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 보훈대상 유족 선정 시 ‘연장자 우선, 유족 수 1명 한정’기준 폐지해야

국민권익위, 보훈대상 유족 선정 시 ‘연장자 우선, 유족 수 1명 한정’기준 폐지해야

자유게시판

국민권익위, 보훈대상 유족 선정 시 ‘연장자 우선, 유족 수 1명 한정’기준 폐지해야

민수짱 2 1,490 2022.06.28 11:03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국민권익위, 보훈대상 유족 선정 시 ‘연장자 우선, 유족 수 1명 한정’기준 폐지해야

2022. 6. 27.(월) 08:30

국민권익위, 보훈대상 유족 선정 시 ‘연장자 우선, 유족 수 1명 한정’기준 폐지해야
- 양육책임 불이행 부모 보훈혜택 제한 등 보훈대상유족 선정 합리화 방안 제도개선 권고 -
 
□ 앞으로 국가보훈대상 유족 선정 시 일률적으로 적용되던 ‘연장자 우선, 유족 수 1명 한정’ 기준이 폐지되고 양육책임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부모는 보상금 등 보훈혜택이 제한된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이 같은 내용의 ‘국가보훈대상 유족 선정기준 합리화 방안’을 마련해 국가보훈처에 제도개선을 권고했다.

□ 기존에는 국가유공자 등 보훈대상자 본인이 사망한 경우, 같은 순위의 유족 중 생활수준 등을 고려하지 않고 나이가 가장 많은 유족 1명에게만 보훈혜택을 부여했다.

이와 관련해 헌법재판소는 독립유공자 손자녀 보상금 등의 경우에 ‘연장자 우선, 유족 수 1명 한정’ 기준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한 바 있다.

그러나 국가보훈처는 이 같은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 사안에 대해서만 지급기준을 개정하고, ‘연장자 우선, 유족 수 1명 한정’이라는 일반 기준은 그대로 유지해 왔다.

이 때문에 보훈대상 유족 선정 시 자녀가 여러 명인 경우 연장자 1명만 보상금, 각종 수당, 의료‧대부 지원, 주택 우선공급 등 보훈혜택을 받고 생계가 곤란한 자녀는 배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제로 생활조정수당 지급현황에 대한 국민권익위의 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연장자 우선, 1명 한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보훈대상 유족 123,512명 중 불과 5,923명(4.8%)만 생계곤란자로 생활조정수당을 지급받고 있었고,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 등으로 지급대상에서 제외되는 같은 순위 유족은 267,833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제적 미지원, 학대 등 양육책임을 다하지 않은 부모가 자녀 사망 시 아무런 제한 없이 보상금 등 각종 보훈혜택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 2021년 기준 국가보훈 대상자의 부모 7,801명에게 지급된 보상금은 1,423억 원임

한편, 양육책임을 이행하지 않은 부모에 대해 공무원 자녀 사망 시 유족급여 수급을 제한하는 「공무원재해보상법」 및 「공무원연금법」은 지난해 6월 시행됐다.

□ 이에 국민권익위는 국가보훈대상 유족 선정 시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연장자 우선, 유족 수 1명 한정’ 기준을 폐지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양육책임을 이행하지 않은 부모에 대해서는 보상금 등을 제한하고 후순위 유족에게 보훈혜택을 이전하는 등 세부 규정을 ‘국가유공자법’ 등에 마련하도록 권고했다.

□ 국민권익위 전현희 위원장은 “이번 제도개선은 국가보훈대상자의 유족에 대한 보상·지원을 강화해 일류보훈을 앞당기는 데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Comments

노동이 2022.06.28 14:58
독립유공자후손은 연장자순으로 1명만 보훈혜택을 보게 되어 늘 말썽이 있었습니다.
국가에서 형제, 자매간에 보훈혜택을 가지고 싸움을 부쳤다고 생각합니다.
후손들의 생활수준을 고려하여 유족수 1명 한정이 아니라, 기준에서 미달된 후손에게 적은 금액이라도 모두 지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영진 2022.06.28 17:40
독립유공자 3대까지 혜택있고 국가유공자는 본인과 가족 혜택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9261 2022년 보훈보상금은 언제 결정 날까요? 댓글+11 뺑가리 2021.07.22 5282 0
19260 보훈병원 또는 보훈공단에 바라는 개선사항 댓글+18 dddddd2d2d 2021.07.19 1919 0
19259 우원식 “국가유공자 코로나19 백신 우선 접종하자” 제안 댓글+4 민수짱 2021.07.12 1660 0
19258 '1인 최대 500만원' 내일배움카드 전국민 확대 민수짱 2021.07.10 2229 0
19257 제22회 보훈문화상 후보 추천에 관하여 댓글+6 단가슴 2021.07.09 1164 0
19256 보훈처, 보훈단체 대상 성희롱·부당해고 등 전수조사키로 민수짱 2021.07.07 1128 0
19255 法 음주뺑소니' 국가유공자 국립묘지 안장 배제 타당 민수짱 2021.07.05 1156 0
19254 김영주의원, 월남전 고엽제후유의증 환자 사후등록 개정안 발의 민수짱 2021.07.04 1143 0
19253 김성원의원, 호국보훈 위한 패키지 법안 발의 민수짱 2021.07.04 1563 0
19252 양기대 의원 "고엽제후유증환자 의료지원 확대 법안 발의" 민수짱 2021.07.04 1193 0
19251 법원 "가혹행위로 극단적 선택 병사도 보훈보상대상자" 민수짱 2021.07.04 1172 0
19250 국민청원 27사단 전차중대 포수인 우리아들 다친눈은 누가 책임을 질까요? 댓글+1 민수짱 2021.07.03 1732 0
19249 7급도 정말 상황에 맞는 보상을 받으면 좋겠습니다 댓글+5 아프지마세요 2021.06.27 3021 0
19248 국민의 힘에 보훈정책 자료 송부 건의/정책토론 등. 댓글+1 용된미꾸라지 2021.06.26 1164 0
19247 2007년부터 2021년까지의 상이등급별 보훈급 격차 그래프 댓글+9 엔지니어 2021.06.24 4055 0
19246 백혈병 걸렸는데 감기약만…사망한 사병에게 군대가 한 일 [김형남의 갑을,병정] 댓글+1 민수짱 2021.06.24 1142 0
19245 민선 7기 경기도, 명예수당과 복지‧기념사업 등 새로운 보훈 정책 선보여 민수짱 2021.06.23 1294 0
19244 2022년 보훈보상금은 언제 결정날까요? 댓글+3 부산유공 2021.06.23 3627 0
19243 박수영 의원 “국가유공자 대상 백신접종 우선 시행돼야” 민수짱 2021.06.22 1219 0
19242 국가유공자에게 지급하는 지자체 보훈수당, 기초생활수급자격 소득산정에서 제외 민수짱 2021.06.19 3970 0
19241 시위대가 던진 돌에 치아 손상 국가유공자에 치료비 지급해야" 댓글+1 민수짱 2021.06.19 1132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