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고엽제 후유증(상이등급)과 후유의증(수당대상)의 차이, 고엽제 등록시 대처방법

[안내] 고엽제 후유증(상이등급)과 후유의증(수당대상)의 차이, 고엽제 등록시 대처방법

공지사항

[안내] 고엽제 후유증(상이등급)과 후유의증(수당대상)의 차이, 고엽제 등록시 대처방법

0 2,101 2023.07.09 15:49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고엽제는 고엽제 후유증 질환과 후유의증 질환으로 나뉩니다.

의외로 많은 월남참전유공자분들이 고엽제 후유증과 후유의증, 국가유공자 상이등급과 수당대상을 혼동하시는 분들이 많아 해당 질병이 발견된 경우의 대처방법과 함께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고엽제후유증은 최근 추가된 침샘암과 담낭암을 포함하여 총 20개 질병이며 해당 질병으로 인한 후유장애와 합병증의 정도에 따라 1~7급의 상이등급이 결정되면 국가유공자로 보상을 받을수 있습니다.

2024년 상반기에는 "갑상샘기능저하증, 다발성경화증, 방광암, 비전형 파킨슨증" 4가지 질병이 추가되어 고엽제후유증 질병은 총 24개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고엽제후유증 2세 환자는 다음 3가지 질병에 해당될 경우에 심사를 거쳐 고도, 중등도, 경도로 나뉘어 보상을 받습니다.

고엽제후유의증 질병은 뇌경색증 등 19개이며 심사를 거쳐 고도, 중등도, 경도로 나뉘어 보상을 받습니다.

국사모로 오는 많은 상담전화중에는 고엽제 후유의증 수당대상자로 등록되어 있는데 왜 상이등급은 받지 못하냐는 문의가 많습니다.

고엽제 후유의증 고도 수당대상자로 질병이 악화되어도 안타깝지만 현행 규정은 상이등급 대상이 아닌 고도 대상자로 남습니다.

고엽제 질환이 대다수 중증의 심혈관질환이나 악성암인 경우가 많고 늦게 발견되는 경우에는 생명이 위태로운 증증질환입니다.

고엽제 질병은 오랫동안 증상이 지속되고 고령이 된후에 악화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참전용사분들께서는 건강관리에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보훈병원과 상급종합병원등을 통하여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하시고 고엽제 질환이 발견된다면 반드시 정확한 질병명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보훈신청을 위해서는 해당 고엽제 질환에 대한 진단병명이 나와야 신청을 할수 있으니 보훈등록을 의뢰하실 경우에는 법률과 의학적인 전문성을 갖춘곳에 의뢰하셔야 하며 자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국사모로 연락을 주시기 바랍니다.

< 고엽제 후유증 >
비호지킨임파선암(非호지킨淋巴腺癌)
연조직육종암(軟組織肉腫癌)
염소성여드름(鹽素性여드름)
말초신경병(末梢神經病)
만발성피부포르피린증(滿發性皮膚포르피린症)
호지킨병
폐암(肺癌)
후두암(喉頭癌)
기관암(氣管癌)
다발성골수종(多發性骨髓腫)
전립선암(前立腺癌)
버거병
당뇨병(糖尿病). 다만, 선천성 당뇨병은 제외
B-세포형 만성 백혈병(만성림프성백혈병과 털세포백혈병 포함)
만성골수성백혈병(慢性骨髓性白血病)
파킨슨병(다만, 이차성 파킨슨증 및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파킨슨증은 제외)
허혈성심장질환(虛血性心臟疾患)
AL 아밀로이드증
침샘암
담낭암(담도암 포함)

< 고엽제 후유증 2세환자 >
척추이분증(脊椎二分症). 다만, 은폐성 척추이분증은 제외
말초신경병(末梢神經病)
하지마비척추병변(下肢痲痺脊椎병변)

