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지원금도 15만원인데”…참전유공자 예우 놓고 정무위 시끌, 왜?

“민생지원금도 15만원인데”…참전유공자 예우 놓고 정무위 시끌, 왜?

자유게시판

“민생지원금도 15만원인데”…참전유공자 예우 놓고 정무위 시끌, 왜?

민수짱 0 1,484 08.08 19:24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민생지원금도 15만원인데”…참전유공자 예우 놓고 정무위 시끌, 왜?
기자명 정윤성 기자 (jys@sisajournal.com)  승인 2025.08.07 17:10

‘보훈 사각지대’ 해소 물꼬 텄지만…‘예산 문제’ 앞에 실질적 예우 확대는 지지부진
“10만원 받으려고 78세 배우자는 2년 기다려야”…보훈부 형식적 예우 도마 위
최근 참전유공자가 사망한 이후에도 그 배우자에게 생계지원금을 지급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고령 참전유공자 가족들의 생계에 숨통이 트이게 됐다. 하지만 해당 법안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위원회에서 논의되는 과정에선 보훈부를 향한 여야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훈 대상과 지급 규모를 확대하자는 국회의 입장과 예산 제약을 고려한 보훈부의 태도가 충돌하면서다. 법 개정의 의미는 작지 않지만, ‘형식적 보상’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선 후속 입법 논의가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국회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참전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국회 정무위원회를 통과했다. 이번 개정안은 참전유공자가 사망할 경우 배우자에게도 생계지원금을 승계 지급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행법은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이면서 80세 이상인 참전유공자 본인에게만 매월 10만 원의 생계지원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유공자 사망 이후 홀로 남겨진 고령의 배우자가 경제적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6월 현충일 추념사에서 “참전유공자의 남겨진 배우자가 생활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사각지대 없는 보훈의료체계 구축’이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에도 담긴 내용이다.

개정안이 본회의까지 통과할 경우 1만7000여명의 참전유공자 배우자가 생계지원금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 201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개정안이 여야 합의로 정무위 문턱을 넘은 만큼 올해 중 입법이 완료되고, 내년부터는 문제 없이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법률안 내용을 심사하면서 참전유공자에 대한 지원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 언급되면서 제기됐다. 정무위 회의록을 보면 생계지원금을 배우자에게 승계하는 데엔 정무위와 보훈부의 이견이 없었지만, 연령과 금액 등 세부 사항을 놓고 시각차가 드러나면서 위원들의 지적이 쏟아진 것이다.

정무위가 심사한 법률안들에는 배우자의 연령 제한이 없었다. 참전유공자가 사망하면 배우자의 나이에 관계없이 지원금을 지급하자는 취지다. 그러나 보훈부는 재정 여건을 이유로 본인과 마찬가지로 80세 이상 배우자에게만 지원하자고 정무위에 건의했다. 보훈부에 따르면, 연령 제한을 80세로 뒀을 때 연간 200억원, 75세는 230억원, 제한이 없을시 250억원으로 약 50억원의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는데, 재정당국과 협의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정무위 위원들은 예산 문제를 고려하더라도 ‘특별한 보상’이라는 원칙에 비춰볼 때 연령 제한은 부적절하다는 주장이다. 유영하 국민의힘 의원은 “여명을 90세로 잡으면 80세 이상 배우자들도 10년이면 세상을 떠난다. 넉넉잡아 10년간 3조원 정도의 예산이 소요된다는 것”이라며 “대한민국 예산이 연간 650조원인데, 나라 지켜서 일했던 사람들한테 그 정도도 못 해주느냐”고 꼬집었다.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예를 들어 수급권자가 80세고 부인이 78세라고 했을 때 수급권자가 사망할 경우 부인은 2년 동안은 이 법이 적용되도 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것”이라며 “10만원이라는 돈을 배우자가 80세 될 때까지 2년이든 3년이든 기다려야 한다는 것은 불합리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보훈부는 6.25 참전유공자의 경우 그 배우자도 대부분 80세가 넘었다는 점에서 보훈 사각지대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월남 참전유공자도 평균 연령이 78세 정도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는 소수에 불과할 것으로 봤다.

