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참전유공자 예우·지원 늘려야 한다

[사설] 참전유공자 예우·지원 늘려야 한다

자유게시판

[사설] 참전유공자 예우·지원 늘려야 한다

민수짱 0 629 06.26 10:27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사설] 참전유공자 예우·지원 늘려야 한다
충청일보  입력 2025.06.25 17:00

6·25전쟁 참전유공자에 대한 처우가 여전히 열악하다.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는 있지만 부족한 턱없이 부족하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 헌신한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충북남부보훈지청에 따르면 현재 도내 거주하는 6·25 참전유공자는 모두 958명이다. 연령별로는 80~89세 40명, 90~99세 906명, 100세 이상 12명이다. 대다수가 90세 이상이라는 사실은 우리에게 이들을 예우할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준다.

현재 유공자들이 받는 참전명예수당은 월 45만원. 이 밖에도 참전유공자 중 80세 이상·중위소득 50% 이하일 때는 매월 10만원의 생계지원금을 받는다. 여기에 지자체가 지역 거주 유공자에게 수당을 지급하는데 그 금액은 천차만별이다. 수당에 대해 명확히 규정하는 법이 없어 지자체 형편에 따라 금액도 다르다. 국가보훈부가 발표한 전국 지자체 참전 수당 지급 현황에 따르면 지자체(광역+기초) 평균으로는 충남이 4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도 31만5000원, 경남 27만1000원, 서울 26만2000원, 충북 25만4000원 등 차이를 보였다.

이것저것 다 합해도 유공자가 받는 수당은 전국 평균 100만원 내외에 불과하다. 이는 국민연금연구원이 발표한 1인 최소 노후 생활비(136만1000원)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참전용사들이 겨우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의 지원을 받는 현실이 아쉽기만 하다.

국가보훈부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수당 상향평준화를 유도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 올해는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자체 참전 수당 가이드라인 2단계 이행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한다. 지자체(광역+기초) 합계액이 2023년 기준 전국 평균(18만원) 이상을 충족하는 기초단체가 광역단체 내 과반수 이상이 되도록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이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정부는 참전명예수당을 최소 생활비 수준으로 현실화해야 한다. 지자체 수당 지급 기준도 법제화해 지역 간 형평성도 보장해야 한다.

사회적 관심과 인식 개선도 필요하다. 젊은 세대들은 6·25 전쟁의 참상과 그들의 희생을 잘 모른다.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참전용사의 헌신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희미해지고 있다. 이들이 진정 존경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물질적 지원과 함께 사회 전반의 인식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가 권익 향상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그래야 유공자들도 자긍심을 가질 수 있다. 자신의 헌신으로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고, 그 헌신이 보람 있고 자랑스럽다는 생각이 들도록 해야 한다. 이는 국가가 마땅히 나서야 할 일이다.

올해는 6·25전쟁 75주년이다. 앳된 청년들은 어느덧 100세를 바라보는 고령이 됐고 매년 세상을 떠난다. 시간이 촉박하다.

더 늦기 전에 이들을 제대로 예우해야 한다. 이는 단지 6·25 참전유공자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 모든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가 강화돼야 한다. 오늘날의 평온은 이들의 희생과 헌신이 있기에 가능했다. 이제는 형식적 예우를 넘어, 시대적 기준에 부합하는 실질적 지원과 처우 개선이 이뤄져야 할 때다.

충청일보 webmaster@ccdailynews.com

출처 충청일보 : https://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51564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0 국사모™ 2024.10.05 41386 0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61873 1
20348 [단독] 독립유공자 후손 5대까지 보훈 급여금 승계 추진 민수짱 08.21 195 0
20347 보훈부, 감사원에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감사 적극 검토" 요청 민수짱 08.21 147 0
20346 건강보험료 배제 신청 많이 하시는 지요? 댓글+11 단가슴 08.18 881 1
20345 이재명 대통령 경축사에 대한 생각 댓글+3 건강지킴은건강할때 08.18 474 1
20344 국가유공자 고독사 위험 심각…정확한 실태 파악·차별화 정책 시급 민수짱 08.15 310 0
20343 이재명 대통령 대선 보훈공약 지키겠죠? 댓글+7 방갑습니다 08.14 1532 2
20342 국가유공자 우선 주차구역에 무단 주차 늘어...과태료 부과하는 조례 없어 지자체는 ‘난감’ 댓글+2 민수짱 08.13 649 2
20341 잊혀진 참전용사들…“일본서도, 한국서도 소외” 민수짱 08.13 203 0
20340 국가유공자 7급 보훈 급여 현실화 및 즉각적 개선 요구 댓글+3 건강지킴은건강할때 08.12 1324 8
20339 “민생지원금도 15만원인데”…참전유공자 예우 놓고 정무위 시끌, 왜? 민수짱 08.08 837 0
20338 [단독] "국방비 'GDP 5%'…보훈예산·민군R&D 등 합산" 민수짱 08.08 752 0
20337 장애인 버스 지원 안내 댓글+3 영진 08.06 870 0
20336 [JTBC 단독] 김 일병 사망 당시…현장 지휘관은 차에 남아 '게임' 민수짱 08.05 370 0
20335 국가유공자의 치료권 실효성과 병원 선택권 확대를 위한 국민청원서 (작성자 : 윤예자 제안… 댓글+1 젓은낙옆 08.03 649 3
20334 권오을 “민주유공자법 제정 서둘러야…예산 1%는 보훈예산으로” 댓글+2 민수짱 08.01 1069 1
20333 서울 지자체 중 9곳만 참전유공자 배우자에 지원금 민수짱 07.30 382 0
20332 '선임병 가혹행위·익사' 의무복무자, 26년 만에 보훈보상대상자 인정 댓글+3 민수짱 07.30 369 0
20331 보훈대상자에게 가장 절실한 의료급여수급혜택에 대해?(작성자: 권영복 제안일자 : 2025.0… 댓글+5 젓은낙옆 07.29 969 3
20330 7급 수당 현실화 요구 댓글+8 초근화 07.28 1994 6
20329 국가유공자 건강보험료 제도, ‘배제’가 아닌 ‘면제 또는 미부과’로 개정해주세요. 댓글+12 국군대구병원 07.28 1335 5
20328 고엽제 피해자 관련 7월 22일 한겨례21 기사 내용 2세3세 자녀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댓글+1 지우지우 07.24 394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