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와 같은 피부암(악성흑색종)환자도 유공자 등록이 가능할까요.

저와 같은 피부암(악성흑색종)환자도 유공자 등록이 가능할까요.

자유게시판

저와 같은 피부암(악성흑색종)환자도 유공자 등록이 가능할까요.

고원기 1 936 2007.12.05 21:33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저는 군생활동안 엄지발가락 발톱 밑이 검게 변하면서 발톱제거수술을 하였고, 1999년 경찰관으로 임용되어 근무를 하고 있던중 다시 동일한 발톱이 깨어져 2000년도 1회 2001년도 1회 제거수술을 받았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을 하자면 저의 발톱 밑이 검게 변하는 질병은 악성흑색종이라는 암 덩어리였습니다.

그런데 군복무중 발톱제거술을 받을때도 경찰관 재직하면서 발톱제거술을 받을때도 개인병원에서는 위의 상태가 질병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였고 2001년도 길병원에서 발톱제거술을 받다가 의료진의 권유로 생검을 하여서 악성흑색종이라는 사실을 알았고 저는 이에 대하여 재확인을 하기 위해 서울삼성의료원에서 생검을 받고 최종 악성흑색종으로 진단받고 엄지발가락 절단술을 받았습니다.위 발가락제거수술을 받은뒤 공무원공단에서는 위 질병이 공상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하여 신청조차도 하지 못하였습니다.

최근 언론 및 학회의 연구자료를 보게 되면 악성흑색종의 경우 과도한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경우 피부암(악성흑색종 등)이 신체특정부위에서 발별하는 것이 아니라 전신 어느곳에서나 발병 가능성이 높다는 자료를 보았고, 저의 군생활은 시위현장 및 시설물경비근무등 거의 대부분이 실외에서 생활을 하였으며, 군복무중 군화 때문에 발톱이 제껴져서 발톱을 한번 제거한후 발톱의 색깔이 변하기 시작하였고, 현재 경찰관으로 근무도 외근으로 대부분 실외에서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도 이와 같은 사례라고 사료되며,위 발병에 대한 증빙자료로는 인우보증인, 진단서(차후 발급예정), 군복무 당시 촬영 사진, 그외 피부암에 대한 각종 자료들이 있습니다.

공상과 국가유공자 등록 판결문을 보니 군복무중 직무와 관련하여 질병이 발생하거나 악화되었을 경우나 공무원재직중 직무와 관련하여 질병이 발생 또는 악화되었을 경우 공상 또는 국가유공자 등록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저의 소견으로는 공상 또는 국가유공자의 등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데 여러분들의 고견을 듣고자 이와 같은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Comments

김병훈 2007.12.06 13:02
2000년도 경찰생활 1년만에 최초로 악성흑색종의 증상과 관련되어 보이는 의료기록을 보면 1년동안의 경찰생활의 정도로 악성흑색종이 발병하였다는 것인데 공상인정을 받으셨는지요? 만약 공상인정을 받지 못하셨다면 보훈청에서는 90%정도 비해당 통보를 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소송으로 가서 밝히셔야 할 확률이 높아보입니다.보훈처에서의 결과는 기대하지 마시고 일단 소송으로 가셔서 흑색종의 원인과 인과관계를 밝히셔야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뭐라 말하기 힘드네요.
군화와 발톱이 제껴지고 다쳤을때 흑색종이 발생한다는 확실한 자료와 확신이 있으시다면 힘들더라도 끝까지 권리를 찾으시기 바랍니다.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