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5월 27일 오후1시30분 KBS 1radio "라디오 정보센터 박애스더입니다." 열린마당에서 국사모 대표와 열린우리당 이상민 제3정책조정위원회 부위원장과 "공무원시험 상한제"에 관해 토론 내용중 국사모 대표의 인터뷰내용입니다.

[공지] 5월 27일 오후1시30분 KBS 1radio "라디오 정보센터 박애스더입니다." 열린마당에서 국사모 대표와 열린우리당 이상민 제3정책조정위원회 부위원장과 "공무원시험 상한제"에 관해 토론 내용중 국사모 대표의 인터뷰내용입니다.

자유게시판

[공지] 5월 27일 오후1시30분 KBS 1radio "라디오 정보센터 박애스더입니다." 열린마당에서 국사…

국사모 8 877 2005.05.27 13:58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안녕하세요. 존경하는 회원동지 여러분!

5월 27일 오후1시30분 KBS 1radio "라디오 정보센터 박애스더입니다." 열린마당에서 국사모 대표와 열린우리당 이상민 제3정책조정위원회 부위원장과 "공무원시험 상한제"에 관해 토론 내용중 국사모 대표의 인터뷰내용입니다.

방송시간관계상 전체가 방송되지 못한점 안타깝게 생각하며 회원여러분들의 격려전화 감사드립니다.

인터뷰내용 전문입니다.
=====================================================================================
1. 당정이 국가유공자 선발 예정 인원이 30%를 넘지 않도록 개정안을 마련했는데, 어떻게 보나?

우선 이번 개정안은 보훈가족에 대한 제대로 된 대안이 없이 여론에 밀려 급조된 시행되지 말아야할 개정안입니다. 1960년대부터 부여해오던 공무원가산점을 최근 교원시험까지 확대하면서 일반응시생들의 반발이 국가유공자 및 가족의 의견은 묵살된체 매스컴에 일방보도됨으로서 보훈가족의 명예를 실추시키는결과를 나았습니다. 또한 이번 개정안은 국가유공자에 대한 제대로된 예우및 권리도 자리잡지 않은현실과 확실한 대안도 마련되지 않은상태에서 국가유공자의 권익을 빼앗아가는 결과를 초래하였습니다.


2. 10% 가산점 때문에 일부 직렬에서 유공자와 그 자녀들의 독식 현상도 생기고 그래서 일반 응시자들의 공무담임권이 침해된다는 게 제한선 마련 취진데, 이 부분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나?

최근 3년동안의 통계자료만 보아도 그렇지 않으며 국가유공자본인의 경우는 더더욱 아닙니다. 지방 검찰직등 극히 일부직렬에 한해 그러한 현상이 있지만 일부를 전부로 호도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지극히 여론에 떠밀린 개정안이라고 생각합니다.


3. 노용환 대표는 이와 관련한 탄원서를 마련했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탄원서의 골자는 보훈가족의 선발 상한선을 50%로 조정하여야 하며 그리고 개정안시행을 최소2년이상 유예하고 가산점대상자중 국가유공자본인의 경우는 상한선에서 제외시켜야한다는 내용입니다.

- 그럼, 제한 자체를 두지 말자는 주장은 아닌 것 같다?
(- 50%를 상한선으로 제시하는 근거가 있나?


최근통계를 보더라도 50%로 상향조정한다고 하여 보훈가족이 50% 합격을 한다는 것은 절대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최근 3년간 통계를 보면 가산점합격자가 9급공무원의 경우 전체합격자의 16%를 차지하며 7급의 경우는 30% 내외를 차지합니다. 최근 통계를 볼때 30%정도 차지한다고 상한선을 30%로 제한한다는 논리는 설득력을 잃습니다. 그래서 보훈가족들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상한선비율을 단계적으로 하향하는 한이 있더라도 무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 단, 유공자 본인에 대해선 제한 두지 말아야...   그 이유는? )

