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협착증 선배님들 여러분들이라면 둘중 어떤수술을 하겠습니까?(조언주세요)

디스크,협착증 선배님들 여러분들이라면 둘중 어떤수술을 하겠습니까?(조언주세요)

자유게시판

디스크,협착증 선배님들 여러분들이라면 둘중 어떤수술을 하겠습니까?(조언주세요)

김경민 0 883 2007.02.06 01:44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제가 아니라 저희
아버지께서 척추협착증으로 요번에 부산 보훈병원에서 수술하려구 하는데요.
간단한 병이 아니니 만큼 유명한 병원 몇곳에서 더 상담을 했습니다.
고민되는것이 보훈병원 여**과장님은 디암?이라는 기구 사용이 필요하다고 하시고
좋다고 하는데..

부산센텀병원 박원장님은 기구없이 간단히 할수있다네요.
그래서 고민되는것이 비용문제랑 장애보상금 문제랑 제일중요한 추후 결과 인데요.
비용은 보훈병원 재료대값250정도랑 총300정도예상
센텀병원은  150정도면 충분하다고 그러구..
여기까진 그렇다 치손 치더라도..

1.유합술이나 고정술 아닌 디암이란 실리콘재질의 고정장치(diam)라는데..
이것으로
수술해도 생명보험사의 장애보상등급을 받을수있을까요? 또한 연금관리공단의
장애보상금을 받을수 있을까요?

2.   2번질문은.. 혹시 아시는분에 한해서.. 이질문 문의 드립니다.
협착증은 질병으로 보는지요?재해로 인정받을수 없는지 문의합니다.왜냐하면
생보사에는 일반재해 교통재해로  분류되어있지.. 질병은 없더군요.

3.제일중요한 질문입니다.  보훈병원 선생님은 기구를 사용하지않으면
불안정해서 재수술할수도 있다고 하는데..  
센텀병원 선생님은 기구 사용안해도 된다네요.  선생님들 마다 많은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근데 케이지 같은 기구 사용하면  운동각도 줄어
든다는 말도 들었던거 같아서요.  디암(diam)이란 물질은 실리콘이라는데
정말 모르겠습니다. 운동각도 줄어들까요?
아니 결론은 기구 넣고 하는 수술이 낳을까요? 그냥 칼로 넓혀주는 수술이 낳을까요?



제가 얻고 싶은 최고의 결론은 디암이란 기구로 수술해서 연금 장애보상금
이나 생보사의 보상금을 수령하는것과
디암이란 기구로 수술하는것과 칼로만
수술하는것과의 큰 차이는없다. 였으면 좋겟는데요.
보상금보다는 아버지의 몸이 먼제겠죠.
선택하기 복잡하다고 느껴져서 여러분께 문의합니다.

아래는 센텀병원 원장님 문의 결과내용입니다. 양질의 좋은 답변을
얻기위해 아버님의 mri사진도 cd추출해서 올렸습니다.
(아래의사진) 부디 척추협착증등 허리에 대한
지식이 많은 선배님들의 양질의 조언 부탁드리며.. 좋은 댓글 주시면..
항상 감사히 생각하고 기억할것이며 저또한 도움 드리겠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안녕하세요?
diam은 협착증 수술에서 필수로 사용하는 기구가 아닙니다.
불안정증이 동반된 경우는 도움이 되는데 아버님께선 척추 후관절의 관절염이 거의 없어 불안정증이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불안정증은 엑스선 검사에서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후방 감압술만 하면 다인실에 입원하실 경우 150만원 전후에서 해결 될 것입니다.
보훈 병원에서 수술을 받으시면 훨씬 적게 들겠죠.
감사합니다.


