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보도자료] 국가유공자 중증질환 및 희귀질환자 '코로나19 백신' 조기접종 이뤄져야

[성명서 보도자료] 국가유공자 중증질환 및 희귀질환자 '코로나19 백신' 조기접종 이뤄져야

공지사항

[성명서 보도자료] 국가유공자 중증질환 및 희귀질환자 '코로나19 백신' 조기접종 이뤄져야

0 2,276 2021.02.03 13:49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안녕하십니까. 회원여러분.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코로나백신 접종계획과 관련하여 국사모와 자매단체의 성명서 관련 보도자료를 첨부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가유공자중 코로나19 취약한 중증질환과 희귀난치성질환 대상자의 백신접종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건의하였습니다.

 

출처 경향신문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102021956001&code=940601

 

중증질환 및 희귀질환자 '코로나19 백신' 조기접종 이뤄져야

입력2021.02.02. 오후 7:56  수정2021.02.02. 오후 7:56

[경향신문]

한국복합부위통증증후군환우회, 한국다발성경화증협회, 한국다발골수종환우회, 부신백질이영양증부모모임,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 등 5개 단체가 현행 ‘코로나19 예방접종 계획’ 정부안에 대한 보완책으로 “중증질환자와 희귀질환자에 대한 조기접종 계획을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환우회 단체들은 2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이같이 주장하면서 “정부안의 취지와 목표를 고려했을 때, 중증질환자와 희귀질환자는 늦어도 2분기 혹은 그 이전에 접종을 완료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환우회는 단체들은 “정부안은 중증 및 사망 예방, 의료방역 사회필수기능 유지, 지역사회 전파와 집단 감염 차단 등을 목표로, 이에 부합하는 접종 우선순위(대상군별 접종 시작 시기)를 제시하려는 것”이라면서 “다만 현행 정부안대로 진행된다면, 암환자를 비롯해 면역력이 취약한 중증환자뿐 아니라 의료서비스 접근이 제한적인 희귀질환자의 경우도 64세 이하라면 3분기 이후에나 접종이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성명서는 암환자를 비롯한 중증질환자의 경우 면역력이 매우 낮아진 상황이라, 감염병에 극히 취약한 상태이며 치명률도 높아진다고 지적했다. 중증질환자들의 접종이 늦어진다면 접종 계획의 최우선 목표 중 하나인 ‘중증 및 사망 예방의 달성’에 큰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희귀질환을 비롯한 일부 중증 질환들은 특정 병원에서만 관리와 치료가 가능하다. 이 환자들이 코로나19에 걸린다면 질환 관리와 치료가 중단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 역시 중증화 및 사망 예방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환우회 단체들은 “중증질환자와 희귀질환자 대상의 백신 접종 우선순위 상향은, 정부안의 최초 취지와 목표 달성을 앞당김은 물론 국민 안전과 건강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효순 기자 anytoc@kyunghyang.com


출처 매일경제 :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2/113471/


입력2021.02.03. 오후 1:23

매일경제 안병준 기자


희귀질환 관련 환우회는 3일 입장문을 내고, 정부의 조기접종 계획에 대해 면역력이 약한 중증질환자와 희귀질환자에 대한 접종 우선순위를 상향해달라고 요청했다.


한국복합부위통증증후군환우회, 한국다발성경화증협회, 한국다발골수종환우회, 부신백질이영양증부모모임,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현행 정부안에 대한 보안책으로 중증질환자와 희귀질환자에 대한 조기 접종 계획을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면서 "정부안의 취지와 목표를 고려했을 때, 중증질환자와 희귀질환자는 늦어도 2분기 혹은 그 이전에 접종을 완료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휘귀질환 관련 환우회가 요청한 조기접종 대상자는 암환자와 희귀난치성질환자이다.


