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단체보도] 희귀난치질환자가 차기 정부에 바라는 제언

[자매단체보도] 희귀난치질환자가 차기 정부에 바라는 제언

공지사항

[자매단체보도] 희귀난치질환자가 차기 정부에 바라는 제언

0 969 2022.04.09 17:03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환자 목소리 담은 치료 제도 개선…의료비 상한제 보완 등 경제 지원도

이용우 CRPS환우회 회장
입력 : 2022.04.08 20:27 수정 : 2022.04.08 20:27

희귀난치질환자가 차기 정부에 바라는 제언

희귀난치질환은 그 특성상, 다수의 국민과 환자들에 초점을 맞춘 보건의료체계에서 담아 내기 어려운 부분이 적지 않음을 알고 있다. 그럼에도 역대 정부가 희귀난치질환자의 어려움에 공감을 표해 왔고, 실제로 희귀난치질환자들을 위한 정책과 배려가 확대돼 온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여전히 희귀난치질환자들이 현실에서 경험하는 불편과 아쉬움이 적지 않다. 환자들이 바라는 것은 우선적으로 각 질환의 특성과 환자들의 상황에 맞는 치료와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와 환경의 개선이다. 하지만 의사결정의 대부분이 개별 질환에 대한 이해가 없는 각계 전문가와 관계자들에 의해 이뤄지는 현실은, 희귀난치질환자들의 입장에선 커다란 아쉬움이다. 문제 해결의 시작점은 ‘소통’과 상호 ‘경청’이라 생각한다. 희귀난치질환이나 잘 알려지지 않은 질병의 경우, 질환자 등 당사자는 물론 해당 분야를 실제 다룬 경험이 많은 전문의들의 직접적인 의견 개진 기회가 많아야 한다. 특히 약제 및 치료 관련 정책과 가이드라인 개발 등 제도 개선을 진행할 때가 그렇다.

암질환심의위원회의 경우를 예로 들면, 일단 전문위원 숫자가 부족하다. 이 위원회에서 가령 약제를 심의한다면, 적어도 해당 약제를 잘 알고 판단할 수 있는 전문의 비중이 충분히 높아야 한다. 또한 의사 개진 과정에서 질환의 당사자인 환우회 관계자의 참관인 자격 배석도 필요할 것이다.

장애제도도 아쉬운 사례로 들고 싶다. 최근 들어 정부는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기면증, 투렛증후군 등을 새로 장애요인으로 인정했다. 이 전향적인 선택은 많은 환자들에게 힘과 용기를 줬다. 하지만 많은 환자들이 가시적인 증상이 없다는 이유 등으로 장애판정을 못 받고 있거나, 다발성증후군 등 질환에 있어 복합장애 인정이 안 되는 등 보완을 원하는 목소리도 여전하다.

의료용 마약진통제 오남용에 대한 문제 역시 관련 질환과 약제를 잘 이해하는 전문의 목소리로부터 해결이 시작되어야 한다. 약제 남용과 통제기전 부재 등 부정적인 요소들만 나열되고 부각되는 사이, 정작 이 치료제를 꼭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 눈총과 편견에 시달리고 제때 약제를 구하지 못하는 문제가 우려된다.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UR)에 이들 약제의 정보를 통합시켜 제대로 된 관리를 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앞서 밝힌 것처럼 희귀난치질환자들에게 가장 큰 고통 중 하나는 필요로 하는 치료혜택을 얻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많은 경우 환자들이 구하기 쉽지 않은 것은 물론, 국내 도입 자체가 안 된 경우도 허다하다. 부신백질디스트로피(ALD) 환자들에게 꼭 필요한 로렌조오일의 경우 아직 정부로부터 지원과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만성 신경통증 환자들 중 일부는 기존 치료법으로 조절되지 않는데, 이 경우 지코노타이드 같은 약물을 척수강 내 직접 주입하는 치료법에 희망을 걸 수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 10여년 전부터 사용하고 있는 이 약품은 국내에 도입돼 있지 않다.

