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정보]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참전 고엽제 유족 의료지원 노후지원 혜택

[보훈정보]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참전 고엽제 유족 의료지원 노후지원 혜택

공지사항

[보훈정보]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참전 고엽제 유족 의료지원 노후지원 혜택

0 1,206 2021.03.03 22:17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02c5a99ae268cf02c10294c8203a98e3_1614777388_3128.gif
02c5a99ae268cf02c10294c8203a98e3_1614777388_3607.gif
02c5a99ae268cf02c10294c8203a98e3_1614777388_4111.gif
02c5a99ae268cf02c10294c8203a98e3_1614777388_467.gif 

참전유공자 의료지원입니다.

보건소에서 진료비의 전액 또는 감면을 받을수 있으며 보훈병원과 위탁병원에서는 90% 감면받아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위탁병원은 만 75세 이상인 경우에 해당됩니다.


장기요양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다음 시설을 이용활수 있습니다.

신청대상이 되는 경우 요양지원 보조금 지급 신청서를 제출하여 노인요양시설 입소신청을 하면 됩니다.

장기 요양이 필요한 경우, 전국 보훈요양원, 보훈원을 이용하실수 있으며 가정에서 복지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기요양급여와 노인돌봄종합서비스와 같은 보훈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전공상군경 의료지원입니다.

국가유공자의 경우 보훈병원과 위탁병원만을 이용하시고자 하는 경우 의료보험공단에 건강보험 배제신청을 할수 있습니다.

보훈병원의 경우 국가유공자 본인은 국비진료가 가능하며 2012년 7월 1일 이후 신규등록된 상이7급 국가유공자의 경우 상이처 외의 경우 진료비의 10%를 부담하며 가족의 경우 60% 감면됩니다.

전국 보훈병원 현황입니다.

전국 위탁지정병원에서 국비진료를 받을수 있으며 만 75세 이상 선순위유족은 60% 감면받아 이용할수 있습니다.

전공상 군경 본인이 위급한 상황에서 보훈병원, 위탁병원 이외의 일반병원 응급실을 이용할수 있으며 14일 이내에 관할보훈청에 통보후 진료비 영수증, 진료비 상세내역서, 응급실 기록지, 진단서등을 제출후 진료비를 환급받을수 있습니다.

보건소에서도 진료비의 전액 또는 감면을 받을수 있으며 생계곤란등으로 병원진료비가 부담스러울 경우 관할보훈청에 1종 의료급여를 신청할수 있습니다.

상이처로 인한 보철구가 필요한 경우에는 크러치, 목발, 지팡이, 의수족등을 관할 보훈청에 신청후 지급받으시면 됩니다. 


장기요양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다음 시설을 이용활수 있습니다.

신청대상이 되는 경우 요양지원 보조금 지급 신청서를 제출하여 노인요양시설 입소신청을 하면 됩니다.

장기 요양이 필요한 경우, 전국 보훈요양원, 보훈원을 이용하실수 있으며 가정에서 복지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기요양급여와 노인돌봄종합서비스와 같은 보훈재가복지서비스, 보훈원, 복지타운를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국가유공자 유족 의료지원입니다.

보훈병원의 경우 유가족은 60% 감면, 2012년 7월 1일 이후 신규등록된 유족은 배우자, 유족 1인에 한하여 60% 감면됩니다.

전국 보훈병원 현황입니다.

전국 위탁지정병원에서는 75세 이상 선순위유족의 경우 60% 감면받아 이용할수 있습니다.

보건소에서도 진료비의 전액 또는 감면을 받을수 있으며 생계곤란등으로 병원진료비가 부담스러울 경우 관할보훈청에 1종 의료급여를 신청할수 있습니다.


고엽제후유의증 의료지원입니다.

보훈병원의 경우 고엽제 본인과 2세환자는 국비진료가 가능합니다.

전국 보훈병원 현황입니다.

전국 위탁지정병원에서도 국비진료를 받을수 있습니다.

생명이 위급한 상황등에서 보훈병원, 위탁병원 이외의 일반병원 응급실을 이용할수 있으며 14일 이내에 관할보훈청에 통보후 진료비 영수증, 진료비 상세내역서, 응급실 기록지, 진단서등을 제출후 진료비를 환급받을수 있습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94 [보훈소식] 남겨진 영웅들의 자녀, 국가가 함께 지킨다 2023.01.13 904 0
193 [보훈정보] 2023년 6월, ‘국가보훈 장해진단서’ 도입 보훈심사 신속 처리 댓글+6 2023.01.13 5201 0
192 [안내] 설 연휴 기간 전국 국립묘지·보훈병원 비상 근무체계 가동 2023.01.19 1254 0
191 [설명절인사]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영웅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댓글+8 2023.01.22 1033 0
190 [보훈처] 보훈정책 어떻게 달라질까? 2023년 국가보훈처 업무보고 주요내용 댓글+2 2023.01.28 2195 0
189 [2023년 보훈처 업무보고] 보훈정책 어떻게 달라질까? 윤석열 대통령 발언, 박민식 보훈처장… 2023.01.29 1513 0
188 [2023년 보훈처 업무보고] 윤석열 대통령 발언, 박민식 보훈처장 발표, 보훈토론회 2023.01.29 2940 0
187 [2023년 행안부 업무보고] 2월 국회에서 보훈부 승격법안 통과시키겠다, 장제원 행안위원장 2023.01.30 2162 0
186 [안내] 2023년 보훈처 업무보고 주요내용 1 - 지자체 보훈 참전수당 가이드라인 마련 2023.02.08 1141 0
185 [안내] 2023년 보훈처 업무보고 주요내용 2 - 참전유공자의 배우자 지원과 나라사랑대출 지… 2023.02.08 1302 0
184 [안내] 2023년 보훈처 업무보고 주요내용 3 - 방광암, 갑상샘저하증, 파킨슨증, 다발성경… 2023.02.08 1189 0
183 [제휴정보] 녹내장 진단 OX 퀴즈, 알기쉬운 보훈의료정보, 안과 전문의가 알려드립니다. 2023.02.12 1043 0
182 [보도] 박민식 보훈처장, 주한 튀르키예 대사관 찾아 조문 및 애도 “형제의 나라와 함께하겠… 2023.02.14 709 0
181 [국회 행안위] 국가보훈부 격상 정부조직법 개정안 의결, 2월 24일 국회 본회의 통과 예정 2023.02.16 726 0
180 [보도자료] 대법원, 통증(CRPS)을 지체기능 장애로 첫 인정 2023.02.16 620 0
179 [안내] 법정 13개 보훈단체 정관 (2023년 2월 19일 기준) 2023.02.19 1623 0
178 [보훈처] 주간업무 점검회의 주요내용 (~2023.02.19) 2023.02.19 779 0
177 [정보] 전국 자치단체별 참전명예수당 지급현황 (2023. 2. 1 기준) 댓글+2 2023.02.20 3162 0
176 [안내] 보훈가족 심리재활서비스 지원 안내 2023.02.20 586 0
175 [단체] 2021년 보훈단체 수익사업 정기감사 결과 보고(상이군경회 등 4개 보훈단체) 2023.02.20 628 0
174 [통계] 2022년도 보훈급여금 등 지급실적 현황(분류별, 평균인원, 연 지급금액) 2023.02.20 990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