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공자 대출·돌봄 바우처 멈췄다… 서민 금융 타격에 금융권 북새통
전유진 기자 입력 2025.09.29 17:30 수정 2025.09.29 17:53
대출·계좌 개설 등 핵심 서비스 돌아왔지만
나라사랑대출·국민행복카드는 여전히 '먹통'
모바일 신분증 발급·국민비서도 당분간 중단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금융권 혼선이 나흘째 이어지고 있다. 계좌 개설, 대출 신청 등 금융 업무 대부분이 정상화됐지만 국가유공자 대출 등 일부 서비스가 여전히 차질을 빚어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29일 오후 행정안전부는 현재까지 62개 서비스가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현재 복구율은 9.58%다. 금융 서비스 가운데 정부24, 우체국 금융서비스, 디지털원패스, 전자문서진본확인시스템, 금융위원회와 금융정보분석원(FIU) 홈페이지 등 핵심 기능 대다수는 다시 가동됐다. 다만 정부 시스템을 거쳐야 하는 일부 대출과 카드 발급 서비스 등이 복구되지 않아 금융권 혼란은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날 시중은행과 증권사는 쏟아지는 문의 전화와 방문 고객으로 북새통을 이뤘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중단 관련 안내를 드리고 있지만, 중장년층 고객이 무작정 지점을 찾아 문의하는 경우가 많아 혼란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여전히 먹통인 서비스에 항의하는 방문객도 있었다. 실제 국가보훈증을 활용해 돈을 빌려주는 'KB나라사랑대출' 상품은 화재로 소실된 국가보훈부 데이터베이스(DB)가 복구되지 않아 현재 신청이 중단됐다. 해외 인터넷 주소(IP) 차단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로그인이나 거래 이체가 제한되기도 했다.
비대면으로 거래하는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은행은 한때 정부24를 통한 본인 확인 인증 절차가 막혀 신규 계좌 개설과 전세·주택담보 대출 신청에 혼선을 빚었다. 정부24가 복구되면서 업무가 재개됐지만 모바일 신분증 발급, 국민비서 알림 서비스 등 기능이 여전히 멈춰 있어 고객 항의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이날 예정됐던 주간운용사 선정 일정도 무기한 연기됐다. 당초 연기금 투자풀 주간운용사 정성평가 일정이 잡혀 있었으나,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나라장터 접속 장애가 발생하며 입찰이 밀렸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진행 중인 공익직불금 지급 대상 농업인 자격 검증도 순조롭지 않아 검증 기간이 이달 말에서 내달 15일까지 연장됐다.
카드·보험업계도 카드 발급, 신용대출, 보험 신청 등 주요 업무 대부분이 정상화됐지만 일부 바우처와 보험상품은 복구가 지연되고 있다. 특히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 마비로 '국민행복카드' 사용자 불편이 크다. 임신·출산 진료비, 아이돌봄서비스, 에너지 바우처 등 복지 서비스 이용이 제한되고 기저귀·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등 물품바우처 신규 신청 등도 막혔다. 보험업계에선 9개 보험사의 펫 보험 가입이 제한됐다.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반려동물 등록번호 조회가 막히면서다.
모든 행정 서비스가 정상화되기까지는 최소 한 달이 걸릴 전망이다.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 관계자는 "화재에 직접 영향받은 96개 시스템은 대구 센터로 이전해 재가동한다"며 "정보 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가 걸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