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보훈부, 생활환경 변화를 반영한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기준 개선 추진

[보도] 보훈부, 생활환경 변화를 반영한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기준 개선 추진

공지사항

[보도] 보훈부, 생활환경 변화를 반영한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기준 개선 추진

1 1,109 2023.12.20 19:37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 국사모 유튜브, 카카오톡 채널에 가입하시면 관련 소식을 보내드립니다.
▷ 전화 : 0505-379-8669
▷ 이메일 : ymveteran@naver.com
▷ 국사모 쇼핑몰  : https://www.kbohun.com
▷ 국사모 카카오톡 채널 가입  : https://pf.kakao.com/_NDxlKl
▷ 국사모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s://bit.ly/3taVGkA
▷ 국사모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ymveteran.com
▷ 국사모 공식 블로그 : https://ymveteran.tistory.com

자료제공 : 국가보훈부

- 젊은 장병 눈높이와 생활환경 변화를 반영한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기준 개선 추진
㉠일상생활 불편함 많은 장애 등급인정 범위 확대
㉡의무복무 장병을 위한 군 복무 중 발생·악화 질병 판정 기준 새롭게 마련
㉢질병의 위중도 뿐만 아니라 치료 후 생활 불편까지 고려한 판정 기준 합리적 개선
- 보훈부, 내년 상반기까지 세부 개선안 마련 및 전문가 자문 후 입법 완료 계획

[ 상이등급 판정 기준 개선 ]
박민식 장관은 이와 함께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인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는 일류 보훈’ 실현을 위해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판정 기준 개선을 통해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고 더 많은 분들이 국가적 예우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젊은 의무복무 장병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오래되고 불합리한 상이등급 기준을 개선하기 위해 국가보훈부 승격 시 상이등급 기준을 전담하는 심사기준과를 신설하고 개선 방향을 검토해 온 결과이다.

기준 개선 방향은 군 복무 중 부상이나 질병을 얻은 장병이 전역 후 일상에서 겪는 불편 등을 고려하여 등급인정 범위를 확대하고, 의무복무자의 질병 관련 등급 기준을 새롭게 마련한다는 것 등이 주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 ㉠컴퓨터나 휴대폰 등의 사용이 일상화된 현대 사회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이 많은 장애(손가락 상실 및 기능장애)에 대한 등급인정 범위를 확대하고,
<예시>
◈ 군 훈련 중 사고로 셋째 또는 넷째 손가락이 1마디 절단된 경우
- (현행) 등급기준미달 → (개선) 7급 등급판정  ※ 7급 보상금 : 월568천원

㉡의무복무 장병에 대한 국가책임 강화 차원에서 입대 전 이미 가지고 있던 질병이더라도 군 복무 중 발현되거나 악화된 경우에는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판정 기준을 새롭게 마련할 예정이다.
<예시>
◈ 의무복무 장병이 입대 후 ‘강직성척추염’ 질병이 발현된 경우
- (현행) 구체적 등급판정 기준이 없어 유사 장애내용을 참고하여 판정
→ (개선) 강직성척추염 질병 특성을 반영하여 구체적 기준 신설
- (대상 질병) 강직성척추염,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등

또한, ㉢군 복무 중 발생한 질병에 대하여 위중도는 물론 치료 이후에도 긴 시간동안 감수해야 하는 생활 불편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등급판정 기준을 합리적으로 개선하면서,
<예시>
◈ 악성종양(암)으로 인한 일상생활 불편함 고려
- 위중도가 동일한 방광암이라도 소변주머니 착용 등으로 생활의 불편이 많은 경우에는 등급 상향 검토

㉣최신 의학기술 발달을 반영하여 장애 측정 방법을 보완하는 등 등급판정 기준의 신뢰성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국가보훈부는 이 같은 상이등급 기준 개선 방향에 따라, 2024년 상반기까지 세부 개선안을 마련한 후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입법을 완료할 계획이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은 “국가안보의 최일선에서 복무하는 장병들의 부상과 질병에 대해 끝까지 책임지는 것이 국가의 책무이며 ‘일류보훈’”이라며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기준 개선을 통해 현행 기준으로 등급판정을 받기 어려웠던 분들도 보훈의 영역에 포함되어 합당한 예우와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국가유공자 등 상이등급 기준 개선 > 보상정책국

□ 검토 배경
ㅇ합리적인 상이등급 판정기준을 마련하여 국가를 위한 희생과 공헌에 합당한 예우 및 보상 실시
ㅇ상이등급 심사 기준에 일상생활 불편도, 최신 의학기술 변화 등을 반영하여 국가책임 강화 추진

□ 개선 방향
◇ 노동환경, 일상생활 불편함 등을 반영하여 상이등급 기준 합리적 개선
ㅇ컴퓨터·휴대폰 사용 환경 등 사회적 변화를 등급기준에 반영하여 손가락 절단의 등급인정 범위 확대 등
예시) (7급 판정) 손가락 1마디 상실 : 첫째, 둘째 손가락  ⇒  셋째, 넷째 손가락까지 확대

