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6월 호국 보훈의 달과 제60주년 현충일을 맞이하여

[성명서] 6월 호국 보훈의 달과 제60주년 현충일을 맞이하여

자유게시판

[성명서] 6월 호국 보훈의 달과 제60주년 현충일을 맞이하여

김영민 3 1,067 2015.06.01 21:39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안녕하십니까?

존경하는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회원 여러분!

보훈가족 여러분!

국민 여러분!

6월 호국 보훈의 달과 제60주년 현충일을 맞이하여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영전에 명복을 빕니다.

대한민국을 위해 목숨바쳐 희생하시고 공헌하신 국가유공자와 가족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이 조국은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분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존재하지 않았을것입니다.

호국보훈(護國報勳)은 나라를 지키고 희생한 분들께 그 은혜를 보답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호국(護國)의 의미는 나라를 지킨다는 의미 외에 사전적 해석으로 "나라를 외적으로부터 지킨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6월 호국보훈의 달은 국가를 위해 목숨바쳐 희생하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넋을 기리고 국가유공자분들과 그 가족분들의 희생을 위로하는 달입니다.

대한민국은 외적으로 부터 나라를 지킨 독립유공자와 조국을 위해 희생하신 국가유공자분들이 계시기에 존재하는것입니다.

호국보훈 정신은 이념과 정권과 시대에 따라 변하는것이 아닌 국가가 철저한 기준과 철학을 가지고 추진해야하는 것입니다.

사회적 흐름과 여론에 흔들리면 절대 안되며 진정 보훈대상자의 편에 서서 추진해야 하며 국민들과 함께 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지금 보훈제도의 현실은 위기입니다.

또한 보훈가족들에게 진정한 예우와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현실은 그렇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 박근혜정부는 진정한 호국보훈의 정신 계승을 이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희생정신을 잊지 않겠다라던 그 말은 박근혜정부와 여야 정치권은 무관심과 무지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국가유공자를 사회복지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현실은 전적으로 정부와 국가보훈처의 책임입니다.

2015년 올해는 6.25 전쟁이 발발한지 65주년이 됩니다.

또 한편으로는 6.25 전쟁과 월남전 참전 영웅들이 연로하시고 제대로된 예우없이 지금도 매년 많은분들이 돌아가십니다.

정부와 정치권, 국가보훈처를 향한 분노를 멈출수 없는 이유입니다.

이에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은 보훈대상자의 사회적 예우 향상, 영예로운 삶을 위한 보훈급여 인상, 의료제도 개선등을 강력히 요구하는 바입니다.

국가유공자와 그 가족은 오로지 조국을 위해 헌신한 자부심과 명예를 회복하길 기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것이 국가의 응분의 보상을 통해 안정된 생활을 보장하고 우리들의 희생과 공헌이 숭고한 애국정신의 귀감으로서 미래에 까지 항구적으로 존중되어야 합니다.

국가유공자,보훈대상자에 대한 예우는 보훈대상자의 몫이 아닌 국가의 의무입니다.

국가유공자와 그 가족분들께 사회적 예우가 향상되어야하며 그분들을 위한 체계적인 보훈복지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것입니다.

보훈가족분들의 희생과 공헌위에서 대한민국이 존재한다는것을 정부와 국가보훈처는 마음속 깊이 새겨야할것입니다.

국가유공자분들과 그 가족분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 대표 노용환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 임직원 일동


Comments

김성철 2015.06.01 21:54
요즘 메르스 때문에 시국이 어수선하지만...노용환 대표님外 국사모 회원님들 항상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김영민 2015.06.01 22:17
미국의 경우, 우리나라의 현충일과 같은 날을 '메모리얼 데이'라 하여 국가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의 희생을 추모합니다. 메모리얼 데이는 남북전쟁 전사자를 추모하기 위해 1865년 5월 30일 제정되었고, 남북전쟁이 끝난 뒤 1868년 5월 30일 북군의 로선 장군이 전사한 병사들의 무덤에 꽃을 장식하도록 포고령을 내린 날을 기억하기 위해 시작되었기 때문에 데코레이션 데이 또는 '메모리얼 데이'라고도 합니다.

그후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모든 전쟁으로 사망한 병사들을 추모하는 날이 됐고, 1971년부터는 5월 마지막 월요일로 확정하여 추모하고 있습니다. 이날은 모든 미국인들이 애국선열들의 희생을 생각하면서 짧은 시간이지만 함께 묵념하는 시간들을 가집니다. 심지어 프로야구장에서까지 선수들의 유니폼이 등번호와 이름, 모자가 군대를 상징하는 밀리터리 문양으로 된 일명 '카무플라주(위장 무늬)'로 출장합니다. 구단 측은 메모리얼 데이를 맞아 전사한 군인들을 추모하고 이날을 기념하기 위한 유니폼이라고 경기 전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밝히기까지 합니다.

