병 당뇨병(선천성 제외) B-세포형 만성 백혈병(만성림프성백혈병과 털세포백혈병 포함) 만성골수성백혈병 파킨슨병(이차성 및 달리 분류된 파킨슨증 제외) 허혈성 심장질환 AL 아밀로이드증 침샘암 담낭암(담도암 포함)

이번에 고엽제후유증으로 추가 인정되는 질병은 방광암과 다발성경화증, 갑상샘기능저하증, 비전형 파킨슨증(진행성 핵상 마비와 다계통 위축증) 등 4개 질병으로, 이는 제6차 고엽제피해 역학조사 결과를 토대로 과학성평가 및 고엽제자문협의회 등을 거쳐 고엽제 노출과 해당 질병 발병과의 상관관계가 인정됨에 따른 것입니다.

<고엽제피해 역학조사 개요>

- 정의 : 「고엽제후유의증 등 환자지원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제29조에 따라 월남전 참전군인 등의 고엽제 노출과 질병간의 상관관계 연구
- 경과 : 1995년부터 2021년까지 총 6회 역학조사 실시
- 후유증 인정 질병 : (1차) 버거병 (3차) 만성 골수성 백혈병 (5차) 침샘암‧담낭암

이에 따라 국가보훈처는 이들 질병을 추가하는 「고엽제후유의증 등 환자지원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에 대한 입법예고를 2월 21일(화)부터 4월 3일(월)까지 진행합니다. 이후 법제처 심사와 국무회의 의결 등을 진행한 뒤 6월경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며, 국회 의결을 거쳐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됩니다.

고엽제후유의증
∘ 수당 지급(장애등급 고도‧중등도‧경도) - 매월 541,000~1,119,000원
∘ 본인 보훈‧위탁병원 진료비 지원
∘ 대부 및 수송시설 이용 지원 없음



고엽제후유증
∘ 보상금 지급(상이등급 1급~7급) - 매월 568,000~3,506,000원(수당 제외)
* 6급 이상 유족 승계 가능
∘ 본인 보훈‧위탁병원 진료비 지원
∘ 배우자 또는 선순위 유족 1인에 대해 보훈‧위탁병원 진료비 60% 감면
∘ 열차‧버스 등 수송시설 할인 지원
∘ 위탁은행을 통한 대부 지원

특히, 이번 법률 개정으로 약 2,800명이 기존의 고엽제후유의증에서 고엽제후유증 대상으로 인정받게 될 전망이어서, 국가유공자 보상금 지급과 유족 지원 등 더 두터운 보상과 예우를 받게 됩니다.

또한 국사모는 고엽제 후유증으로 전환되는 2,800여명에게 적극 알리도록 국가보훈처에 요청할 계획입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68 [단체] 2023년도 법정 보훈단체 운영비 예산 지원 현황 댓글+4 2023.02.20 1013 0
167 [보훈처] 고엽제후유증 대상 질병 4개 추가 인정 관련 입법예고 2023.02.21 855 0
166 [국회] 정무위 윤한홍 위원, 월남전 십자성작전 참전군인 국가유공자 지정. 공무원이 검토한다는… 2023.02.22 719 0
165 [국회] 정무위 강민국 위원, 국가유공자의 난방요금 지원 관련 질타, 경찰 소방관 국립묘지 안… 2023.02.23 665 0
164 [안내] 2023년 온라인(로또)복권 신규판매인 모집 공고 (2023. 3. 6~2023. 4… 2023.02.23 3892 0
163 [국회] 참전유공자, 무공, 재일학도의용군인의의 위탁병원 이용 연령제한 폐지 개정안 등 정무위… 2023.02.24 710 0
162 [국회] “보훈단체 보훈부 승격 로비” 與의원 주장에 野의원들 “자발적 노력” 보훈처장 옹호 … 댓글+2 2023.02.25 941 0
161 [국회] 보훈참전수당 가이드라인 마련, 지급 하위 40% 지자체 명단공개, 민주당 소병철 위원… 2023.02.25 1034 0
160 [국회] 보훈부 승격을 포함한 정부조직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무산 (2023. 2. 24… 2023.02.25 742 0
열람중 [안내] 국가보훈처, 고엽제후유증 대상 질병 4개 추가 인정, 방광암,다발성경화증,갑상샘기능저… 2023.02.25 1218 0
158 [공고] 상이판정 등 신체검사 시행세칙 일부개정훈령안 행정예고 2023.02.28 1582 0
157 [2023년 보훈지원] 2023년 대상분류별 국가유공자 참전 보훈대상자등 보훈지원 안내자료 2021.03.28 14468 0
156 [안내] 2023년 알기쉽게 풀어보는 6.25참전 월남전참전 국가유공자를 위한 보훈지원제도 2023.03.01 1331 0
155 [안내] 2023년 알기쉽게 풀어보는 고엽제후유의증 국가유공자를 위한 보훈지원제도 2023.03.02 2466 0
154 [안내] 상이 국가유공자, 유족의 전기 도시가스 등 공공요금 감면신청 안내문 댓글+1 2023.03.03 3401 0
153 [대통령실] 국가보훈부 승격 윤석열 대통령 서명식 (2023. 3. 2) 2023.03.04 1349 0
152 [안내] 국가보훈부 출범에 맞춰 국가유공자증 등 국가보훈대상자 신분증 15종, 하나로 통합 댓글+1 2023.03.06 3016 0
151 [국민권익위] 가족 없는 무연고 국가유공자의 쓸쓸한 죽음 막는다. 댓글+1 2023.03.08 1085 0
150 [사망일시금] 정부와 지자체의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유족 사망시 사망일시금(위로금) 댓글+2 2023.03.23 1405 0
149 [안내]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현황 통계. 고령화 따른 특단의 대책 필요 (2023. 2) 2023.03.14 1475 0
148 [통계] 2022년도 보훈급여금 등 지급실적 현황(분류별, 평균인원, 연 지급금액) 2023.02.20 1862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