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상이자 필독>서울보훈병원 의료수준.개인적 견해

<허리상이자 필독>서울보훈병원 의료수준.개인적 견해

자유게시판

&lt;허리상이자 필독&gt;서울보훈병원 의료수준.개인적 견해

정대성 4 1,277 2005.02.07 10:15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허리때문에 고생하시는 전국에 계신 국가유공자와 예비유공자님
꼭 완쾌되길 바라며..
전국 보훈병원 근로자님 고생많으십니다.

전 국가유공자 7급입니다.(L4~5, L5~S1 95년 경피적내시경수술, L5~S1 05년후궁절제술)
2005년도 1월 서울보훈병원에서 재수술을 받은 사람입니다.

수술받기전
서울보훈병원의 의료능력및 시설에 대해 많은 궁금증이 있었으나
마땅한 해답이 없어 이렇게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올립니다.

아랫글은 절대적인 개인적견해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신경외과적 질환은
전국에 있는 보훈병원보다 서울에 있는 보훈병원이 그나마 나을것을 판단됩니다.
(많은 환자들을 통해 들은 이야기)

추간판 탈출증 치료의 종류
많은 추간판 탈줄증에 대한 치료가 있습니다.

먼저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종류

일반적으로 추간판이 터져나왔냐?
아님 팽창되서 나왔냐?
이것이 무지 중요합니다.

추간판이 터져나왔을 경우에는
일반 절제술
후궁절제술(신경유착이 있을경우)(후궁이라는 뼈를 절개한후 유착된디스크를 제거함)
고정술(융합술)
복강경 인공디스크시술

팽창된경우
경피적 내시경술
캐모파파인시술(2005년1월 보훈병원에서 시술한 경우를 보았음)현재는 극히 드문 치료임(디스크용해술)
일반 레이져수술

보훈병원 추간판 탈출증 관련 입원기간은 1달정도이며,
후궁절제술은 수술후 상태에호전에 따라 2주후면 퇴원을 기본으로 합니다.
디스크가 터져나왔을경우
가장 고전적인 디스크절제술인 후궁절제술을 많이 하고 있으며,
수술후 경과는 환자 본인이 상당히 만족할 상태까지 수술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수술집도의는 어느 선생님을 막론하고 수준급에 있습니다.
나이 드신 어르신도 많이 하고 계시며, 호전속도 상당히 빠릅니다.
단지 전신마취를 하기 때문에 당뇨나 기력이 약하신분들은
최첨단 장비가 갖추어진곳에서 하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아직 시설적인 면에서 허리전문치료병원보다 약간 미약합니다.

디스크가 팽창된경우는
보훈병원보다는 일반 전문병원에서 수술하는것이 시간적으로 빠르고
90%이상의 완치율보일것입니다.
팽창은 시중에서 광고로 많이 떠드는 수술방법이 통하는 것입니다.
개인적인 견해이지만.
단순한 팽창으로 수술을 하지마시고
견인치료와 물리치료가 병행한다면 충분히 자가치료가 되는것입니다.

디스크라는병은 통증만 사라진다면 객관적인 의학적소견이
뚜렷이 나와도 일반생활에 지장이 없을수도 있습니다.
수술요법은 디스크환자중에 10%미만에서 행해지는것이 국제적이 추세이며
통증치료요법이 계속적으로 증가함에따라
수술은 많이 생각하셔야 할것입니다.

참고적으로
승급을 목적으로 허리에 핀박을라고 할경우
보훈병원보다는 일반대학병원에서 하십시요..
보훈병원에서는 융합술이나 고정술을 왠간해서는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장중요한것은 융합술을한다고 해서 승급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많이 알아보시고 하시길바랍니다.

개인적으로 허리환자들중 디스크가 터져나온분들은 6급을 받아야 되는데
7급가지고 생활하기 무지 힘들것입니다.
아무런 노동력 행사하기가 무지 힘들테니까요..

추간판 탈출증이 심하여 생활에 불편함을 많이 느끼시는분들은
일반 방사선전문병에서 MRI찍고, COPY하여 보훈병원들고가서 입원수속
밟으십시요, 보훈병원에 진찰받고 MRI찍고 입원할라면 오래걸립니다.
괜한고생 하시지 마시고 병 키우지 마세요...