영국과 프랑스, 캐나다는 현충일을 ‘리멤브런스 데이(Remembrance Day)’라고 부르며, 매년 11월11일에 기념행사 등을 열고 있다. 양귀비꽃을 가슴에 달기 때문에 ‘포피 데이’라고도 합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격전지를 찾은 존 매크레이 대령이 전쟁터에 피어난 양귀비꽃을 보고 <플랜더스 전장에서>라는 시를 쓴 후 캐나다와 프랑스, 영국 등지에서는 양귀비를 전몰 용사의 상징으로 삼고 있습니다.

캐나다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기념일 또는 ‘영령 기념일’인 11월 11일과 가장 가까운 일요일을 기념일로 정해 놓고 다음날인 월요일까지 모든 학교가 쉬도록 하고 있습니다. 영국에서도 11일과 가장 가까운 일요일에 여왕 등이 참석하는 예배가 진행되고, 나라 전역에서 가슴에 양귀비꽃을 달아주는 행사가 펼쳐집니다.

호주•뉴질랜드에서는 11월 11일뿐 아니라 매년 4월 25일을 ‘안작 데이(Anzac Day)’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안작’이란 호주와 뉴질랜드군(Australian and New Zealand Army Corps)의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입니다. 안작군이 1915년 4월 25일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과 함께 터키의 갈리폴리 상륙작전을 감행하다가 8,000여 명이 사망한 것을 기린 것입니다. 안작 데이에는 옛날 군인들이 전쟁터에서 먹던 것을 기념해서 만든 딱딱한 쿠키인 ‘안작 쿠키’를 먹기도 합니다.
<인터넷 발췌>

수많은 보훈가족들앞에서 연설을 하는 도중 갑작스럽게 비가 쏟아지는 와중에도 의전경호원들의 우산을 끝까지 거부하고 수많은 보훈가족과 함께 비를 맞으며 연설을 마친 과거 프랑스 대통령이었던 미테랑의 개선문앞의 리멤브런스데이 기념식 일화는 유명한 일화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대통령을 가지지 못해 불행합니다.

캐나다의 보훈제도중 재가(국가유공자의 미망인이 다른이와 결혼한 경우. 우리나라는 국가유공자 미망인이 재가하는 경우 보훈급여등 모든 보훈수혜가 중단된다.)한 미망인이 병원을 가기위해 이용하는 택시를 비롯한 교통수단의 비용까지 지원하는것은 우리들에게 상징적인 의미로 다가서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수 있을것입니다.

대한민국의 보훈제도는 아직 멀었습니다.
윤기섭 2015.06.03 19:42
내용 블로그로 퍼 갑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423 우리들을 개 돼지로 보는 국가보훈처와 기획재정부, 정부 그리고 보훈담당공무원들 댓글+7 석사정 2019.12.08 2798 3
422 7급같은경우는 박탈 댓글+8 박상수 2006.04.13 2807 0
421 진짜 욕나오네요 댓글+10 kangto 2022.06.29 2807 0
420 지원,보훈대상자 수송시설지원 기재부직원의 반대였습니다. 댓글+11 보훈가족 2020.12.16 2811 0
419 [2019예산]보훈예산 5조5천6억원…유공자 보상 3.5% 인상 댓글+4 최민수 2018.08.28 2814 0
418 [2020국감]"가스요금감면, 국가유공자 15%…장애인 절반 못 미쳐" 민수짱 2020.10.22 2818 0
417 가족수당 관련 정보공개 청구 내용 및 결과 공유 댓글+4 용된미꾸라지 2020.01.08 2819 0
416 공평한 가족수당 지급 댓글+9 빨간다라이 2023.08.14 2819 3
415 범죄자도 7급보다 많이 받네요 댓글+7 안전제일 2021.02.02 2820 0
414 국가유공자 연금 7급 신규섭 2014.05.28 2826 0
413 공상군경에서 전상군경 전환 여부 댓글+2 박기돈 2019.10.03 2826 0
412 지방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보철차량 배기량 2천cc를 3천cc로 변경) 댓글+22 박준철 2017.09.21 2827 0
411 부양가족수당.. 너무 불합리한거 아닌가요? 댓글+13 아람 2014.09.23 2828 0
410 입법예고 종료된 ‘국가유공자 등 예우~개정법률안’ 오세웅 2019.02.15 2833 0
409 나라시랑 대 출안내 영진 2019.12.05 2835 0
408 권익위, "65세 미만 상이 3∼7급 국가유공자 활동지원 확대" 권고 감찰원 2023.04.25 2842 2
407 원희룡 월남참전 상이군인 비하 발언 사과 댓글+4 HAITAE 2021.10.23 2844 0
406 ♧국무총리님께 보상비소득제외,7급보상비인상건의(결과) 댓글+20 이광은 2017.12.13 2847 0
405 보훈대상자 7급 가족수당 댓글+6 Stoneman 2022.02.08 2852 0
404 국가유공자 부정승차에 관해 여쭙고싶습니다. 댓글+6 김정엽 2012.10.16 2860 0
403 행정심판 기각.. 댓글+7 정재형 2006.03.03 2865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