그러나 정무위 위원들은 한두 명이라도 지원에서 배제될 경우 상대적 박탈감이 생길 것을 감안하면 연령 제한을 철폐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보훈부도 참전유공자에 대한 지원 취약지대가 있다는 점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일단 연령 제한을 토대로 한 법 개정을 통해 물꼬를 트고, 향후 재정당국과 논의를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또 다른 쟁점은 생계지원금 액수였다. 이번 개정안은 배우자 승계에 관한 법적 근거만을 담고 있어 구체적인 금액이 포함되지 않았지만, 법안 심사 과정에서 현재 지급 중인 월 10만원이 지나치게 적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유영하 의원은 “일반 국민한테도 소비쿠폰으로 15만원을 주는데 월 10만원은 (그분들이 나라에 희생한 부분을 감안하면) 푼돈이다”라며 “나라를 위해서 헌신하고 희생한 분들한테 그 영예를 기리고 그 예우를 다한다 말은 하면서도 다른 지원에 비해 굉장히 박하게 지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생계지원금 지급액은 법률이 아닌 시행령에 규정돼 있다. 시행령은 보훈부가 제정하고 공포하지만, 금액을 인상하려면 재정당국과의 협의가 필수다. 보훈부 역시 재정 규모 등을 늘리기 위해 재정당국과 협의했지만, 현행 수준에서만 동의를 얻은 것으로 해석된다.

척박한 예우에 대한 지적이 나온 만큼 보훈부 역시 이번 개정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은 개정안 통과 이후 기자들과 만나 “금액이나 지급 나이 등에 대해 다 만족하지는 못하겠지만 시작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이재명 대통령이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 ‘보훈의 사각지대가 없어야 한다’고 하신 만큼 대통령의 국정 목표가 그렇다면 그걸 충실히 하는 게 보훈부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참전유공자 단체들은 일단 생계지원금 승계의 길이 열린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대상 확대가 필요하다는 반응이다. 6·25참전유공자회 등은 “법 개정안 정무위 통과를 전폭적으로 환영한다”며 “혼자 남겨질 배우자 걱정에 눈도 못 감겠다고 말하는 노병의 오랜 바람이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로 채택되고 속도감 있게 입법이 진행되고 있는데 대해 무한한 감사를 전한다”고 밝혔다.

 정윤성 기자  jys@sisajournal.com

출처 시사저널 :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42293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1 국사모™ 2024.10.05 43697 0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62863 1
20380 이번 추석에는 보훈급여금 조기지급 안하나요? 댓글+2 대한민국코리아 10.02 938 0
20379 설 명절 국회의원 떡값 425만원…국민 평균은 78만원 댓글+2 민수짱 10.02 556 0
20378 저소득 보훈대상자 기초생활보장제 개선돼야 민수짱 10.01 435 1
20377 유공자 대출·돌봄 바우처 멈췄다… 서민 금융 타격에 금융권 북새통 민수짱 09.30 618 0
20376 보훈돌 프로젝트에 4억 4천만원...참전유공자 수당 1,000개월분 허비 댓글+1 민수짱 09.29 461 0
20375 [단독] '국가보훈돌'에 혈세 4억원…일부 유공자들 반발 댓글+1 민수짱 09.28 686 1
20374 홀로 추석 보내는 보훈대상자 3 천여 명 ...정작 고독사 통계 없는 보훈부의 반쪽짜리 행정 민수짱 09.26 512 1
20373 혹시 우리가 사는 지역의 '보훈 예우', 조금씩 달라지고 있는 걸 느끼시나요? (서울 동작구 … 댓글+3 식스센스99 09.26 1067 0
20372 광주·전남 고독사 위험군 보훈대상자 243명…4명 중 1명 고위험 민수짱 09.26 268 0
20371 보훈부, 내년부터 유공자 등록심사 기간 15일 이상 단축 민수짱 09.26 444 0
20370 강화군, 인천시 최초 국가유공자 주차요금 전면 무료 시행 민수짱 09.24 653 1
20369 국방부, 복무 중 사망에도 '미순직' 처리된 3만 8천명 재조사 검토 민수짱 09.23 402 0
20368 상이군경회 서울시지부님들, 서울시 보훈예우수당 연령제한 폐지좀 해주시죠. 댓글+9 짱또라이 09.23 1284 1
20367 2026예산안 편성에서 공무직 처우개선이 어디까지일까요? 댓글+1 coreadj 09.23 685 0
20366 ‘취약계층 우선 배정’ 스포츠토토, ‘2025년 하반기 신규판매인 모집’ 온라인 접수 시행 민수짱 09.22 613 0
20365 부모 사망·실종에도 신고없이 46년간 보훈급여 부정 수급 민수짱 09.18 774 0
20364 박원종 도의원 "전남도 참전·보훈 명예수당 하위권…인상해야" 민수짱 09.18 549 0
20363 국정감사에 바란다: 군 이명 단독 유공자 등록, 더 이상 미룰 수 없습니다 싱그러운나무 09.17 550 2
20362 국가유공자 고령 나이가? 댓글+6 정직 09.13 2511 1
20361 이석규 애국지사 100번째 생일…보훈부 장관 큰절 올리며 축하 댓글+1 민수짱 09.10 747 1
20360 김길래 고엽제전우회장 "후유의증 질병수당, 유족 승계 가능해야" 민수짱 09.10 523 1
Category

0505-379-8669
010-2554-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