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탁병원 확대요망

위탁병원 확대요망

자유게시판

위탁병원 확대요망

백창기 5 1,099 2018.04.14 14:42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저는 4월 11일 건강보험공단에 가서 국가유공자 건강보험 배제신청을 하고 왔습니다.지역에 위탁 보훈병원도 있고 중앙보훈병원에 다니면 어려움이 없을 것같았으나 위탁병원에 없는 치과나 안과등에 문제가 있을 경우 어쩌나 싶어 망설이다가 했는데 만약 보훈병원에 다니다가 큰병으로 대학병원등에 가려면 다시 부활시켜야 하는데 어려움이 없겠느냐고 질문했더니 그 즉시 등록신청을 하면 신청한 날부터 의료보험이 적용되며 요금은 그달치 부터 내면 된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큰병원 이용시에도 문제는 없을 것 같은데 중앙보훈병원은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몰리고 예약도 오래걸려 좀 불편함이 있습니다. 위탁병원을 치과나 안과 등 까지 확대지정하여 시골사람들이 서울까지 가지 않고도 쉽게 진료받을 수 있도록 해 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큽니다.


Comments

디스크환자 2018.04.15 11:41
위탁병원 증설 절실합니다..
모든 병원에서 보훈증 제시하면 진료가능하도록 법이 바뀌었으면 합니다...
민수짱 2018.04.15 14:45
좋은의견 감사드립니다.
국사모 보고서 참고하세요.
http://www.ymveteran.com/bbs/board.php?board=bobokji&command=body&no=18
크루거 2018.04.16 08:33
저도 결혼전엔 배제신청했다고,,결혼후 적용신청함..솔직히 평상시엔 괜찮은데 큰사고 시에 불편함 및 가족들...
참고로 지역보험이면 살리기가 더쉽고..직장보험은 총무과등을 통해서 해야하기 때문에 번거로움..
미소남 2018.05.07 18:43
작년 12월 보훈공단 열린혁신 국민제안 수렴에 접수한 내용입니다.

●필요성
국가유공자에 대한 지원 중에 그 어떤 것도 소중하지 않다는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만, 그 중에서 의료지원은 보상금인 보훈급여와 더불어 중요도가 높다고 할 것입니다. 현재 전국 5개 보훈병원이 있어 국가유공자 등 보훈대상자 및 그 가족들이 국비 및 감면 진료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전국 진료위탁병원에서 국가유공자들이 국비 진료를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보훈병원 인근 거주하는 국가유공자 가족들은 접근성이 용이해 감면 혜택을 받기 쉽지만 멀리 거주하는 가족들은 왕래하기에 시간이 오래 걸려 많은 국가유공자 가족들은 감면 혜택을 포기해 제대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국가유공자의 경우도 진료위탁병원이 곳곳에 있다지만 대부분 지역마다 1~2곳 밖에 없고, 진료 종료 시간이 대부분 오후 5시인데 이보다 늦게 퇴근하는 직장인들은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습니다.
●제안내용
진료위탁병원으로 지정된 병원만 이용해야 국비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현행 제도를 2차 병원급 진료위탁병원은 유지하면서 전국의 1차 의료기관인 병의원 및 한의원에서도 치료 목적으로 하는 국비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병의원 및 한의원에서 진단을 받고, 상위 2차, 3차 의료기관의 진료가 필요하다는 1차 의료기관(병의원 및 한의원) 의사의 진단 시에 2차, 3차 의료기관에서 국비 진료가 가능하도록 개선되길 바랍니다. 그리고 현행 보훈병원에서만 받을 수 있는 국가유공자 본인의 직계가족 감면 진료에 대해서도 직계존비속, 배우자 등의 가족 중 1인만 받을 수 있는 것을 예전처럼 모든 직계존비속 및 배우자 등 가족 모두 적용받을 수 있도록 개선되길 바라며, 보훈병원과 거주지가 거리가 멀어서 제대로 진료비 감면을 받지 못하고 있는 국가유공자 가족들도 보훈병원에서 받는 진료비 감면 혜택을 공평하게 받을 수 있도록 진료위탁병원에서도 가능하도록 개선바라며, 지난 정부에서 2012년 7월 이후 판정받은 공상, 전상 7급 해당자는 상이처 외 부위 진료 시에 진료비의 20%를 본인이 부담하도록 정책 퇴보가 이뤄졌는데, 다시 바로잡았음 합니다.

