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예산안] 국가보훈처 2022년 예산안 5조 8,530억원 편성

[보훈예산안] 국가보훈처 2022년 예산안 5조 8,530억원 편성

공지사항


[보훈예산안] 국가보훈처 2022년 예산안 5조 8,530억원 편성

3 2,757 2021.08.31 12:50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제공 : 국가보훈처

‣ 보상금 및 수당 인상
- 보상금, 간호수당, 6·25자녀수당 및 고엽제수당 5% 인상
- 부모 모두 사망한 전몰·순직군경 등의 자녀의 보상금 수령 연령을만 19세 미만에서 만 25세 미만으로 상향
- 80세 이상 저소득 참전·특수임무·5·18민주유공자 등 생계지원금 지급 신설

‣ 근접 의료서비스 개선
- 보훈위탁병원을 640개소까지 확대
- 75세 이상 참전유공자 및 무공수훈자 위탁병원 약제비 지원

‣ 상이 국가유공자 등의 교통편의 개선
- 상이 국가유공자 등 대중교통 이용시 교통복지카드 1장으로 전국 이용
- 보철용 친환경차량(수소·전기차) 이용 지원

‣ 제대군인 지원 강화
-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전직지원금 인상
- 법정 기념주간으로 지정된 ‘제대군인 주간’ 행사 확대

□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2022년도 국가보훈처 소관 예산안을 5조 8,530억원으로 편성, 3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다고 밝혔다.

□ 예산안은 국가유공자와 유가족 등의 영예로운 생활 지원을 위해 ① 보상금 및 수당 인상, ② 근접 의료·복지서비스 개선,③ 상이 국가유공자 등의 교통편의 개선, ④ 국립묘지 확충 및 조성,⑤ 제대군인 지원 강화 등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

□ 예산안 편성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보상금 및 수당 인상) 독립유공자 및 국가유공자와 그 유가족 등의 보상금과 수당을 인상하고 4조 5,382억원을 편성했다.

ㅇ 국가유공자와 그 유가족 등에게 지급하는 보상금은 5% 인상하여 3조 1,975억원을 편성했다.
- ‘22년부터는 부모가 모두 사망한 전몰·순직 군경 등의 자녀가 보상금을 받을 수 있는 연령을 만 19세 미만에서 만 25세 미만으로 확대함으로써 대학 진학 등 현실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없는 자녀의 자립기반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ㅇ 보상금 외에 6·25자녀수당, 고엽제수당, 간호수당도 5% 인상하여각각 2,994억원, 2,984억원, 566억원을 편성했다.

ㅇ 80세 이상 참전유공자‧고엽제후유의증환자(등급판정자), 특수임무유공자‧5·18민주유공자 및 선순위 유족 중 중위소득 50% 이하인 경우에도 매월 10만원의 생계지원금을 지급하게 된다.

② (근접 의료·복지서비스 개선) 보훈위탁병원을 확대하고 약제비 지원 대상을 넓히는 등 의료복지서비스 지원을 위해 7,560억원을 편성했다.

ㅇ ‘20년부터 매년 100여개씩 추가하고 있는 위탁병원을 ‘22년에는 640개소까지 확대한다.
* 위탁병원 확대 : (’21. 7월) 435개소 → (’22년 말) 640개소

ㅇ 또한, 그동안 75세 이상 참전유공자와 무공수훈자는 보훈병원을 이용할 경우에만 약제비가 지원되었으나, ‘22년 4분기부터 위탁병원 이용시에도 약제비를 지원한다.

③ (상이국가유공자 등 교통편의 개선) 12만여명에 달하는 상이 국가유공자 등의 교통복지카드 이용 불편을 개선하고, 친환경차량 이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76억원을 편성했다.

ㅇ 그동안 상이 국가유공자는 거주지 외 타 시·도 대중교통 이용 시 본인 확인을 위해 별도의 신분증(수송시설이용증서 등)을 제시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22년 하반기부터는 이런 절차 없이 전국 호환이 되는 교통복지카드 1장으로 전국 어디서나 시내버스와 지하철 단말기에 접촉만 하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ㅇ 또한, 탄소중립 정부시책에 발맞춰 상이 국가유공자 등의 보철용차량으로 액화석유가스(LPG) 차량뿐만 아니라 친환경 수소, 전기차도 지원이 가능하도록 확대할 계획이다.

④ (국립묘지 확충 및 조성) 국립묘지 안장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안장능력 확충 및 신규 조성을 위해 446억원을 편성했다.

ㅇ 국가유공자 고령화에 따른 안장수요 확충을 위하여 이천, 영천, 임실, 괴산 등 4개 호국원 확충과 연천현충원의 조성을 지속 추진한다.
- 연도별로는 ‘23년까지 4개 호국원의 확충사업을 완료하여 115천기를 추가 조성할 계획이며, ‘25년까지 연천현충원 50천기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ㅇ 아울러, 강원권 국가유공자 국립묘지 안장 편의와 수도권 국립묘지의 조기 만장에 대비하여 강원권 호국원 조성을 위한 타당성조사 용역을 실시할 계획이다.

⑤ (제대군인 지원 강화)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의 전직지원금을 대폭 인상하고 제대군인주간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65억원을 편성했다.

ㅇ 중·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안정적 구직활동 지원을 위해 지급하는 전직지원금은 ‘22년부터 중기복무 제대군인은 25만원에서 50만원, 장기복무 제대군인은 50만원에서 70만원으로 각각 100%와 40% 인상할 계획이다.

