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름만 ‘부(部)’인 국가보훈부? 11년간 신규 사업 ‘단 1개’

[단독] 이름만 ‘부(部)’인 국가보훈부? 11년간 신규 사업 ‘단 1개’

자유게시판

[단독] 이름만 ‘부(部)’인 국가보훈부? 11년간 신규 사업 ‘단 1개’

민수짱 0 112 17:05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단독] 이름만 ‘부(部)’인 국가보훈부? 11년간 신규 사업 ‘단 1개’
기자명 정윤성 기자 (jys@sisajournal.com
승인 2025.11.11 17:02

주기적 기념 사업 제외하면 10년간 신규 사업 ‘無’…내년 예산안에 1건 편성
보훈처 → 보훈부 승격에 기능·권한 확대에도 정부 예산서 보훈 비중 감소세
보훈부 “재정당국과 협의했으나 예산 증액 및 신규 사업 반영에 한계”

역대 정부가 계속해서 ‘보훈 강화’를 강조해 왔지만, 정작 국가보훈부의 예산안에서 신규 사업은 11년간 단 1건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전체 예산에서 보훈 예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해마다 줄고 있어, 적극적인 신규사업 발굴과 예산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시사저널이 입수한 2026년도 국가보훈부 소관 예산안 검토보고서 등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내년까지 최근 11년간 보훈부 예산안에서 ‘광복 80주년’ 등 주기적 기념사업을 제외하면 세부사업 단위의 신규 사업은 단 1건에 그쳤다.

세부사업은 예산의 가장 하위 단위로 실제 예산 집행이 이뤄지는 구체적인 사업 내역을 뜻한다. 유일한 신규 세부사업 1건 역시 올해 처음 추진하는 ‘고령 독거유공자 AI 기반 안부 확인서비스’로 사실상 지난 10년간 보훈부에서 신규사업은 전무했던 셈이다. 같은 기간 이보다 상위 단위인 단위사업에서는 신규사업이 한 건도 존재하지 않았다. 세부사업의 하위 단위인 내역사업까지 넓혀 봐도 신규사업은 총 5건에 불과했다.

물론 정부의 모든 부처가 매년 신규사업을 편성하는 것은 아니다. 내년도 정부의 신규사업은 총 517개로 총 60개 기관 중 42곳에만 편성됐다. 관세청·통계청·성평등가족부 등 18개 기관은 보훈부와 마찬가지로 신규사업이 없다.

文·尹 정부서 ‘장관급’ 부처 됐는데

다만 역대 정부가 ‘보훈 강화’를 내세우며 보훈부의 권한과 기능을 대폭 확대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신규사업 발굴에 소극적인 상황은 아쉽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국민통합에 기여하는 미래지향적 보훈’을 내걸고 2017년 7월 당시 처장급이던 보훈처를 장관급 기구로 격상했다. 윤석열 정부는 더 나아가 2023년 6월 보훈처를 보훈부로 아예 승격시키면서 보훈부의 위상과 권한, 기능은 더 강화됐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나라를 위한 헌신에 합당한 보상과 예우 실현’과 ‘전 세대를 아우르는 보훈체계 구축’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올해 예산안에 대한 지난해 국회 심사 과정에서도 같은 문제가 지적된 바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전문위원은 올해 예산안에 대한 검토보고서에서 “보훈부는 부 승격, 보훈정책 방향 변경에 맞춰 신규 사업을 발굴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예산 편성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당시 예산 심의를 마친 정무위원회도 “국가보훈부는 각종 보상금 및 전직지원금 등을 계획대로 지급하고, 의료·복지분야와 같은 서비스 예산을 확충하며, 보훈정책 방향 변경에 맞춰 신규사업을 발굴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예산 편성을 위해 노력한다”는 부대 의견을 냈다.

