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영·수 성적과 의사 될 자격, 열악한 의대 보훈전형

국·영·수 성적과 의사 될 자격, 열악한 의대 보훈전형

자유게시판

국·영·수 성적과 의사 될 자격, 열악한 의대 보훈전형

민수짱 0 2,712 2024.09.21 11:22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국·영·수 성적과 의사 될 자격
이진희 기자  입력 2024.09.20 16:00
“의대 입시서 의사 적합성 선별 뒷전”
성적 외 부분도 중점 두는 선진 국가들
필수의료 부활 위해선 입시도 변해야
편집자주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선보이는 칼럼 '메아리'는 <한국일보> 논설위원과 편집국 데스크들의 울림 큰 생각을 담았습니다.

정지태 전 대한의학회장의 지난해 3월 인터뷰엔 이런 대목이 있다. “의사는 똑똑한 사람이 하는 게 아니다. 의사는 오랫동안 앉아서 답답하게 일해야 한다. 때문에 성실하고 윤리적인 사람이 해야 한다. 똑똑한 사람이 의사 하면 자꾸 다른 곳으로 간다. 의대 입시에서 면접을 통해 부적격자를 걸러내는 기능이 사라졌다. 의대 지원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해보면 의사 되기에 적합한지를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그런데 사회적 신뢰의 저하, 공정성 때문에 면접이 당락을 결정할 수 없게 되었다. 아쉽다. 예전에는 면접에서 의사가 되면 안 될 사람을 걸러냈다. 의대생을 뽑을 수 있는 권한을 의대 교수에게 줘야 한다.”

정확히 말하면, 똑똑한 사람이 아니라 (직업윤리가 결여된) 똑똑하기만 한 사람이 의사가 되어선 안 된다는 뜻일 것이다. 대치동 학원가에서 만들어진 의대생이 아무리 수능 성적이 좋아도 고수익만을 추구하며 미용의사가 된다면, 의대 설립 목적을 볼 때 그 의사의 사회적 가치는 마이너스에 가깝다. 차라리 외딴 마을에서 나고 자란 평범한 옆집 아영이나 민준이가 탁월하진 않아도 성실한 의사가 되어, 주민들을 위한 동네의원을 연다면 그게 바로 더 이상향에 가까운 의료체계가 아니겠나.

한국이 망국적인 필수의료진 부족에 시달리는 이유는 27년간 늘리지 못한 의대 정원, 필수의료 지원 부족의 이유가 크지만, 필수의료에 진출할 계획이 없는 성적만 좋은 수험생들을 가려내지 못하는 의대 입시도 한몫했다. “캐나다에서도 피부미용 분야 의사가 돈을 더 잘 벌기는 하지만 이 때문에 필수의료 분야가 인력난을 겪지는 않는다. 만약 의대 졸업생 대다수가 소득을 위해 비필수의료 분야를 택한다면 그건 의대 입학생 선별의 실패다”(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 권역 급성기 분야 책임자 스콧 뱅크스의 인터뷰)라는 지적은 뼈 아프다. 캐나다 의대 입시는 의사가 되려는 이유와 봉사활동 경력 등을 평가한다고 한다. 또 독일에선 의대생의 20%를 응급구조대원·간호사·조산사 등 의료·보건 경력자 중심으로 7년 이내에서 오래 기다린 순으로 입학시키는 제도가 있다. 관련 분야의 풍부한 경력과 성실성을 중시하는 것이다.

한국은 어떤가. 2022학년도 기준, 의대 입시 전형 중 인성면접 없이 성적만으로 모집한 경우는 57.5%에 이르렀고, 최소한의 결격 판단용 면접(10분 내외)만 보는 경우도 29.1%라는 분석이 있었다. 의대생의 86.6%가 제대로 된 인성검증 없이 성적 요소만으로 선택됐다. 또한 대학별 전체 모집인원의 10% 이상을 사회통합전형(기회균형선발 제도)을 통해 국가보훈대상자·장애인·기초생활수급자 등으로 선발토록 하고 있는데, 의대는 이 비율이 3.2%(2024학년도)에 불과했다.