환우회 관계자는 "암환자는 낮은 면역력으로 감염병 발생시 중증화 및 사망이 우려되고 희귀난치성질환자는 기존의 질환 치료와 관리에서 배제될 위험이 크며, 이 경우 중증화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희귀질환 관련 환우회는 현행 정부안대로 진행될 경우, 암환자를 비롯해 면역력이 취약한 중증환자 그리고 의료서비스 접근이 제한적인 희귀질환자 중 64세 이하는 3분기 이후에나 접종이 가능하게 되어 우려하고 있다. 특히 일부 희귀질환은 특정 병원에서만 관리와 치료가 가능해, 이 환자들이 감염병을 얻게 될 경우 기존에 받아 온 질환 관리와 치료가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환우회 관계자는 "중증질환자들의 접종이 늦어진다면, 접종 계획의 최우선 목표 중 하나인 '중증 및 사망 예방의 달성'에 큰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암환자를 비롯한 중증질환자의 경우 면역력이 매우 낮아진 상황이라, 감염병에 극히 취약한 상태이며 치명률도 높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안병준 기자]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534 [보훈처] 국가유공자 등록심사 제도개선으로 '서해수호' 부상장병 등록 및 예우 확대 2022.03.23 1651 0
533 [안내] 서울시, 중증장애인 10만 세대에 수도요금 감면 (5월부터) 댓글+1 2022.03.23 1191 0
532 [공지] 제7회 서해수호의 날. 서해수호 55영웅들을 추모합니다. 고귀한 희생을 잊지 않겠습니… 2022.03.25 1158 0
531 [설문투표] 전공상 상이(고엽제 포함)를 입은 국가유공자로서 일반장애(읍면동 주민센터) 등록여… 2022.03.28 3117 0
530 [자매단체보도] “尹정부에 바란다”… 환자들의 아우성 2022.03.29 1540 0
529 [보도자료]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복지문화분과 국가보훈처 업무보고 댓글+9 2022.03.29 6361 0
528 [공지] 상이등급 관련 시행령 시행규칙, 기준 완화, 시력 손발가락 난소상실(4월중 시행 예… 댓글+2 2022.04.04 2311 0
527 [공지] 상이 국가유공자(상이군경,고엽제,보훈지원대상)의 일반 장애등록 댓글+1 2022.04.06 4059 0
526 [자매단체보도] 희귀난치질환자가 차기 정부에 바라는 제언 2022.04.09 1024 0
525 [보도] 2020 네덜란드 인빅터스게임 최초 출전, 대한민국 선수단 결단식 2022.04.12 1084 0
524 [보도] 구자근 의원, 대통령 공약인 참전명예수당 2배 인상 적극 나설 것 댓글+5 2022.04.17 5557 0
523 [알기쉬운 보훈제도] 국가유공자 참전 보훈가족의 보훈급여금 보상금 수당에 대한 주요 궁금증 1… 2022.05.12 5241 0
522 [알기쉬운 보훈제도] 공무수행 부상임에도 국가유공자가 아닌 보훈보상요건을 받은 경우 2022.05.09 1267 0
521 [보훈처] 제32대 박민식 국가보훈처장 취임사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는 일류보훈을 실현하겠습니… 2022.05.13 2282 0
520 [공지] 당신의 고귀한 선택이 대한민국을 지켜냈습니다. 젊은날 그대의 선택은 고귀했습니다. 댓글+1 2022.04.22 2253 0
519 [알기쉬운 보훈제도] 귀 청력의 신체검사와 상이등급 규정 2022.05.06 2360 0
518 [공지] 민주당 김병욱 의원, ‘보훈영역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3법 발의 2022.05.02 3157 0
517 [공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윤석열 정부의 110대 국정과제 보훈분야 발표 댓글+11 2022.05.04 8224 0
516 [알기쉬운 보훈제도] 여러 상이처, 상이처 악화등의 경우는 최종 합산된 상이등급이 어떻게 되는… 2022.05.15 1529 0
515 [미국의 참전용사 예우] 당신은 영웅입니까? 당신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댓글+1 2022.05.18 2009 0
514 [공지] 2022년 제67회 현충일 및 호국보훈의 달. 국가유공자 보훈가족 열차, 국내선 항… 댓글+2 2022.05.21 2938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