예비유공자 님들은
MRI상태가 심할경우 그냥 신검받으시고
유공자 받고나서 보훈병원에서 수술 받으세요.
MRI상태가 경미할 경우 재활의학과 가서 근전도 신청하세요.

마지막으로 보훈병원에 대한 저의 느낌은..

보훈병원은 공단소속입니다.
공무원과 크게 다를게 없죠..자기일만 끝나면 땡치는거 아시죠?
가끔 응급상황이 발생했을때..전문의가 없는경우가 종종발생합니다.
관련 다른과들과 연계도 부족하여
입원시에도 대처가 느립니다.(통탄할때도 있습니다.)
전문의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합니다.
병상만 늘릴려고 하지 전문의를 늘릴려고 하지 않습니다.
수술하고 나서 집도의사 자주 못봅니다.
보훈병원 식사는 잘나옵니다.
시설적,장비면으로 갖추고는 있지만 낙후된 장비가 많습니다.
첨단의 의료시설을 이용할라면 다른병원 찾으십시요.

각병동 의사들 고생많이 하십니다. 너무많은 환자들을 진찰하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가끔 환자들이 불친절하다는 평도 있습니다.
이런거 신경쓰지 마세요...자기병만 깨끗이 낫을수 있는게 장땡 아닙니까...

수술은 본인의 판단이 중요한것입니다.
남의 말을 믿을필요가 없습니다..(도박과도 같습니다...디스크라는것은)
경미할경우나 시간이 없을경우는 전문병원을 찾으시고
승급을 목적으로 할려고 한다면 보훈병원보다는 대학병원에서 참고하세요








Comments

정대성 2005.02.07 15:12
무엇보다도 본인의 건강은 본인이 해결할려고 노력하십시요
무작정 보훈병원에 의지하다보면 실망할 결과도 나올수 있습니다. 승급보다도 건강을 최우선하십시요....수술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수 있습니다.
김동윤 2005.02.08 13:56
저같은경우 4번 5번 추간판탈출로 양쪽다 수술햇는데 재발햇어 또 신경유착이 심하다고하는데 수술못해주겟다고하더군요 해도 큰도움안된다고 하는것보다 안하는것이더좋다고 물리치료받으면 좋아지냐고 의사에게상담해보앗지만 효전된다고 말할수없다고하더군요 그래서 이번에 재검신청햇는데 어떻게 될지 모르겟습니다 ㅠ.ㅠ
유연숙 2005.02.10 00:51
송구스럽지만 제가 한마디 더올리겠습니다.대부분의 상이자가
형편이 넉넉치 못하여 신검준비를 보훈병원에만 의지하는경우가 종종 있습니다.근6년여 동안 정기적인 (최소 월2회)진료를 받아오면서 느끼는 것은 환자본인이 단지 신검만을 목적으로 병원을 찾는경우 보훈병원 전문의는 배타적인시각이나 정말 저환자가 아파서 왔을까?라는 의심의 잣대로 대하는경우도 종종있어 관련환자의 진단에 꽤 인색한 의견이나 혹은 소견을 비치는경우가 허다합니다.또 타진료기관보다 많은 환자를 상대하기때문에 본인이 수술한환자인지도 헷갈려 하는 예도 있어 개개인의 신상을 뚜렷하게 파악키 어려워 주먹구구식으로 진료하는점도 적지않게 이루어진다고 느낀적도 있습니다.결론은 한두번 가서 진단서를 요구하기보다는 자신의 상이나 통증을 해결하는 일이니만큼 또 신검예상기간이 수개월 소요됨을 참작하여 가급적 수차례 정기적인 진료를 받고 환자가 담당의의 눈에 익을때 즈음 신검에 대한 고민을 말씀해보시는게 좋습니다.무작정가서 대충검사하고 진단서혹은 소견서를 요구하는경우 교통사고나서 형식적으로 2주진단이 나오는경우와 같이 의미없고 별 내용없는 진단내용을 받으니 꼭 유의하시면 도움될것 같습니다.~~~~(__)
정대성 2005.02.11 12:35
유연숙님의 말에 동의 합니다.
한두번 가서 진단서 요구하기보다 자주 진찰받은후에 신검에 대해 논의해 보시구요 보훈병원 의사님들 신검에 대해서는 잘 관여할여고 하지는 않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일이라 본인 스스로 해결하라는 식입니다.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