우선 매스컴에서는 “국가유공자가산점”으로 약칭하여 마치 국가유공자 본인들이 독식하는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키는점을 고쳐야합니다. 전체 보훈대상자 최종합격자중 국가유공자본인의 합격률은 10%에도 채 미치지 못합니다. 현제 대한민국 국가유공자 본인들중 공무원시험에 응시가능한 인원이 5천여명이며 실제 응시할 인원은 20% 내외로 보고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대다수가 국가를 위해 봉사하다 희생한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상당수가 장애직렬을 응시하고 있습니다. 10명이내를 선발하는 장애직렬의 경우 이번 상한선 제도시행으로 큰 타격을 입게 됩니다. 그렇다고 국가유공자본인들이 여지껏 장애직렬에 응시하여 다른 응시생들의 공무담임권과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하는 수준도 절대 아닙니다. 이번 개정안의 큰 목적은 소수직렬에서 유공자자녀들의 독식을 막기 위함입니다. 고로 국가유공자본인들의 경우는 상한선대상에서 제외시켜야 합니다.


4. 국가 유공자 취업 상한제 관련, 마무리 말씀 부탁드린다.

가산점제도 및 취업보호제도는 헌법(헌법 제32조 6항 국가유공자·상이군경 및 전몰군경의 유가족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우선적으로 근로의 기회를부여받는다.)에도 명기되어 있으며 몇 년전 헌법소원결과에서도 “공공의 이익에 반하지 않는다.”라고 결론지어졌습니다. 국가의 지원이 한계적일 수밖에 없는 사항에서 국가를 위해 희생한 보훈가족분들의 자립을 돕기위한 소중한 권리입니다. 저희가 주장한바가 꼭 관철되도록 관심을 기울여주시고 국가유공자분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더욱더 노력하여주세요.

- 향후 계획은?  (헌법소원 등 )

이번 개정안이 별다른 성과없이 그대로 통과될 경우 가능한 모든방법을 동원하겠습니다. 그리고 법률검토를 통해 헌법소원을 제기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번 가산점 및 상한선논란으로 실추된 국가유공자의 명예회복을 위해 노력할것입니다.


Comments

이현우 2005.05.27 14:10
방송 잘듣고 청취자 참여신청도 했는데 방송 끝날때까지 선택이 안되었네요..국회의원분 TFT 무지 좋아하시는거 같아요..말끝마다 TFT..의원 입으로 헌법에 우선채용권이 보장되어 있다고 하고서는 제한하면...당연히 위헌아닌가..

유예를 주자는 부분에서 누구나 상식적으로 법 시행하면 유예해줘야 하는게 아닌가..뭐 그리 급하다고 6월 국회에 상정하고 일반응시생들의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 초스피드 진행하시는데..다른 업무도 놀지말고 그렇게 했으면 제가 할말이라도 없겠군요.

나중에 합격점수권에 있던 유공자가 상한제로 인해 부당하게 탈락하는 경우 나와도 그 소리 끝까지 하시나 지켜보겠습니다.

신영준 2005.05.27 22:34
그러게
박병덕 2005.05.27 23:50
우리의 입장에 서는곳은 국사모밖에 없네요. 쩌렁쩌렁 국회의원에게 자신있게 말하시던 대표형님 목소리가 지금도 생생합니다.
최민수 2005.05.28 00:17
수고하셨습니다. 형님.. 저는 공무원시험 볼 생각도 없지만 나라 돌아가는 꼴을 보면 한심하기 그지 없습니다. 유공자욕하고 이번 상한선이 정당하다 말하는 새끼 내눈앞에 걸리면 죽여버릴겁니다. 죄송합니다.
김성철 2005.05.28 12:17
대가리 똥만 찬것들이 아무리 T/F조직을 구성해서 머리를 짜낸들 개똥같은 생각밖에 더 하겠습니까...
신동호 2005.05.28 13:38
지금 라디오방송을 들어봤는데...
다안다 다안다..이런식이네요.
다알면 제대로 만들던지..아주 짜증나는군요.
의원의 말한마디한마디에 대표형님의 답답하셨을
맘이 느껴지네요

무조건 귀를 막고 눈을 가리고... 지네들 이야기만 떠들어대는
저런것들...

