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참전유공자 명예수당, 국가가 책임져야- 박남용 경남도의원

[기고] 참전유공자 명예수당, 국가가 책임져야- 박남용 경남도의원

자유게시판

[기고] 참전유공자 명예수당, 국가가 책임져야- 박남용 경남도의원

민수짱 0 1,598 04.21 13:46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기고] 참전유공자 명예수당, 국가가 책임져야- 박남용 경남도의원(창원 가음정·성주동)
기사입력 : 2025-04-20 19:21:44

국가를 위해 희생한 참전유공자에 대한 예우는 대한민국의 기본적 책무이다. 그런데도 현재 참전유공자들이 받는 참전 명예 수당은 지역별 형평성이 맞지 않고, 복지 혜택도 오히려 불이익을 받는 모순적인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같은 희생을 치렀음에도 불구하고 거주 지역에 따라 지원 수준이 달라지는 것은 불합리하며, 이는 국가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현재 참전유공자 명예 수당은 국가보훈부에서 월 45만원을 지급하고 있으며, 여기에 일부 지자체가 추가로 자체 예산을 편성해 주는 구조로 돼 있다. 하지만 지자체별로 재정 여건이 다르다 보니, 어떤 지역은 30만원 이상 추가로 주는 반면, 어떤 지역은 지급조차 하지 못하는 일도 있다. 동일한 국가유공자임에도 거주 지역에 따라 지원액이 달라지는 것은 명백한 형평성 문제이며, 참전유공자의 희생을 균등하게 예우하는 데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지자체가 지급하는 보훈 수당이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시 소득으로 포함된다는 점이다. 즉, 참전유공자가 명예 수당을 받으면 기초생활 보장 급여에서 그만큼 삭감되거나, 아예 수급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실제로 일부 참전유공자들은 기초생활 보장급여를 유지하기 위해 지자체에서 지급하는 보훈 수당을 받지 않겠다고 요청하는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다. 이는 국가가 참전유공자에게 제공하는 지원이 오히려 실질적인 복지를 감소시키는 역설적인 문제를 초래하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먼저 참전 명예 수당을 국가 예산으로 일괄 지급해야 한다. 국가보훈부가 주관해 모든 참전유공자에게 동일한 금액을 주는 방식으로 변경해야 하며, 이를 위해 국가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시 참전 명예 수당을 소득에서 제외해야 한다. 현행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르면 국가보훈처에서 지급하는 참전 명예 수당은 일부 공제되지만, 지자체에서 주는 보훈 수당은 100% 소득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는 참전유공자의 실질적인 혜택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 참전 명예 수당을 현실화하고 단계적으로 인상해야 한다. 현재 지급되고 있는 참전 명예 수당(월 45만원)은 최저생계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참전 명예 수당을 최저생계비 이상으로 단계적으로 인상하고, 매년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자동 조정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같은 제도 개선이 이뤄진다면 전국 모든 참전유공자가 거주 지역과 관계없이 동일한 예우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지자체의 재정 부담이 감소해, 지방정부가 별도의 추가 지원을 통해 참전유공자에 대한 예우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참전유공자들의 실질적인 복지 혜택이 향상되며, 생계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다.

참전유공자들은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목숨을 걸었던 분들이다. 정부와 국회는 참전 명예 수당을 국가 예산으로 일괄 지급하고,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시 소득에서 제외하는 법령 개정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

박남용 경남도의원(창원 가음정·성주동)

출처 경남신문 : https://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458730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0 국사모™ 2024.10.05 41223 0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61752 1
20344 국가유공자 고독사 위험 심각…정확한 실태 파악·차별화 정책 시급 민수짱 08.15 193 0
20343 이재명 대통령 대선 보훈공약 지키겠죠? 댓글+5 방갑습니다 08.14 921 1
20342 국가유공자 우선 주차구역에 무단 주차 늘어...과태료 부과하는 조례 없어 지자체는 ‘난감’ 민수짱 08.13 383 1
20341 잊혀진 참전용사들…“일본서도, 한국서도 소외” 민수짱 08.13 154 0
20340 국가유공자 7급 보훈 급여 현실화 및 즉각적 개선 요구 댓글+2 건강지킴은건강할때 08.12 972 4
20339 “민생지원금도 15만원인데”…참전유공자 예우 놓고 정무위 시끌, 왜? 민수짱 08.08 764 0
20338 [단독] "국방비 'GDP 5%'…보훈예산·민군R&D 등 합산" 민수짱 08.08 676 0
20337 장애인 버스 지원 안내 댓글+3 영진 08.06 818 0
20336 [JTBC 단독] 김 일병 사망 당시…현장 지휘관은 차에 남아 '게임' 민수짱 08.05 343 0
20335 국가유공자의 치료권 실효성과 병원 선택권 확대를 위한 국민청원서 (작성자 : 윤예자 제안… 젓은낙옆 08.03 601 2
20334 권오을 “민주유공자법 제정 서둘러야…예산 1%는 보훈예산으로” 댓글+2 민수짱 08.01 1038 1
20333 서울 지자체 중 9곳만 참전유공자 배우자에 지원금 민수짱 07.30 369 0
20332 '선임병 가혹행위·익사' 의무복무자, 26년 만에 보훈보상대상자 인정 댓글+3 민수짱 07.30 350 0
20331 보훈대상자에게 가장 절실한 의료급여수급혜택에 대해?(작성자: 권영복 제안일자 : 2025.0… 댓글+5 젓은낙옆 07.29 931 3
20330 7급 수당 현실화 요구 댓글+6 초근화 07.28 1808 6
20329 국가유공자 건강보험료 제도, ‘배제’가 아닌 ‘면제 또는 미부과’로 개정해주세요. 댓글+11 국군대구병원 07.28 1271 5
20328 고엽제 피해자 관련 7월 22일 한겨례21 기사 내용 2세3세 자녀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댓글+1 지우지우 07.24 368 0
20327 대통령의 국민소통 광장에 접수한 고엽제법 개정 제안 답변서(본 게시판 20314 번 글 관련… 중환 07.17 584 0
20326 "한마디로 죽이 됐다"…제주 호국원 묫자리 파보니 '진흙탕' 민수짱 07.15 530 0
20325 서울교통공사 "국가유공자 무임승차 비용 달라" 보훈부에 소송 댓글+2 민수짱 07.15 1210 0
20324 상이군경회에서 목소리를 내주세요!!!!! 댓글+7 떴다양박사 07.15 1362 4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