개선 전
▸군복무 중 훈련 지원 차량 고장으로 견인 작업 중 견인장치에 셋째 손가락 1마디가 절단되는 사고를 당한 ㅇㅇㅇ님의 경우, 셋째손가락 1마디 절단이 등급기준에 해당되지 않아 “등급기준 미달” 판정

➨ 개선 후
▸7급 등급판정 기준을 셋째, 넷째 손가락 1마디 절단까지 확대함에 따라 “상이등급 7급 판정”을 받게 됨으로써 국가유공자로서 합당한 예우 및 보상 지원

ㅇ의무복무자의 입대 후 발생하거나 악화된 질병 중 기준이 없는 질병에 대한 구체적 판정 기준 마련
예시) 강직성척추염,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등

ㅇ군 복무 중 발생한 질병별 위중도와 생활불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등급판정 기준 개선
예시) 악성종양(방광암) 등으로 장루, 요루로 평생 살아야 하는 사람은 등급 상향 등 검토

ㅇ의학기술 발달을 반영한 장애 측정방법 보완으로 등급판정의 신뢰성 확보
예시) 팔다리 줄어듦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법 보완 등

□ 추진 계획
ㅇ (‘24. 1/4분기) 상이등급 심사 기준 개선안 마련
ㅇ (‘24. 2/4분기) 상이등급 심사 기준 관련 입법 추진

□ 기대 효과
ㅇ 현행 기준으로 등급판정을 받기 어려웠던 분들도 보훈 영역에 포함, 국가를 위한 희생과 공헌에 합당한 예우 및 보상 지원
ㅇ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고 희생‧공헌에 합당한 예우를 다함으로써 국가 신뢰 강화


Comments

허니몬드 2023.12.20 23:17
셋째 손가락 1마디 7급.. 당연히 등급 인정 해줘야죠.
그리고, 한 손의 두개 손가락 1마디씩 절단은 7급에서  6급3항으로 상향되어야지요.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393 [정보] 2021년 알기쉽게 풀어보는 특수임무유공자 및 유족을 위한 보훈지원제도 2021.02.23 1095 0
1392 [보도] 보훈위탁의료기관 늘리고 있다지만, 필수의료과는 여전히 태부족 댓글+1 2022.09.19 1095 0
1391 [공지] 무공 참전유공자 위탁병원 감면이용 연령제한 폐지 (2023년 10월부터) 2023.07.04 1099 0
1390 [취업] 성우하이텍 생산직 채용 안내 (~4.23) 2021.04.21 1105 0
1389 [취업] 2021년 한국자산관리공사 업무지원직(취업지원전형) 채용 (~4.30) 2021.04.21 1106 0
열람중 [보도] 보훈부, 생활환경 변화를 반영한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기준 개선 추진 댓글+1 2023.12.20 1110 0
1387 [서울시] 서울시 '나라사랑 청년상' 만든다. 청년 국가유공자 전시관도 운영 2022.02.13 1114 0
1386 [국민권익위] 가족 없는 무연고 국가유공자의 쓸쓸한 죽음 막는다. 댓글+1 2023.03.08 1118 0
1385 [공지] 국가유공자등 전역전 6개월 신청 관련 입법예고(2020년 9월 시행예정) 2020.07.05 1119 0
1384 [취업] LG이노텍 구미공장 생산직 (~4.16) 2021.04.09 1120 0
1383 [보도] 보훈부, 지역별로 다른 ‘참전수당 상향평준화’ 본격 추진 2023.10.10 1120 0
1382 [취업] 수원도시공사 업무직 채용 (~4.16) 2021.04.09 1123 0
1381 [공지] 국사모 공식 블로그 누적방문자 100만명 달성에 따른 인사말 댓글+5 2021.06.01 1129 2
1380 [보훈처 설명자료] 취업지원 관련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 2022.12.21 1132 0
1379 [보훈부] 국립서울현충원, ‘1만여명 어린이들의 꿈동산’ 되다 2023.06.18 1132 0
1378 [보훈처] '집단감염' 대전보훈병원 의료진의 고발…"병원 대처 미흡" 2021.12.29 1136 0
1377 [공지] 제7회 서해수호의 날. 서해수호 55영웅들을 추모합니다. 고귀한 희생을 잊지 않겠습니… 2022.03.25 1137 0
1376 [보훈처] 국가보훈처 제44차 주간업무 점검회의 자료 (2020.11.23.~2020.11.2… 2020.11.26 1138 3
1375 [보도] 이희완 보훈부 차관 임명자, 일류보훈으로 보답하는 보훈 체계 정립 최선 2023.12.07 1141 0
1374 [정보] 2021년 알기쉽게 풀어보는 보훈보상대상자 및 유족을 위한 보훈지원제도 2021.02.23 1144 0
1373 [공지] 국민권익위, “18년 간 부친 간병했다면 차남이라도 국가유공자 선순위 유족 인정해야” 댓글+1 2021.09.10 1144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