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해전’ 빠진 보훈처 정책자문위…유족 반발

‘연평해전’ 빠진 보훈처 정책자문위…유족 반발

자유게시판

‘연평해전’ 빠진 보훈처 정책자문위…유족 반발

민수짱 0 1,217 2022.07.08 14:19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연평해전’ 빠진 보훈처 정책자문위…유족 반발
입력 2022.07.08 (06:00)

지난 6일 국가보훈처(처장 박민식, 이하 보훈처)가 각계 전문가 및 국가유공자 등이 참여하는 정책자문위원회(이하 자문위)를 출범한 가운데, 제1·2연평해전 관련 인사는 위촉되지 않아 유족 측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날 오후 2시 서울 서대문구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박민식 처장과 자문위원 등이 참석했습니다.

보훈처는 "국가 보훈의 미래 발전 방향 수립에 보훈 수혜 당사자인 국가유공자와 유족, 의료·기업·언론 등 민간 영역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고 "국민과 보훈 가족들의 눈높이에 맞는 보훈 행정을 구현"하기 위해 자문위를 출범했다고 밝혔습니다.

자문위는 '공정하고 합리적인 보훈 체계 구현' ·'국가를 위한 희생을 존중하고 기억하는 사회 문화 조성' 등 주요 정책 의제별로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 보훈처에 제안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자문위원은 총 44명으로 위원장은 인요한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 활동 기간은 내년 7월 5일까지 1년입니다. 민간 분야의 자문위원으로는 이국종 아주대 의대 교수, 김경율 경제민주주의21 공동 대표, 김민전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 최태성 이투스교육 한국사 강사, 김호연 빙그레 회장 등이 있습니다.

■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전 등 보훈 당사자 위원 참여

보훈처에 따르면, 인요한 소장의 경우 본인을 비롯해 일가가 '보훈 명문가'라는 점에서 자문위원장에 선정됐습니다. 보훈처는 "인요한 위원장은 5·18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서 통역을 맡기도 했고, 한국 사회 발전에 기여한 공로(한국형 구급차 개발 등)를 인정받아 2012년 특별 귀화 1호로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했다"며 "조부와 부친은 독립운동가와 유엔 참전 용사로 독립·호국·민주를 아우르는 보훈 명문가 출신"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인 소장의 부친 고(故) 휴 린튼씨는 6·25전쟁 당시 해군 장교로 원산 전투 등에 참전했고, 조부 고 윌리엄 린튼씨는 독립운동 지원 공로로 201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습니다.

국가유공자 및 유족 등 보훈 당사자 위원으로는 김강훈 양궁 선수(공상군경, 2022년 세계 상이군인 체육대회 남자 양궁 개인전 금메달), 김오복 광주 대성여고 교장(연평도 포격전 전사자 고 서정우 하사 모친), 이지훈 연세이글스 아이스하키 선수(공상군경, 2018년 평창 동계 패럴림픽 아이스하키 동메달),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전상군경, 예비역 대령), 하재헌 예비역 중사(전상군경, 목함 지뢰 폭발 사고, SH공사 장애인 조정팀 소속) 등이 위촉됐습니다.

이상의 위원 명단을 보면 보훈처가 독립운동, 6·25전쟁, 광주민주화운동,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전, 목함 지뢰 폭발 사고 등 여러 세대에 걸쳐 '국가 수호 공로'가 있는 대상자들을 선정하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나타납니다.

■ 연평해전은 없어…유족 측 "'빠뜨려서 죄송하다'고 하더라"

지난 6월 29일 오전 경기도 평택시 해군 제2함대 사령부에서 열린 ‘제2연평해전 승전 20주년 기념식’에서 유족이 해전 영웅들의 얼굴 부조상을 어루만지며 눈물 흘리고 있다. (사진 출처=연합뉴스)
지난 6월 29일 오전 경기도 평택시 해군 제2함대 사령부에서 열린 ‘제2연평해전 승전 20주년 기념식’에서 유족이 해전 영웅들의 얼굴 부조상을 어루만지며 눈물 흘리고 있다. (사진 출처=연합뉴스)

그러나 연평해전 참전 유공자 및 유족은 선정되지 않았습니다. 제1·2연평해전은 우리 해군이 1999년과 2002년 6월, 해상 교전 끝에 북한군을 물리치고 서해 NLL(북방한계선)을 수호한 전투입니다. 특히 올해로 20주기를 맞은 제2연평해전은 지난 6월 29일 해군참모총장 주관 기념식에서 '승전(勝戰)'으로 승격됐습니다. 올해부터 행사 명칭을 '승전 기념식'으로 바꾸고, 전적비도 '전승비'로 교체하기로 했습니다.

연평해전 참전 유공자 및 유족도 국가 수호 공로가 있는 만큼, 보훈 당사자 위원에 선정돼야 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유족 측은 실망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서영석 / 제2연평해전 유가족 회장(고 서후원 중사 부친)
"'승전 20주년'이라고 (승격)했는데, 승리하면 뭐합니까. 귀찮은 존재가 됐는데. (보훈 차원에서는) 달라진 게 없어요. 말 잔치, 구호뿐이에요. 옛 정부나 현 정부나 똑같아요... 보훈처하고 통화를 해보니까, '빠뜨렸다'고 해요. '빠뜨려서 죄송합니다. 다음에 다시 한번 해보겠다'고 해요. 말이 됩니까. 처음부터 (우리 존재를) 잊고 있었다는 거죠."