덕 wrote:
>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어감사합니다.
>후방 감압술만으로 가능할줄은 정말 생각도 못했거든요. mri찍은 방사선과나
>몇몇 병원에서 상담 받았을때 모두 기구쪽으로 말씀을해서.. 협착증은
>디스크 처럼 단순 수술이 안되는구나 이렇게 생각했거든요.
>그런데 말씀 고맙습니다만.. 고민되는것 한가지는요.
>할아버지가 독립유공자라서 보훈병원에서 수술하면 아버지께서는
>수술비 감면해택으로 기구(diam)로  수술한다고 해도 250~300에 해결이 된다네요.일반병원에서 기구 안넣는 단순감압술도 200~300정도 되는걸로 알고있는데요.제생각엔 감면혜택으로 보면 비슷비슷하거나 더 저렴할수있을거 같아서요.
>
>요약하면 비용은 비슷하나
>단순 감압술의 장단점은 알겠으나
>기구의 장단점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
>1.비용이 비슷다면 기구를 사용안하는게 낳을까요.하는것이 나을까요?
>
>2.문제는 아버지께서 수술후 다시 일을 하실려고 하고 가정형편상 일을 하셔야
>될 입장이거든요. 디암이란 기구가 운동제한이 있는걸까요?
>3.운동제한이 있다고해도 허리숙이거나 일하실때 제한은 없나요?
>
>비의료인입장에서는 답답한게 많네요.ㅜㅜ죄송합니다.
>교수님께 곤란한 질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문의할까 말까
>정말 많은 고민을 했었습니다.
>
>가장의 생계와 직결된 문제라 신중에 신중을 기해서 결정해야됨을
>이해부탁드립니다.더불어 지난번의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바쁘신데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몸건강 하세요 ^^
>
>
>ps:13559번 답변글에 리플글 올렸다가 페이지덮혀서 확인을 못하실수도
> 있을까봐 다시 올렸습니다.중복글이라 죄송합니다.
>
>
>
>부산센텀병원 박원욱 wrote:
>> 질문 감사합니다.
>>MRI 사진에서는 4-5번 요추의 협착증이 심해 수술을 받으셔야 할 정도이고 증상도 그렇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말씀하신 여러가지 기구들은 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협착증 수술에서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는 아주 심한 협착증, 척추불안정증, 전방 전위증이 동반된 경우, 후관절이 많이 파괴(퇴행성으로)된 경우 등인데 아버님은 그 어느 것도 해당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제가 수술한다면 단순 후방감압술만 하겠습니다.
>>제 장모님도 3개월 전에 4-5번 요추 협착증 수술을 제가 했는데 아무 기구를 사용하지 않았고 현재 아주 잘 지내고 계십니다.
>>저도 척추 고정 기구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위의 경우 외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물론 기구를 사용해야 하는데 사용하지 않는다면 결과가 좋지 않습니다만 아버님의 상황은 감압술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고정을 하지 않으면 재발의 가능성은 있지만 추간판 탈출증(5~20%)만큼 흔하지 않습니다.
>>다른 질문 있으시면 또 올려 주세요.
>>감사합니다.

1.jpg
2.jpg
3.jpg
4.jpg
5.jpg
6.jpg
7.jpg
8.jpg
9.jpg
10.jpg
11.jpg
12.jpg
13.jpg
14.jpg
15.jpg
16.jpg
17.jpg
18.jpg
19.jpg
20.jpg
21.jpg
22.jpg
23.jpg
24.jpg
25.jpg
26.jpg
27.jpg
28.jpg
29.jpg
30.jpg
31.jpg
32.jpg
33.jpg
34.jpg
35.jpg
36.jpg
37.jpg
38.jpg
39.jpg
40.jpg
41.jpg
42.jpg
43.jpg
44.jpg
45.jpg
46.jpg
47.jpg
48.jpg
49.jpg
50.jpg
51.jpg
52.jpg
53.jpg
54.jpg
55.jpg
56.jpg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35 안녕하십니까? 궁금한게 있어 문의드립니다. 선배님들의 조언부탁드립니다. 댓글+1 김성환 2007.10.19 377 0
234 축하드립니다... 재오픈을 정봉희 2010.06.07 377 0
233 학자금에 대한 질문!! 댓글+2 진선용 2005.04.14 376 0
232 취업보호 가산점 확인서.. 타 지역에서도 발급 가능한가요? 댓글+1 양진하 2005.09.11 375 0
231 정말궁금합니다 꼭좀 알려주세요 댓글+2 안효준 2007.12.18 375 0
230 김근관님 꼭 조언부탁드립니다.다른 분들도 꼭 부탁드립니다 댓글+1 이종현 2006.05.15 374 0
229 안녕하세요^^ 강호 2003.07.04 373 0
228 편입학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댓글+1 임현우 2005.03.15 372 0
227 안녕하세요 등록금에 관한 질문입니니다 도와주세요 ??? 댓글+3 김용성 2005.03.06 371 0
226 정모후기요~ 유상훈 2003.06.30 370 0
225 밖에는 단비가 내리고 있네여 ^^* 댓글+1 윤경택 2004.05.09 370 0
224 참 답답하네요 댓글+2 이동헌 2007.11.03 369 0
223 대학등록금 정진영 2003.08.19 368 0
222 저같은 경우도 받을수있나요 김동원 2007.02.14 367 0
221 "국가유공자 덕분에" 경남도, 주택 개선·금융 우대 혜택 제공 민수짱 06.21 367 0
220 과락에 관한 질문입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1 김형진 2004.03.24 365 0
219 자동차 구입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박지훈 2003.09.14 362 0
218 조언부탁드립니다 윤광현 2007.12.31 362 0
217 국가유공자 등록이 가능한가요? 답변줌 부탁합니다! 댓글+1 조정환 2004.05.11 361 0
216 인사드립니다. 이철희 2004.06.01 359 0
215 질문합니다-!! 이윤희 2003.09.14 358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