이러한 약제들을 통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환자들이 치료 기회를 얻기 위해서는 제도적 여건 역시 중요하다. 현재 시행 중인 의료비 상한제도 보완을 통해 환자들이 경제적으로 좌절하는 상황을 최소화했으면 한다. 또한 기존 허가돼 사용되는 약물 중에서도 환자 특성에 맞는 선별 처방이 보다 용이하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희귀질환 치료를 위한 신약에 대한 우선적인 접근 보장 또한 실현되길 바란다.

비슷한 맥락에서 경제성평가제도도 그렇다. 항암 신약의 보험급여는 위험분담제를 통해 진행되고 있어서, 경제성평가제도는 면제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급여 검토 지연이 더 많은 환자들의 죽음으로 이어지고 있다. 경제성평가제도는 신약을 평가하는 유일한 수단이 아니다. 암환자를 비롯한 많은 중증환자들은 다른 수단들을 적극 검토하여 도입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이 기고는 ‘한국다발성경화증협회, 한국다발골수종환우회, 부신백질이영양증부모모임, 한국기면병환우협회,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의 도움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제공 경향신문 : https://www.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204082027025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071 [공지] 경기 광주소방서 김동식 소방대장의 명복을 빕니다. 댓글+8 2021.06.20 975 0
1070 [KBS] 군 복무하다 다쳤는데. 60세 미만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백신접종 사각지대. 2021.06.16 2154 0
1069 [법률안] 김석기 의원, 정부 지자체의 참전명예수당 50만원 인상을 위한 개정안 발의 2021.06.16 2426 0
1068 [보도자료] “예산 없다”며 6·25 참전용사들 약값 지원 못한다는 정부 댓글+3 2021.06.14 2215 0
1067 [의료] 참전유공자 유족 위탁병원 약제비 지원, 상이7급 자부담 10% 폐지 2021.06.13 2043 0
1066 [보훈처] 국가보훈 60년. 보훈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의견수렴. 2021.06.12 1123 0
1065 [공지] 월남전 참전군인의 전투근무급여금 지급에 관한 특별법 발의 2021.06.11 5703 0
1064 [공지] 60세미만 상이군경, 코로나19 예방접종의 문제점 의견수렴 댓글+1 2021.06.06 2022 0
1063 [YTN보도자료] 요건 갖췄지만, 자격 주지 않는 보훈심사 2021.06.06 1420 0
1062 [공지] 보훈보상금 관련 KTV PD리포트 방송 국사모 대표 인터뷰 자료 전문 댓글+12 2021.06.06 3372 1
1061 [추념사] 제66회 현충일 문재인 대통령 추념사 2021.06.06 1133 0
1060 [안내]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의 민방위 예비군 편성 면제 댓글+1 2021.06.05 1610 0
1059 [성명서] 국가를 위한 국가유공자의 고귀한 희생에는 특별한 예우를 해야 한다. 2021.06.05 1944 0
1058 [공지] KTV PD리포트 이슈본(本) 방영안내. 국가유공자 보훈급여, 합리적으로 개선한다. 댓글+1 2021.06.04 1210 1
1057 [중앙일보] 국사모 대표 기고문. 보훈을 잘해야 애국이 있다. 댓글+9 2021.06.03 2435 2
1056 [SBS보도] 희소성 높은데. 희소성 중증질환 환자. 백신 우선 접종해야. 2021.06.01 907 0
1055 [보훈처] 보훈단체 수익사업 관련법 개정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2021.06.01 1057 0
1054 [보훈처] 2021년 6월 ’호국보훈의 달‘ 주요 사업 추진 2021.06.01 1404 0
1053 [공지] 국사모 공식 블로그 누적방문자 100만명 달성에 따른 인사말 댓글+5 2021.06.01 1078 2
1052 [공지] CJ대한통운, 6월 호국보훈의 달 국가유공자 무료 택배 서비스 제공 댓글+1 2021.06.01 2006 0
1051 [긴급공지] 상이7급 보훈보상금에 대한 회원 의견수렴 댓글+31 2021.05.30 4424 8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