등의 내용으로... 의료지원에 대해서 불편함이 있으니 제안내용처럼은 아니더라도 꼭 제도개선이 되었음 하는 바람에서 접수했었습니다.
초월 2019.04.12 19:02
좋은 글입니다. 근본적으로는 복지부와 보훈처가 협의하여 의료보험에 지정된 거주지와 가까운 모든 병원을 유공자들이 불편없이 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위탁병원 지정제는 비리도 많을테고 지역별로 고르게 분포하지 않아 사각지대가 있습니다. 단, 모든 병원을 이용가능할 수 있게 되려면 예산이 문제가 되겠지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444 대구은행, 저소득층·국가유공자도 ATM 수수료 면제 최민수 2018.04.03 1142 0
1443 중앙행심위 “국가유공자와 사실혼 관계 배우자, 국립묘지 합장해야” 최민수 2018.04.03 1034 0
1442 방배초 인질범 "유공자 탈락에 환청 들어"…경찰, 영장 신청 최민수 2018.04.03 903 0
1441 상이연금 팩트 체크(질문중심) 댓글+15 안종민 2018.04.03 4491 0
1440 여러 선후배님들께 여쭙니다.임대주택이나 전세자금대출 관련해서요 댓글+1 배의중 2018.04.03 1100 0
1439 국민권익위, 특수임무 유공자 유족 확정 후 신청기한 지나도 보상금 지급...국방부에 제도개선 … 최민수 2018.04.04 890 0
1438 권익위 "사망시까지 전처 간호한 국가유공자, 국립묘지 합장해야" 댓글+1 최민수 2018.04.04 1162 0
1437 보훈단체 지원을 하고있다고하는데 어디에쓰나요 댓글+1 정원식 2018.04.05 1171 0
1436 공무원 장해연금과 국가유공자 보훈금 이중 지급여부 댓글+3 김동연 2018.04.05 3048 0
1435 시흥시 보훈명예수당 지급날짜 댓글+4 최유빈 2018.04.05 1123 0
1434 보훈수당 소득에서 제외 댓글+2 박준철 2018.04.06 1118 0
1433 이언주 의원. 보훈급여금은 '소득'이 아닌 '보상'으로 개선해야 댓글+3 최민수 2018.04.08 1081 0
1432 [초대받지 못한 영웅들]<하>3·1만세 200만명, 독립유공자는 1만4380명뿐 최민수 2018.04.08 881 0
1431 보훈대상자 기초연금법 개선 정책간담회 자료 댓글+7 영민임다™ 2018.04.09 1621 0
1430 국가유공자 보상금 올렸더니 의료비 ' 폭탄 댓글+3 최석숭 2018.04.11 1512 0
1429 국가로 부터 버림 받은 "보훈 보상대상자" 댓글+12 김성환 2018.04.11 1631 0
1428 정재호 의원, 국가유공자 예우 강화 기초연금법 개정안 발의 댓글+3 최민수 2018.04.12 1253 0
1427 국가유공자 의료급여 탈락률 최소화 노력 댓글+2 최민수 2018.04.12 1152 0
1426 국가유공자 처우좀 개선 되으면 좋게네요 댓글+3 한승호 2018.04.12 1077 0
1425 정당한 분노는 두려움을 이길수 있습니다. 댓글+18 익명 2018.04.08 1109 0
1424 청원에 동참 해주세요! 댓글+16 조광신 2018.04.10 1074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