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CRPS등 만성통증질환 코로나 대응수칙. 코로나확진 처방 유의사항

[보도자료] CRPS등 만성통증질환 코로나 대응수칙. 코로나확진 처방 유의사항

공지사항


[보도자료] CRPS등 만성통증질환 코로나 대응수칙. 코로나확진 처방 유의사항

0 2,409 2021.01.26 17:05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보도자료 출처 쿠키뉴스 :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2101230021


'코로나 확진' 만성통증 환자에 항염증제‧스테로이드 처방 주의해야

전미옥  / 기사승인 : 2021-01-23 10:37:02


대한통증학회, 코로나19 상황서 통증환자 지침 발표...확진 등 비상 시 권고사항 안내


21일 서울 중구 삼익패션타운 주차장에 마련된 '전통시장 찾아가는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시장 상인들이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박태현 기자

[쿠키뉴스] 전미옥 기자 =통증질환이 있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환자에 대한 마약성 패취 사용 및 스테로이드 주사치료 등을 주의해야 한다는 학계의 권고가 나왔다. 


대한통증학회는 22일 '코로나19 상황에서 통증 환자 관리를 위한 일반지침'을 통해 이같은 사항을 발표했다. 


이번 지침은 ▲감염방지에 관한 사항과 ▲암성통증 등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한 치료 지침 ▲응급시술, 긴급시술, 선택적시술 등 시술에 따른 진료지침 ▲이전과 동일한 투약처방이나 병원 방문의 필요성에 관한 상담에 대한 전화진료 권고 ▲마약성진통제를 이용하는 환자들의 안전을 위한 약물사용 지침 등이 담겼다. 


코로나 상황에서 환자들이 감염을 예방하고, 코로나 감염 및 감염 의심 시 환자와 의료진에 권고하는 주의사항, 비상 시 적절한 치료를 위한 안내 등 제반 사항을 꼼꼼히 마련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코로나 상황 속에서 만성통증환자 치료 시 진료지침과 마약성 진통제 및 약물사용 관리 지침을 제시해 주목된다. 


만성통증환자의 경우, 갑작스러운 마약성 진통제의 중단은 통증의 심각한 악화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다만 코로나 확진 시에는 주치의와 상의해 처방 목록 등을 짚어봐야 할 전망이다. 


통증학회는 "코로나 감염 확진으로 입원해 코로나 치료제나 기타 약물 치료가 이뤄질 경우 간, 신장 등의 손상이 우려될 수 있으므로 만성통증에 대한 약제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며 "패취 제재 (마약성 패취, buphrenorphine 패취, 리도카인 패취)를 사용하는 경우, 체온 상승이나 중환자실에서 가온 베드 등으로 인해 체내 흡수율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호흡저하 등과 같은 약물부작용에 유의하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확진된 통증환자에 대하 스테로이드 사용에도 주의를 당부했다. 학회는 "스테로이드는 면역체계를 억제하고 감염, 폐렴 등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관절강내 스테로이드 주사는 독감 백신과 병행할 경우, 독감에 감염될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며 " 척추시술에 사용하는 스테로이드도 수 일간 호르몬 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스테로이드를 이용하는 주사치료는 위험 및 이득을 따져서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가능하면 사용하는 스테로이드 용량을 줄이는 것을 고려하며, COVID-19 판데믹 상태에서 고위험환자에게 스테로이드 주사를 시행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학회는 "NSAIDs는 체내 안지오텐신전환효소 (ACE2)를 증가시켜 COVID-19 감염 위험성을 높일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실제로 증명된 바는 없다"며 "NSAIDs 처방은 가능하나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처방해야 한다. 단, NSAIDs 사용시 주의할 점은 초기 증상인 발열, 몸살 등을 가릴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romeok@kukinews.com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0 2024.10.05 50092 0
[보훈지원] 2024년 대상분류별 국가유공자 참전 보훈대상자등 보훈지원 안내자료 2021.03.28 27867 2
[공지]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 국사모 보훈정책공약 주요핵심요구안 댓글+12 2021.10.15 16869 1
[공지] 신체검사,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등록 상담안내 댓글+4 2014.03.03 24237 1
1786 [권익위] 지원공상군경 등 보훈수당 지급 관련 사각지대 해소 권고 댓글+2 11.07 427 0
1785 [종합감사] 나형윤 예비역 중사, 국가를 위한 희생 상을 원한것이 아닌 합당한 대우를 바라는것 10.31 710 1
1784 [종합감사] 부승찬 의원, 국가가 책임지는 모습 보여야, 참전명예수당 월100만원 수준으로 10.30 507 0
1783 [종합감사] 허영 의원, 미혼 순직전사자 국립묘지 부모합장 가능해야 10.30 251 0
1782 [종합감사] 이양수 의원, 월남참전제복 15%(11,800명) 미지급 10.29 305 0
1781 [종합감사] 이헌승 의원, 참전유공자 배우자 생계지원금 신설은 보여주기식 행정 10.29 287 0
1780 [종합감사] 유영하 의원, 국립묘지 유골함 침수(결로 물고임) 대책마련 하라 10.28 287 0
1779 [국정감사] 이인영 의원, 보훈부의 가혹한 보훈관련 소송관행 혁파해야 10.23 521 0
1778 [국정감사] 이양수 의원, 보훈급여금을 1969년부터 무려 46년5개월간 부정수급 10.23 779 0
1777 [국정감사] 이헌승 의원, 5년간 보훈급여 519건 약 47억원 규모의 부정 수급 적발 10.22 552 0
1776 [공지] ‘국가보훈장해진단서’ 발급병원 내년부터 140곳으로 확대 댓글+4 10.22 720 1
1775 [국정감사] 이정문 의원, 방탄소년단 RM 기부금 1억을 참전유공자를 위해 사용 못한다 댓글+1 10.22 314 0
1774 [국정감사] 김재섭 의원, 보훈돌 집행예산 4억4천 누구를 위한 사업인가? 10.21 341 0
1773 [국정감사] 윤한홍 위원장, 국가보훈은 좌우 이념에 휘둘리지 말아야 댓글+1 10.20 456 0
1772 [국정감사] 강민국 의원, 권오을 보훈부 장관 취임후 세종청사 근무일수 10일 10.20 349 0
1771 [국정감사] 이인영 의원, 국가유공자 긴급대부지원 현실성 떨어져 개선필요 10.19 492 0
1770 [국정감사] 김상훈 의원, 취업지원제도 개선, 참전명예수당 월50만원 인상 무산 10.19 445 0
1769 [국정감사] 이양수 의원, 강윤진 차관 발언 보훈부에는 "기억 나지 않는다." 거짓해명 10.18 319 0
1768 [국정감사] 추경호 의원 질의, 국제대회 메달리스트를 보훈대상자 편입 추진 발언 논란 댓글+3 10.18 477 0
1767 [국정감사] 한창민 의원, 국가를 위해 헌신한 그들이 임종하는 그 순간에 대한민국은 없었다 10.17 366 0
1766 [국정감사] 이헌승 의원 질의, 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보훈보상금 미지급 사태 발생 10.17 336 0
Category

0505-379-8669
010-2554-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