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의 희생양 북파공작원

분단의 희생양 북파공작원

자유게시판

분단의 희생양 북파공작원

김민석 0 859 2004.01.08 21:21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영화 ‘실미도’ 흥행을 계기로 역사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북파 공작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들은 1971년 8월 23일 서울 노량진에서 폭사한 실미도 부대원들 때문에 몸체 일부를 세상밖으로 드러났지만 이내 반공이데올로기에 묻혀야 했다. 그러다 30여년이 지난 2002년 3월과 9월 서울 도심에서 LP 가스통에 불을 붙이는 등 격렬한 시위를 벌여 잠시 주목을끌었다.
그러나 이후 갖가지 사회적 이슈에 밀려 나 있던 북파공작원이란 존재를성큼 현실화시켰던 건 2003년 12월 영화 ‘실미도’의 개봉이었다. 아울러그들을 위한 두개의 특별법(특수임무유공자보상(예우)에 관한 법률안)이국회 상임위를 통과하면서, 그들의 존재는 다시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르고있다.

1948년경 태동, 51년 이후 독자 운영북파공작원은 본래 한국전쟁중인 1952년부터 1972년의 7·4남북공동성명발표때까지 북한 지역에 파견되어 활동한 무장 첩보원을 말한다. 그러나북파공작원은 남북이 사실상 분단된 1948년경부터 존재했고, 최근 이들에관한 특별법도 ‘1948년 8월15일부터 1994년 12월31일 사이에 특수임무의수행을 위하여 파견되었거나 이와 관련한 교육 훈련을 받은 자’로 규정해북파공작원 범위를 합리적으로 확대했다.정부 수립 이후 1950년 초반까지의 북파공작원은 주로 미군에 배속돼 활동했다. 미 극동사령부 산하의 켈로부대(KLO)· 합동정찰대(CCRAK)· 6004항공첩보대와 미 CIA 조직인 OSO· OPC 첩보부대가 대표적.

켈로부대는 1948년 주로 서북청년단에서 활동하고 있던 이북 출신을 중심으로 창설됐는데 고트(Goat, 대장 최규봉), 선(Sun, 대장 전훈), 위스키(Whiskey, 대장 박태현) 등 3개 지대로 나뉘어 활동했다. 1950년 9월 팔미도등대를 점령해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 성공에 결정적인 공을 세웠던 부대다. 한편 CIA가 주도한 OSO는 스파이에 의한 첩보활동을, OPC는 비밀공작을 주로 담당했는데 나중에 JACK로 통합됐다. 남과 북에 기지를 두었던OPC부대는 휴전 협정 이후에도 첩보 활동을 계속했다.한편 한국군은 육·해·공군별로 첩보 부대를 운영했다. 육군 첩보부대는HID(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 해군 첩보부대는 UDU(Underwater Demolition Unit), 공군 첩보부대는 OSI(Office Of Special Investigation) 등으로 불려졌는데, 바로 이곳에서 북파공작원이 양성됐다.육군의 HID(1951년 3월 창설)는 규모 면에서 가장 컸고, 해군의 UDU는 6·25전쟁 전인 1949년 6월 창설돼 가장 오래된 북파공작대란 기록을 갖고 있다. 가장 강력한 북파 공작은 북한 내부에 깊숙이 침투하는 공군의 OSI에게 할당됐다.

이 가운데 북파공작원 대다수는 HID 출신으로, 그 중에서도 1952년 10월께서울 정릉 청수장에 설립된 제1교육대가 가장 규모가 컸다. 당시 HID 부대장은 이철희· 장영자 사건으로 유명한 이철희 대령이었고, 교육대장은 김종벽 소령이었다. 제1교육대는 53년 3월까지 3차례에 걸쳐 모두 800여명의공작원을 훈련시켜 북파 무장 활동에 투입됐다. 이들 중 살아 남은 1기생다수와 2기생 170명, 잔류병 등을 더한 300여명이 종전을 10일쯤 앞둔 53년 7월 중순께 함경도 앞바다 여도에 투입돼 원산 상륙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100여명이 사망했다.

종전후 HID 생존자는 재교육에 들어가 54년 3월부터 군번도, 계급도 없는‘민간인’ 신분으로 북파됐다. HID는 60년대 말 AIU(Army IntelligenceUnit)라는 이름과 혼용되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군ㆍ민간인 출신으로 구분북파공작원은 크게 군과 민간인 출신으로 구분되는데 군 출신은 사병 생활을 하다가 특수요원 모집에 응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민간인 출신은 특전사나 해병대 등 특수부대에 지원할 생각으로 병무청 등을 방문했다가 특수요원 모집 공고를 보고 지원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북파공작대에서나온 물색조가 사무실을 찾아오는 사람을 선별하거나 직접 외부에서 ‘특별 보상’를 내세워 공작원을 모집하기도 했다. 50년대 초에는 구월산 유격대 등 월남한 이북 출신들이 많았지만 이후에는 남한 출신 북파공작원이대부분을 차지했다그러나 북파공작원의 전체 규모나 생사 여부는 아직 베일에 싸여 있다. 71년 실미도부대원의 자폭과 2002년 서울 한복판에서의 시위는 강요된 침묵속에서 역사의 희생양에 머물러야 했던 북파공작원의 자화상을 상징적으로드러낸 사건이다.

