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월남전서 다리 잃었는데 ‘지원 불가’…외면당한 의수·족 예산

[보도] 월남전서 다리 잃었는데 ‘지원 불가’…외면당한 의수·족 예산

공지사항

[보도] 월남전서 다리 잃었는데 ‘지원 불가’…외면당한 의수·족 예산

0 1,824 2022.09.15 12:38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월남전서 다리 잃었는데 ‘지원 불가’…외면당한 의수·족 예산
입력 : 2022-09-15 09:39

월남전 참전용사 A씨는 지뢰를 밟아 다리가 절단됐다. 국가보훈처에서 제공한 의족은 너무 무거웠다. 착용한 지 며칠이 지나지 않아 절단 부위가 변형되고 피부가 부르트기 시작했다. 티타늄 등 첨단 소재를 활용한 가벼운 의족을 알게 된 A씨가 보훈처에 지원을 요청하자 ‘예산이 부족해 지원할 수 없다’는 답이 돌아왔다. A씨는 잘린 다리를 안고 2년을 기다린 후에야 딱 맞는 의족을 착용하고 본격적으로 일상 회복에 나설 수 있었다.

보훈급여, 참전 명예수당 등 보훈 예산이 증가하고 있지만 A씨처럼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인 국가유공자들이 있다. 신체 절단 사고를 겪은 상이 군경에게 의수·족은 신체 일부지만 관련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

15일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내년도 보철구 예산은 62억5300만원이다. 2019년 이후 올해까지 4년간 60억300만에 멈춰 있던 예산이 처음으로 2억5000만원 늘었다. 지난 5년 전체 보훈 예산 증가율(11.9%)에 비하면 절반도 되지 않는 증가율(4.1%)이다.

산술적으로 지난해 예산을 지급된 보철구 수(6261개)로 나눠보면 보철구 1개당 95만8313원이 지원됐다. 의족·의수 등 보철구의 가격을 고려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절단된 신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기본 보철구는 수십만 원이면 구매 가능하다. 그러나 설거지를 하거나 젓가락으로 식사를 하는 등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수준의 보철구는 최소 수 백만 원이다.



보훈처는 로봇 의수, 로봇 의족 등 첨단 보철구를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1월까지 로봇 의족을 받은 사람은 5명뿐이다. 지난해 의족을 지원받은 418명의 유공자 중 극히 소수만이 일상 회복에 도움을 받은 것이다.

부족한 정부 지원에 국가유공자는 기업 사회공헌 사업에 기대고 있다. 포스코는 매년 10억원을 들여 청·장년층 국가유공자에 로봇 의수·족 등 첨단 보철구를 지원 중이다. 지난해에는 모두 31명에게 보철구를 제공했는데 이를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1인당 지원금은 3100만원이다. 포스코가 제공 중인 첨단 의족은 1억원대 가격인 것으로 알려졌다.

보훈처가 수치로 드러나는 성과를 위해 이같은 지원 방식을 고집한다는 비판도 있다. 예산이 정해져 있으니 첨단 보철구를 소수에게 지원하기보다는 기본 보철구를 다수에게 지원해 지원 인원을 늘린다는 것이다. 의족을 착용 중인 한 유공자는 “상이군경의 일상 회복을 제대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보철구 지급 숫자에 집중할 게 아니라 고품질 의수·족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예산 추가 확보를 위해 구체적인 수요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의 노용환 대표는 “보철구 예산은 보훈 예산 중에서도 숨겨진 예산이다. 예산 확보와 정확한 수요조사를 통해 필요한 인원들에게 적시에 보철구가 지원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

출처 국민일보 :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7470464&code=61141111&cp=nv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161 [보훈처] 국립묘지 생전안장여부 신청가능 연령 확대 (75세) 2021.12.28 1963 0
1160 [보훈처] 2022년 대부금의 이율에 관한 고시(안) 행정예고 댓글+1 2021.12.23 2810 0
1159 [공지] 2022년 독립유공자 유족 보훈보상금 급여 보훈연금 수당 월 지급액표 댓글+1 2021.12.18 2062 0
1158 [공지] 2022년 보훈보상대상자(재해부상군경) 유족 보훈보상금 급여 보훈연금 수당 월 지급액… 댓글+1 2021.12.18 3485 0
1157 [공지] 2022년 참전유공자, 무공수훈자, 고엽제후유의증, 고엽제 2세환자 보훈급여금 수당 … 2021.12.18 2000 0
1156 [공지] 2022년 국가유공자 유족 보훈보상금 급여 보훈연금 수당 월 지급액표, 평균 5% 인… 2021.12.18 3632 0
1155 [공지] 위대한 대한민국 참전용사분들께 드리는 작은 위로의 말씀, 소중한 희생에 감사드립니다. 댓글+3 2021.12.16 2329 0
1154 [확정공지] 2022년 국가유공자 참전 보훈대상자 보훈보상금 급여 수당 월지급액표 2021.12.15 5799 0
1153 [공지] 2022년 보훈예산 보훈보상금 수당 관련 국사모 성명서(의견서) 댓글+9 2021.12.15 3690 0
1152 [확정공지] 2022년 국가유공자 참전 보훈대상자 보훈보상금 급여 수당 월 지급액표 댓글+24 2021.12.08 36532 0
1151 [국회] 월남전 참전자 전투수당 특별법, 공청회 개최 요구, 당시 한국정부가 착복한것 아닌가? 댓글+1 2021.12.08 3562 0
1150 [보훈처] 상이군경등 국가유공자 여객선 이용, 종이승선권에서 유공자증으로 이용가능 댓글+9 2021.12.06 3771 0
1149 [긴급공지] 2022년 예산안 국회본회의 통과, 보훈보상금 수당 평균 5% 인상, 참전명예수당… 댓글+52 2021.12.03 7941 0
1148 [공지] 보훈보상금 수당의 소득인정, 부양의무자 관련 피해사례 방송 언론 인터뷰 요청 (~12… 댓글+3 2021.11.30 2564 0
1147 [법률] 보훈보상대상자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 발의 (명칭 변경) 댓글+5 2021.11.30 1989 0
1146 [법률] 상이등급기준 일부 개정령 안내 (난소 난관 상실, 눈 시력, 손가락 발가락 절단) 2021.11.29 2757 0
1145 [보도] 정부는 ‘그린뉴딜’로 친환경차 시장 확대하는데 국가유공자 차량 지원은 LPG만? 댓글+14 2021.11.23 4045 0
1144 [보도] 국민권익위, “입대 전 범죄사실 이유로 국가유공자 예우·지원 제외는 잘못” 2021.11.23 1459 0
1143 [공지] 유류세 인하에 따른 LPG지원금 한시적 인하조치 안내. 전기차 충전요금 구매대금 지원… 2021.11.22 3530 0
1142 [보도] 옆도시 이사 갔더니… “65세 안돼 보훈 명예수당 못드립니다” 댓글+4 2021.11.19 2674 0
1141 [대선공약] 민주당 이재명 후보 소공약. 국공립병원 위탁병원 지정 댓글+11 2021.11.18 3274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