의정 갈등 와중에 일부 의사들이 ‘썩은 우물’ 같은 내면을 부끄러움 없이 드러내는 걸 목도한다. 의사·의대생 커뮤니티에 “개XX들 매일 천 명씩 죽어 나갔으면 좋겠네”, “드러누울수록 의사 가치는 올라간다”는 글이 다수 올라왔다. 그럼에도 국민 곁엔 어떤 상황에서도 응급실과 병원을 지키는 많은 의사들이 있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 이분들 덕에 큰 피해 없이 추석 연휴를 버텨냈다.

이처럼 우리 사회엔 ①의대 증원 저지를 위해 환자들이 더 죽어야 한다는 의사 ②애초 미용만을 진로로 삼은 의사 ③어렵지만 필수의료를 선택하는 의사들이 있다. 국·영·수 성적으론 이들을 가려낼 수 없음을 누구나 안다. ①이 자주 존재를 드러내는 요즘, “악마를 보았다”고 분개하고 말 것이 아니라, 왜 이런 인성을 의대 입시에서 걸러내지 못하는지 묻고 또 물어야 한다.

이진희 논설위원 river@hankookilbo.com

출처 한국일보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91816280005736?did=NA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0 국사모™ 2024.10.05 41235 0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61763 1
20344 국가유공자 고독사 위험 심각…정확한 실태 파악·차별화 정책 시급 민수짱 08.15 207 0
20343 이재명 대통령 대선 보훈공약 지키겠죠? 댓글+6 방갑습니다 08.14 1039 1
20342 국가유공자 우선 주차구역에 무단 주차 늘어...과태료 부과하는 조례 없어 지자체는 ‘난감’ 민수짱 08.13 402 1
20341 잊혀진 참전용사들…“일본서도, 한국서도 소외” 민수짱 08.13 157 0
20340 국가유공자 7급 보훈 급여 현실화 및 즉각적 개선 요구 댓글+2 건강지킴은건강할때 08.12 1007 4
20339 “민생지원금도 15만원인데”…참전유공자 예우 놓고 정무위 시끌, 왜? 민수짱 08.08 773 0
20338 [단독] "국방비 'GDP 5%'…보훈예산·민군R&D 등 합산" 민수짱 08.08 689 0
20337 장애인 버스 지원 안내 댓글+3 영진 08.06 828 0
20336 [JTBC 단독] 김 일병 사망 당시…현장 지휘관은 차에 남아 '게임' 민수짱 08.05 347 0
20335 국가유공자의 치료권 실효성과 병원 선택권 확대를 위한 국민청원서 (작성자 : 윤예자 제안… 젓은낙옆 08.03 606 2
20334 권오을 “민주유공자법 제정 서둘러야…예산 1%는 보훈예산으로” 댓글+2 민수짱 08.01 1044 1
20333 서울 지자체 중 9곳만 참전유공자 배우자에 지원금 민수짱 07.30 372 0
20332 '선임병 가혹행위·익사' 의무복무자, 26년 만에 보훈보상대상자 인정 댓글+3 민수짱 07.30 354 0
20331 보훈대상자에게 가장 절실한 의료급여수급혜택에 대해?(작성자: 권영복 제안일자 : 2025.0… 댓글+5 젓은낙옆 07.29 936 3
20330 7급 수당 현실화 요구 댓글+6 초근화 07.28 1821 6
20329 국가유공자 건강보험료 제도, ‘배제’가 아닌 ‘면제 또는 미부과’로 개정해주세요. 댓글+11 국군대구병원 07.28 1274 5
20328 고엽제 피해자 관련 7월 22일 한겨례21 기사 내용 2세3세 자녀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댓글+1 지우지우 07.24 370 0
20327 대통령의 국민소통 광장에 접수한 고엽제법 개정 제안 답변서(본 게시판 20314 번 글 관련… 중환 07.17 587 0
20326 "한마디로 죽이 됐다"…제주 호국원 묫자리 파보니 '진흙탕' 민수짱 07.15 533 0
20325 서울교통공사 "국가유공자 무임승차 비용 달라" 보훈부에 소송 댓글+2 민수짱 07.15 1214 0
20324 상이군경회에서 목소리를 내주세요!!!!! 댓글+7 떴다양박사 07.15 1367 4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