728조 정부 예산서 보훈 예산 ‘0.91%’

물론 보훈의 영역이 넓어지고, 다양한 보훈 정책이 등장함에 따라 보훈 대상과 보훈 예산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보훈대상은 참전유공자, 5·18민주유공자, 제대군인 등까지 확대되며 2013년에는 80만 명, 2025년에는 83만 명으로 증가했다. 보훈 예산도 2018년 5조원에서 2023년 6조원을 돌파한 후 6조원대를 유지 중이다.

그럼에도 보훈부의 예산 확보 역량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내년 보훈부 예산은 6조6582억원으로 지난해보다 3.3% 증가했지만, 보훈부가 속한 보건·복지·고용 분야 예산 증가율(8.2%)이나 정부 총지출 증가율(8.1%)의 절반도 못 미친다. 보훈 예산이 정부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율 역시 올해 0.94%, 내년 0.91%로 2020년(1.76%) 대비 감소하는 추세다.

보훈부는 지난해 예산 심의 과정에서 국가보훈대상자에 대한 보상과 예우 강화를 위해 재정당국과 여러 차례 예산안 협의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였으나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 확립에 따라 예산 증액 및 신규 사업 반영에 한계가 있었다는 입장이다.

 정윤성 기자 jys@sisajournal.com

출처 시사저널 :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52553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1 국사모™ 2024.10.05 44299 0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63306 1
20410 충북도, 의료비 후불제 융자 한도 내달부터 500만 원으로 민수짱 20:44 31 0
열람중 [단독] 이름만 ‘부(部)’인 국가보훈부? 11년간 신규 사업 ‘단 1개’ 민수짱 17:05 113 0
20408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손자녀까지 포함한 교육 지원, 조례는 시행됐지만 행정은 ‘제자리… 민수짱 10:06 164 0
20407 캠코, 보후대상자 포함 20년 이상 장기 연체채권 소각 추진 민수짱 11.10 390 0
20406 "남편은 소방관인데…" 순직 후 서류에 적힌 낯선 단어 민수짱 11.09 288 0
20405 국가보훈위원회 민간위원, 국민이 직접 추천한다 댓글+15 민수짱 11.09 507 1
20404 용인특례시 2026년 보훈명예수당 연령제한 폐지 관련 댓글+3 국군대구병원 11.07 577 0
20403 용인시, 2026년 내년부터 국가유공자 보훈명예수당 연령 제한 폐지 민수짱 11.07 508 1
20402 의왕시-시의회 ‘보훈수당 인상안’ 또 줄다리기 예고 댓글+1 민수짱 11.03 785 0
20401 [단독] 국가 전산망 의존 '보훈특별고용' 한계 드러나 민수짱 10.31 499 0
20400 복지카드 신용카드 혜택 변화 필요 댓글+2 바자라 10.28 1081 1
20399 "보훈대상자 의무고용" 독촉 6,562건…정작 보훈부 산하기관은 6년째 미달 댓글+4 민수짱 10.24 1070 2
20398 [단독] 2,489일째 지원자 0명…전문의 소멸한 보훈병원 민수짱 10.24 544 2
20397 국사모회원님들께, 안타까운 소식을 전합니다.!! 댓글+4 천부도인 10.24 1133 1
20396 “16만 홀몸 초고령 보훈대상자, ‘영양 부족’으로 고독사 위험”…급식지원 의무 국가유공자법 … 민수짱 10.23 386 1
20395 이정문 의원, ‘보훈의료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 대표발의… 보훈의료 체계 하나로 통합 민수짱 10.23 397 0
20394 월 10만 원 참전유공자 배우자 생계지원금, 실질 혜택은 10명 중 1명뿐, 빛좋은 개살구 민수짱 10.23 315 0
20393 미국이 참전 국가유공자의 마지막 가는길을 배웅하는 방법 댓글+2 민수짱 10.19 524 0
20392 군대서 다쳤는데 “증거있냐”는 대한민국…끝나지 않는 소송전 민수짱 10.18 479 0
20391 국가보훈정책특위 출범 대의원 10.16 709 1
20390 김상훈 의원, 국가유공자 취업지원 강화 법안 발의 댓글+9 민수짱 10.16 1139 0
Category

0505-379-8669
010-2554-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