서영석 회장은 '보훈처로부터 위원 선정과 관련해 사전에 어떤 제안을 받거나, 나중에라도 제외된 이유에 대한 설명 등이 있었나'라는 질문에 "전혀 그런 거 없었다. 오늘(6일) 언론 보도 보고 (자문위 출범 사실을) 알았다"며 "(우리에게도) 의향을 물어보고 제외시키는 거는 괜찮은데, 왜 일방적으로 (선정)하나"라고 답했습니다.

■ 보훈처 "특정 사건 기준으로 선정한 것 아냐…필요한 분 추가 위촉 검토"

이에 대해 보훈처 대변인실은 7일 오후 기자에게 보낸 서면 질의 답변서에서 "(자문위원 중) 국가유공자는 특정 사건 기준으로 선정하지 않았다"며 "청년 유공자, 순직 군인 유족, 전투 중 부상, 의무 복무 중 부상자 등 주요 유형별로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순직 군인 유족인 김오복 위원의 경우, 현직 교장 선생님으로서 미래 세대에 대한 보훈 교육 등에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판단해 선정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보훈처는 "이번 정책자문위원회는 다양한 국민의 의견 반영을 위해 국가유공자, 의료, 기업, 작가, 언론인, 문화인 등 각계각층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분들을 선정했다"며 "특히 국가유공자 가족(인요한, 이국종, 김현정, 이승찬 위원 등)이나 국가유공자 지원 활동을 펼치시는 등 평소 보훈에 관심을 가진 분들을 중점 선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보훈처는 "위원으로 선정된 분 외에는 별도 안내를 하지 않았다"며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구성은 변동이 가능하므로 향후 논의 주제를 고려해 의견 수렴 등이 필요한 분의 추가 위촉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신승민 ssm0716@kbs.co.kr

출처 KBS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04541&ref=A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9261 2022년 보훈보상금은 언제 결정 날까요? 댓글+11 뺑가리 2021.07.22 5282 0
19260 보훈병원 또는 보훈공단에 바라는 개선사항 댓글+18 dddddd2d2d 2021.07.19 1919 0
19259 우원식 “국가유공자 코로나19 백신 우선 접종하자” 제안 댓글+4 민수짱 2021.07.12 1660 0
19258 '1인 최대 500만원' 내일배움카드 전국민 확대 민수짱 2021.07.10 2229 0
19257 제22회 보훈문화상 후보 추천에 관하여 댓글+6 단가슴 2021.07.09 1164 0
19256 보훈처, 보훈단체 대상 성희롱·부당해고 등 전수조사키로 민수짱 2021.07.07 1127 0
19255 法 음주뺑소니' 국가유공자 국립묘지 안장 배제 타당 민수짱 2021.07.05 1156 0
19254 김영주의원, 월남전 고엽제후유의증 환자 사후등록 개정안 발의 민수짱 2021.07.04 1143 0
19253 김성원의원, 호국보훈 위한 패키지 법안 발의 민수짱 2021.07.04 1563 0
19252 양기대 의원 "고엽제후유증환자 의료지원 확대 법안 발의" 민수짱 2021.07.04 1193 0
19251 법원 "가혹행위로 극단적 선택 병사도 보훈보상대상자" 민수짱 2021.07.04 1172 0
19250 국민청원 27사단 전차중대 포수인 우리아들 다친눈은 누가 책임을 질까요? 댓글+1 민수짱 2021.07.03 1732 0
19249 7급도 정말 상황에 맞는 보상을 받으면 좋겠습니다 댓글+5 아프지마세요 2021.06.27 3021 0
19248 국민의 힘에 보훈정책 자료 송부 건의/정책토론 등. 댓글+1 용된미꾸라지 2021.06.26 1164 0
19247 2007년부터 2021년까지의 상이등급별 보훈급 격차 그래프 댓글+9 엔지니어 2021.06.24 4053 0
19246 백혈병 걸렸는데 감기약만…사망한 사병에게 군대가 한 일 [김형남의 갑을,병정] 댓글+1 민수짱 2021.06.24 1142 0
19245 민선 7기 경기도, 명예수당과 복지‧기념사업 등 새로운 보훈 정책 선보여 민수짱 2021.06.23 1294 0
19244 2022년 보훈보상금은 언제 결정날까요? 댓글+3 부산유공 2021.06.23 3627 0
19243 박수영 의원 “국가유공자 대상 백신접종 우선 시행돼야” 민수짱 2021.06.22 1219 0
19242 국가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지자체 보훈수당, 기초생활수급자격 소득산정에서 제외 민수짱 2021.06.19 3970 0
19241 시위대가 던진 돌에 치아 손상 국가유공자에 치료비 지급해야" 댓글+1 민수짱 2021.06.19 1132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