< 고엽제 후유의증 >
일광과민성피부염 (日光過敏性皮膚炎)
심상성건선(尋常性乾癬)
지루성피부염(脂漏性皮膚炎)
만성담마진(慢性蕁麻疹)
건성습진(乾性濕疹)
중추신경장애(中樞神經障碍)(다만, 제1항제16호 본문의 파킨슨병은 제외)
뇌경색증(腦硬塞症)
다발성신경마비(多發性神經麻痺)
다발성경화증(多發性硬化症)
근위축성신경측색경화증(筋萎縮性神經側索硬化症)
근질환(筋疾患)
악성종양(惡性腫瘍)(다만, 제1항의 고엽제후유증에 속하는 악성종양은 제외)
간질환(肝疾患). 다만, B型 및 C型 感染으로 인한 것을 제외
갑상샘기능저하증
고혈압(高血壓)
뇌출혈(腦出血)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
무혈성괴사증(無血性壞死症)
고지혈증(高脂血症)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59 [서울시] 서울시 '나라사랑 청년상' 만든다. 청년 국가유공자 전시관도 운영 2022.02.13 1123 0
258 [공지] 무공 참전유공자 위탁병원 감면이용 연령제한 폐지 (2023년 10월부터) 2023.07.04 1123 0
257 [보도] 보훈부, 생활환경 변화를 반영한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기준 개선 추진 댓글+1 2023.12.20 1120 0
256 [취업] 2021년 한국자산관리공사 업무지원직(취업지원전형) 채용 (~4.30) 2021.04.21 1112 0
255 [취업] 성우하이텍 생산직 채용 안내 (~4.23) 2021.04.21 1112 0
254 [국회] 민주당 단독, '민주유공자법' 국회 본회의 부의 안건 처리 댓글+1 04.24 1112 0
253 [정보] 2021년 알기쉽게 풀어보는 특수임무유공자 및 유족을 위한 보훈지원제도 2021.02.23 1105 0
252 [취업] 2021년 인천도시공사 신입직원 공개채용 (~4.28) 2021.04.21 1102 0
251 [보훈처] 보훈단체 수익사업 관련법 개정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2021.06.01 1101 0
250 [보도] 보훈위탁의료기관 늘리고 있다지만, 필수의료과는 여전히 태부족 댓글+1 2022.09.19 1101 0
249 [5분발언] 충남도의회 편삼범 의원 "이제는 생활고로 고통받는 참전용사가 없어야.." 2023.07.30 1089 0
248 [국회] 김승수 의원, 참전 생활조정수당 기준 중위소득의 60%으로 현실화 법안 추진 댓글+4 05.30 1089 2
247 [제휴정보] 녹내장 진단 OX 퀴즈, 알기쉬운 보훈의료정보, 안과 전문의가 알려드립니다. 2023.02.12 1080 0
246 [보도] 국민권익위, “군인 2,048명 유가족 찾아 전사·순직 결정 통보해야” 댓글+1 2021.04.02 1079 0
245 [통계] 보훈등록 신체검사 행정심판 행정소송의 기본 유의사항 (2023년 행정쟁송현황) 2023.04.06 1079 0
244 [정보] 2021년 알기쉽게 풀어보는 독립유공자 및 유족을 위한 보훈지원제도 2021.02.23 1078 0
243 [보도] 2020 네덜란드 인빅터스게임 최초 출전, 대한민국 선수단 결단식 2022.04.12 1077 0
242 [단체] 2023년도 법정 보훈단체 운영비 예산 지원 현황 댓글+4 2023.02.20 1076 0
241 [공지] 국가보훈대상자의 보철구 민원에 대한 제보 요청 2022.09.13 1074 0
240 [국회] 보훈참전수당 가이드라인 마련, 지급 하위 40% 지자체 명단공개, 민주당 소병철 위원… 2023.02.25 1074 0
239 [안내] 국가유공자 국립묘지 생전(生前) 안장심의제 안내 2021.03.25 1071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