ㅇ ‘22년부터 ’제대군인 주간‘이 법정 기념주간으로 지정됨에 따라 국가를 위해 헌신한 제대군인의 자긍심을 높이고, 제대군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행사규모를 확대하여 추진한다. 〈끝〉

붙임 : 국가보훈처 2022년 예산안 규모

□ 총지출은 5조 8,530억원, ‘21년 본예산 대비 180억원(0.3%) 증가

* 의무지출 : (‘21) 4조 8,097억원 → (‘22) 4조 8,850억원(+753억원, 1.6%)

* 재량지출 : (‘21) 1조 253억원 → (‘22) 9,680억원(△573억원, △5.6%)

ㅇ 세출은 5조 6,322억원으로, ‘21년 대비 297억원(0.5%) 증가

* 주요증액 : 보상금 및 수당(+745억원), 진료비(+175억원), 교통이용지원(+71억원)

ㅇ 기금은 2,208억원으로, ‘21년 대비 △117억원(△5.3%) 감소

- 보훈기금은 1,255억원으로 △203억원(△13.9%) 감소

- 순국선열·애국지사사업기금은 953억원으로 86억원(9.9%) 증가
* 주요증액 : 독립유공자및유족지원(+86억원)

< ‘22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규모 >


Comments

저스틴 2021.08.31 14:00
역시나 7급 5%
부산유공 2021.08.31 16:06
7급 추가인상에 대한 언급은 없었네요..몇년전에 7급 추가 1.5프로 추가인상할때는 예산안 공고에도 언급이 있었는데..지금 이렇게 7급 추가인상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것은 거의 그냥 5프로 확정입니다...ㅜ,ㅜ 우울해지네요..매년 이맘때만 되면....
뺑가리 2021.09.01 16:54
그렇네요 ㅜㅠ 보훈청에서 이야기한 7급과 6급의 보상금 비율을 2027년까지 좁힌다 이야기 한건 그냥 자기네들 생각 뿐이였네요 ㅜㅠ 보훈처 담당공무원들 말을 믿은 내가 벼~~엉~~신 이였네요 ㅜㅠ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0 2024.10.05 41604 0
[보훈지원] 2024년 대상분류별 국가유공자 참전 보훈대상자등 보훈지원 안내자료 2021.03.28 27018 2
[공지]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 국사모 보훈정책공약 주요핵심요구안 댓글+12 2021.10.15 16045 1
[공지] 신체검사,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등록 상담안내 댓글+4 2014.03.03 22513 1
1729 [긴급공지]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정무위 의결, 보훈의료 참전명예수당 등 댓글+3 07.02 828 1
1728 [제휴협찬] 교육전문기업 장원교육, 국가보훈대상자 수업료 무료(사회복지사, 미용사 등) 댓글+1 06.18 964 0
1727 [공지] 월남참전유공자 제복 문의, 제품교환, 신청 문의 (해외거주자, 미신청자) 06.09 464 0
1726 [공지] 국사모 유튜브, 카카오톡 채널에 가입하시면 관련 소식을 보내드립니다. 06.08 480 0
1725 [공지] 이재명 대통령 제70회 현충일 추념사,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주어져야 댓글+8 06.06 2467 1
1724 [공지] 이재명 대통령 취임사, “진보 보수 없다. 모두의 대통령 되겠다” 06.04 862 1
1723 [대선 정책공약집] 2025 제21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보훈정책공약" 발표 댓글+8 05.29 5481 2
1722 [보훈공약_텍스트]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 국사모 보훈정책공약 주요핵심요구안 댓글+16 05.13 7193 4
1721 [보훈공약_PDF]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 국사모 보훈정책공약 주요핵심요구안 05.13 1528 0
1720 [유튜브] 월남참전 노병의 마지막 소원. 미지급 전투수당 지급. 그리고... 05.07 3167 0
1719 [공지] ‘호국보훈의 달’ 보훈대상자 무료 건강검진 실시 (5.1~) 05.06 1821 0
1718 [국회] 정무위 국가보훈부 소관,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993억4,200만원 증액 통과 댓글+1 04.29 1762 0
1717 [보훈부] 국가유공자 ‘공설 화장시설 이용요금 면제’ 혜택 서류 간소화 댓글+3 04.27 1251 0
1716 [정책] 김성태 구리시의원, “국가유공자 마을버스 무료 이용 지원 필요” 04.25 836 1
1715 [국회] 2025년 보훈보상 정책포럼, 국가책임과 보훈보상제도 발전 방향 (2025.03.19… 댓글+1 04.24 2438 0
1714 [보훈부] ‘국가보훈대상자 주택우선공급 온라인 지원시스템’ 구축 추진 댓글+2 04.21 1239 0
1713 [공지] 상이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등 보철차량의 "민자 유료도로" 통행료 유의 안내 댓글+2 04.20 2944 2
1712 [공지] 2025년 1학기 보훈가족장학 신청 안내 (~4.30) 04.17 758 0
1711 [공지] 포스코1%나눔재단의 국가유공자 첨단보조기구 지원 안내 04.17 654 0
1710 [제10회 서해수호의 날] 국가를 위한 희생을 끝까지 책임지고 지원하는 보훈 천명 03.29 682 0
1709 [정책] 국민의힘 주요 보훈정책 추진, 위탁병원 전국 1차 의원급 확대, 참전 배우자 생계지원… 댓글+4 03.27 2105 1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