국군정보사령부가 지난해 9월 21일 국회 국방위 소속 한나라당 이경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51년 육군첩보부대(HID)를 창설한 뒤94년까지 양성된 북파공작원은 1만3,000여명이며, 이 기간 중 사망자 및행방불명자는 7,800여명, 부상자는 200여명이고 나머지는 생사여부 등이확인되지 않고 있다. 여기에 51년 이전 미군에 배속돼 활동한 북파공작원까지 포함할 경우 희생자 규모는 훨씬 커진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보상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북파공작원은 보통 3년또는 4년 기간을 정해 채용됐고 상당한 보상과 보장을 약속했지만 제대로지켜지지 않았으며, 생존자는 대부분 비밀 유지 각서를 쓴 뒤 해고됐다.

특히 민간인 출신 북파공작원은 ‘흔적’이 남아있지 않아 재입대되거나병역기피자로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있었다.또 ‘인간 병기’로 돼가는 과장에서 심신이 피폐해져 사회의 낙오자로 전락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61년부터 30여회 북파공작을 한 김수찬(67)씨는 현재 후유증으로 충남 당진의야산에서 혼자 움막 생활을 하고 있고 설악산부대 출신으로 70년초 북파공작을 한 박모(59)씨와 노모(58)씨는 사회 적응이 안돼 건달 생활을 하다전과 기록만 늘었다.

90년대 중반 이후 명예회복 요구미군 소속 북파공작원의 경우는 더 심각하다. 50년부터 56년까지 미군이훈련시켜 북한에 투입한 공작원은 모두 3,000여명으로 대다수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이들에 대한 기록은 국내에 전무해 미국쪽에 자료 요청을 해야 할 상황이다. 북파공작원과 유족들은 그 동안 간간이 생존확인및 명예 회복을 요구했지만 93년께 광주민주화운동 보상 요구가 터져 나오자, 시대적 분위기를 타고 조직적인 대응에 나섰다. 대북참전 국가유공자연대(대표 박부서), 북파공작원 유족동지회(회장 하태준), 북파요원 추모사업 전우회(회장 김정식), 북파공작 특수임무 동지회 전국연합(대표 이동안) 등이 대표적.

현재 김성호 열린우리당 의원이 북파공작원과 유족들의 뜻을 모아 발의한‘특수임무유공자보상에 관한 법률안’은 지난해 12월30일 국회 국방위를통과하고 법사위에 계류돼 있다. 이 법안이 본회의를 통과해 효력을 발휘하게 되면 정부는 최고 2억4,000만원(북파돼 임무 수행 중 전사자)까지의보상금을 북파공작원 출신 인사나 그 유족에게 지불해야 한다. 그 동안 ‘잊혀진 존재’로 치부됐던 북파공작원이 온전히 명예를 회복해 역사의 무대에 다시 서게 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주간한국 -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045 취업질문 김상희 2003.05.18 565 0
1044 가산점과 대학교 수업료에 대해 질문합니다 댓글+1 이호 2007.02.14 564 0
1043 12월/22일자 부산 신검 이모저모 댓글+2 임영화 2005.12.23 564 0
1042 국가유공자 신청에 필요한 치료기간 문의 댓글+3 남상민 2007.07.27 564 0
1041 저기요.. 댓글+1 남세준 2005.12.20 563 0
1040 도움부탁드립니다 김진권 2004.05.30 563 0
1039 로또 매주마다 총 판매액이 400억원 이상되는데... 강성태 2006.09.14 563 0
1038 한가지더 질문입니다,(김근관님) 댓글+2 이광진 2006.01.20 562 0
1037 차량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이경묵 2003.09.14 561 0
1036 조언부탁드립니다 댓글+2 안창훈 2004.08.08 561 0
1035 답변 부탁드립니다 꼭!! 댓글+1 김창영 2006.07.12 561 0
1034 질문입니다 박대용 2003.11.05 560 0
1033 국가유공자의 건강보험 및 소득세에 관한 윤기향 2003.11.11 560 0
1032 세월이 아주 오래됐는데,,국가유공자 가능한가요?? 댓글+2 이은용 2004.10.02 560 0
1031 [re] 전 국가유공자돼 대구에서 황당한사건^^ 모임회 2003.01.08 560 0
1030 상이군경회, 방위성금 3천만원 기탁 댓글+2 신재범 2011.01.12 560 0
1029 신검 일주일 전입니다..조언부탁드립니다^^ 댓글+3 서찬규 2005.10.15 559 0
1028 제주도 신영 영화 박물관 할인 윤경택 2003.10.29 559 0
1027 손해배상청구도 가능한가요? 댓글+1 이영준 2005.04.05 558 0
1026 후방십자 인대 파열입니다. 댓글+4 김성곤 2007.05.06 558 0
1025 거참 아이러니한 세상입니다. 썩은보훈청 임영화 2007.03.01 558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