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제보 ➁] 6·25 참전 고통은 사실인데... “국가유공자는 아니다”

[독자제보 ➁] 6·25 참전 고통은 사실인데... “국가유공자는 아니다”

자유게시판

[독자제보 ➁] 6·25 참전 고통은 사실인데... “국가유공자는 아니다”

민수짱 0 69 16:15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독자제보 ➁] 6·25 참전 고통은 사실인데... “국가유공자는 아니다”
“군수물자조차 보급되지 못한 전장의 특수성 고려해야”
전문의 자문 결과 토대로 법정에서 싸울 것

김현수 기자 tims@hanmail.net
입력 2025.09.02 08:53

[충남일보 김현수 기자] 6·25 전쟁 당시 참전 과정에서 간농양을 앓고 이후 시력 저하까지 겪은 한 참전용사의 사례가 확인됐지만, 국가보훈처는 이 같은 사유로는 국가유공자 지정이 어렵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전투 참여와 질병 발생은 사실로 인정하면서도, 법령이 정한 ‘전상(戰傷)과 공상(公傷)’ 요건과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는 이유다.

-참전·질병은 인정... 국가유공자 지정은 불가.

<충남일보 8월 12일자 5면 보도>에 따르면 보훈당국은 “해당 참전용사가 전투에 참여한 사실 그리고 참전 중 간농양을 앓았던 사실 자체는 인정한다”면서도 “간농양은 적의 무기나 폭발물로 인한 전상이나 군 복무 과정의 특수한 환경에서 발생한 공상으로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현행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은 전투 중 상이, 군 복무 중 불의의 사고 또는 직무와 명백히 인과관계가 있는 질병만을 요건으로 삼고 있다. 감염성 질환은 그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이 당국의 해석이다.

-군 관계자 “보급조차 막힌 상황, 참작해야”

그러나 군 내부에서는 다른 시각도 제기된다. 한 군 관계자는 “직접적인 전투와 무관하게 발생한 질병이라 하더라도 단순한 질환으로 치부하기 어렵다”며 “군수물자 보급도 제대로 안 되는 열악한 전시 환경에서 영양 결핍과 위생 악화로 병이 발생했다면, 이는 단순한 개인 질환이 아니라 전시 특수성에 따른 피해로 참작돼야 한다”고 말했다.

-의학적 사실과 법적 판단의 괴리.

의학 전문가들 역시 첨부된 소견서에서 “간농양은 분명히 전투 중 열악한 위생 환경과 영양 결핍 등으로 촉발될 수 있으며, 시력 상실 같은 중대한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국내외 사례에서도 간농양이 내인성 안내염으로 진행해 실명에 이른 경우가 다수 보고됐다. 하지만 법적 해석은 여전히 엄격했다. 질병의 발생 가능성이 전투 환경과 맞닿아 있다 하더라도 현행 제도는 이를 국가유공자의 범위로 인정하지 않고 있었다. 의료적 사실과 법적 요건 사이 괴리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제도적 한계와 사회적 물음.

이번 사례는 보훈제도의 선별적 인정 구조를 드러낸다. 전투 참여와 희생은 명백하지만, 법적 해석상 “국가유공자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지원에서 배제되는 것이다. 이 같은 판단은 당사자뿐 아니라 유족에게도 큰 상실감을 안긴다.

“국가유공자 지정은 법령과 기준의 문제”라는 정부 입장과 “전투 참여 자체로 이미 희생이 입증된 것 아니냐”는 사회적 문제 제기가 맞서고 있다. 참전의 가치를 어디까지 보장해야 하는지, 제도의 경직성을 풀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 논의가 필요하다.

-소송으로 이어지는 갈등.

유족 측은 전문의 자문 결과를 근거로 국가유공자 지정 불가 처분에 불복해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전투 상황에서 발생한 질병이 단순 개인적 질환으로 치부된 것은 부당하다”는 입장으로 행정소송을 통해 국가의 책임을 다시 따져 묻겠다는 것이다. 향후 법원의 판단이 국가보훈 제도의 해석 범위에 중요한 선례가 될지 주목된다.

출처 충남일보 : https://www.chungnam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7106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1 국사모™ 2024.10.05 41933 0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62185 1
열람중 [독자제보 ➁] 6·25 참전 고통은 사실인데... “국가유공자는 아니다” 민수짱 16:15 70 0
20353 보훈부, 고령·독거 국가유공자 안부 '현관 문열림'으로 확인한다 댓글+1 민수짱 08.30 599 1
20352 재해공상군경 부양가족 수당 댓글+23 용된미꾸라지 08.29 1416 1
20351 [李정부 첫 예산] 국방비 5조원 늘린 66조원…초급간부·첨단무기에 집중, 보훈예산은? 민수짱 08.29 517 1
20350 보훈장관, 독립기념관장에 경고 서한‥"독립운동 폄훼 중단해야" 댓글+1 민수짱 08.28 318 1
20349 이번주에 2026년도 정부 예산안이 나올텐데~~ 궁금하네요. 댓글+1 기갑전설 08.25 1405 2
20348 [단독] 독립유공자 후손 5대까지 보훈 급여금 승계 추진 댓글+4 민수짱 08.21 1167 1
20347 보훈부, 감사원에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감사 적극 검토" 요청 민수짱 08.21 364 3
20346 건강보험료 배제 신청 많이 하시는 지요? 댓글+16 단가슴 08.18 1612 2
20345 이재명 대통령 경축사에 대한 생각 댓글+3 건강지킴은건강할때 08.18 663 1
20344 국가유공자 고독사 위험 심각…정확한 실태 파악·차별화 정책 시급 민수짱 08.15 400 0
20343 이재명 대통령 대선 보훈공약 지키겠죠? 댓글+8 방갑습니다 08.14 2473 2
20342 국가유공자 우선 주차구역에 무단 주차 늘어...과태료 부과하는 조례 없어 지자체는 ‘난감’ 댓글+5 민수짱 08.13 988 2
20341 잊혀진 참전용사들…“일본서도, 한국서도 소외” 민수짱 08.13 275 0
20340 국가유공자 7급 보훈 급여 현실화 및 즉각적 개선 요구 댓글+5 건강지킴은건강할때 08.12 2198 10
20339 “민생지원금도 15만원인데”…참전유공자 예우 놓고 정무위 시끌, 왜? 민수짱 08.08 962 0
20338 [단독] "국방비 'GDP 5%'…보훈예산·민군R&D 등 합산" 민수짱 08.08 948 0
20337 장애인 버스 지원 안내 댓글+3 영진 08.06 988 0
20336 [JTBC 단독] 김 일병 사망 당시…현장 지휘관은 차에 남아 '게임' 민수짱 08.05 443 0
20335 국가유공자의 치료권 실효성과 병원 선택권 확대를 위한 국민청원서 (작성자 : 윤예자 제안… 댓글+2 젓은낙옆 08.03 774 3
20334 권오을 “민주유공자법 제정 서둘러야…예산 1%는 보훈예산으로” 댓글+2 민수짱 08.01 1180 1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