한나라당의원들..역시 ...쪽바리클럽인가..
친일파후손들이 백명이 넘던데...정말 무슨 생각으로 사는것인지 모르겠군요. 확실하고 시원한 답변도 못해주고.
그저그냥 멀준비했고 어떻게 했다..
머가 일반이 몇만명에 유공자식구들한테는 몇천명 -_-
그럼 당연히 일반인들이 한목소리로 줄여라했겠지...

아 정말 오늘 정모나가기 힘든상황인데...
늦더라도 나가야겠습니다.
김원중 2005.05.28 17:58
회장님 노고에 경의를 표함니다.
정말 수고하셨슴니다.어느한곳도 우리를 대변 하는곳은 없습니다 . 6월호국보훈에달에 잔인하게도 30%상한제를 처리한다 하니 기가 막힐 노릇이군요 ,그것도 보호해야할 열우당에서 ,몸만 건강해서 돈만 잘벌수 있다면 10%가산점이 무슨소용이며 ,공무원이 멀라 지원하겠나. 현정권은 국가유공자를 대우하는게 아니라, 데모한놈들 민주유공자 만들어 대우해준다 .... 이런정권이 오래가것나 옛날 국가유공자는 정권편이었는데......
김재훈 2005.05.31 16:31
우리모두힘을합칩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122 국가유공자 보훈가족 우리가 비정규직입니까? 아파치롱 2020.06.26 2320 0
1121 2012년 유공자 개정법 취업관련 관하여 댓글+7 신법을개정하자 2020.06.27 2712 0
1120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의 동원훈련 예비군 민방위 가이드 영민임다™ 2020.06.30 2552 0
1119 국가 유공자 신체검사 및 심의기간에 대한 질문 댓글+4 김영건 2020.07.02 2665 0
1118 ‘국가유공자 좌석버스 무료 이용해달라’ 포항시의회 강력 요구 민수짱 2020.07.03 2257 0
1117 추경 통과로 국가유공자 생활안정자금 300만원 추가 대부 댓글+1 민수짱 2020.07.04 3117 0
1116 2021 년 65세 아상 노인 325만명 기초연금 30만원 밭는다 영진 2020.07.05 2925 0
1115 코로나로 인한 대부관련 추가로 올립니다. 신법을개정하자 2020.07.07 2144 0
1114 보훈처, 백선엽 장군 국립현충원 안장 여부 내부 논의 중 민수짱 2020.07.11 1657 0
1113 軍복무 중 손가락 한마디 날아갔지만 국가보상은 ‘0원’…예산에 막힌 유공자 대우 댓글+1 민수짱 2020.07.11 2418 0
1112 보훈·유공자단체 수익사업 '투명성 강화'…관련법 개정 추진 댓글+3 민수짱 2020.07.13 1920 0
1111 조선일보 김동현 기자입니다. 위탁병원 진료시 약제비 감면이 없어 불편함 겪으신 분을 찾습니다. 김동현 2020.07.21 2115 0
1110 아. *나 짜증난다. 국가유공자 명패 댓글+7 짱또라이 2020.07.23 3643 0
1109 통합당 “4만명에 이르는 6.25 소년소녀병..국가가 예우해야” 댓글+1 민수짱 2020.07.25 1493 0
1108 보훈처, 88골프장 아파트 건설에 "회원권 반환에만 4천억" 댓글+1 민수짱 2020.07.25 2334 0
1107 서초·강남보금자리 유공자 82명 퇴거 위기 민수짱 2020.07.27 2152 0
1106 국가유공자 등 대부금 이율 인하…오늘 국무회의 심의 댓글+5 민수짱 2020.07.28 2945 0
1105 27일자 국립현충원 찾아와 국군들 묘역에 묵념하고 간 꽃사슴 연인 민수짱 2020.08.01 1668 0
1104 국가유공자등 전국 군부대 영외마트 PX WA마트 이용방법 및 주소록 댓글+6 영민임다™ 2020.08.01 32914 0
1103 죽고싶은 밤이네요..... 댓글+14 드르리 2020.08.08 3677 0
1102 병장 월급 96만원까지 인상(하사 1호봉 50% 수준) 댓글+7 kimjg 2020.08.10 2859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