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국민소통(모두의 광장) 플랫폼에 접수한 정책제안

대통령의 국민소통(모두의 광장) 플랫폼에 접수한 정책제안

자유게시판

대통령의 국민소통(모두의 광장) 플랫폼에 접수한 정책제안

중환 1 935 07.04 10:43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제목: 고엽제피해 역학조사 실시 및 고엽제법 개정 제안
1.제안 이유:
 월남전 참전국인 미국은 고엽제피해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에이전트오렌지(Agent Orange) 노출로 인한 고엽제후유증 질병에 ‘고혈압’을 추가 지정하는 패트(Pact Act) 법이 2022년8월10일 발효 돼 월남전 참전 재향군인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고혈압’이 고엽제와의 상관성이 밝혀진 질병이 아니라는 이유로 고엽제후유의증으로 지정하여 소액의 장애 수당만 지급할 뿐 국가유공자법에 의한 보상금은 지급하지 않는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미국이 지정한 고엽제후유증 질병을 모두 반영하면서 유독 ‘고혈압’ 질병만 제외함으로써 월남참전유공자들로부터 국가보훈부가 현대 의학을 숨긴다는 의혹 등 고엽제피해 역학조사에 대하여 불신을 받고 있다.

 특히 고혈압을 앓고있는 월남참전유공자는 고엽제후유증 지정에 관하여 매우 예민하다. 그 이유는 고엽제피해로 똑같은 신부전증을 앓고 있음에도 당뇨 합병에 의한 질환과 고혈압 합병에 의한 질환간에 보상금 및 수당 등 보훈 예우가 현격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엽제후유증 질병 지정에 따른 의혹을 해소할 수 있도록 미국처럼 철저한 고엽제피해 역학조사를 통하여 불합리한 현행 제도의 개선이 요구된다.

2.현황
 월남참전유공자가 ‘당뇨병’을 원인으로 신부전증 질환을 앓고 있으면 '고엽제후유증' 대상이 돼 국가유공자법에 따라 상이등급별(1급~7급) 보상금 및 각종 수당이 지급되고, ‘고혈압’을 원인으로 신부전증 질환을 앓고 있으면 '고엽제후유의증'에 해당 돼 고엽제법에 따라 장애등급(고도,중등도 및 경도)에 따른 수당만 지급된다.

 그 대표적 사례를 들면 당뇨병으로 인하여 혈액투석을 받을 때 고엽제후유증으로 결정되고, 국가유공자법에 따라 상이등급 ‘3급’으로 판정된다.
그러나 고혈압으로 인하여 혈액투석을 받으면 고엽제후유의증 환자로 결정되고, 고엽제법에 따라 ‘고도 장애’ 등급으로 판정된다.

 이와 같이 똑같은 신부전증 질환임에도 당뇨병 환자에게 지급되는 보상금(월290만원) 및 수당(전상수당 월9만원, 고령수당 월9만7천원)은 고혈압 환자가 받는 수당(월123만4천원)보다 무려 2·5배나 많을 뿐 아니라 환자 사망 후에도 유족에게는 보상금(월176만5천원)과 수당(14만9천원)을 지급하지만 고혈압 환자는 사망 후 유족에게 일체 지급하지 않는다.

3.문제점
 미국은 월남전 참전자를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통하여 ‘고혈압’ 질병을 고엽제 약제(다이옥신)에 의한 고엽제후유증 질병으로 인정하여 보상금을 지급하고 있음에도 다같이 참전했던 우리나라는 고엽제와의 상관성이 밝혀진 질병이 아니라고 부정한다.

 그리고 ‘신부전증’ 질환처럼 동일한 혈액투석 치료를 받는 질병임에도 당뇨병과 고혈압으로 발병원인에 따라 이중적 기준을 적용하는 고엽제후유증 질병은 없을 뿐만 아니라 똑같은 환자에게 지급하는 보상금 및 수당 등의 현격한 차이로 보훈예우에 대한 형평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4.개선 대책
‘고혈압’ 질병에 대한 고엽제피해 역학조사를 철저히 실시하고 미국보훈부와 같이 고엽제후유증 질병으로 인정하여 국가유공자법에 따라 정당한 보상을 실시하여야 한다.

5.기대 효과
 ○고혈압 합병(신부전증) 질환자에 대한 차별적이고 부당한 보훈예우 개선
 ○고혈압 합병으로 중증 난치성 질환을 앓고 있는 월남참전유공자의 삶의 질 향상
 
6.참고사항
 우리나라가 실시한 6차례에 걸친 고엽제피해 역학조사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의 고엽제 피해 역학조사 결과 및 정책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2021년12월 제6차 고엽제피해 역학조사 연구 용역기관(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최종 보고서에서 고엽제에 의한 건강피해의 개념을 과학적 해석에 있어 다이옥신 또는 제초제라는 화학물질 노출에 의한 결과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시대적, 사회적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개념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 바 있다.
현재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제7차 고엽제피해 역학조사 연구 용역을 실시 중이다.


Comments

짱또라이 07.08 13:12
항상 미국 뒤꽁무니를 따라가는 고엽제 정책
이러면 안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0 국사모™ 2024.10.05 41359 0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61843 1
20346 건강보험료 배제 신청 많이 하시는 지요? 댓글+11 단가슴 08.18 758 1
20345 이재명 대통령 경축사에 대한 생각 댓글+3 건강지킴은건강할때 08.18 406 1
20344 국가유공자 고독사 위험 심각…정확한 실태 파악·차별화 정책 시급 민수짱 08.15 296 0
20343 이재명 대통령 대선 보훈공약 지키겠죠? 댓글+7 방갑습니다 08.14 1478 2
20342 국가유공자 우선 주차구역에 무단 주차 늘어...과태료 부과하는 조례 없어 지자체는 ‘난감’ 댓글+2 민수짱 08.13 570 2
20341 잊혀진 참전용사들…“일본서도, 한국서도 소외” 민수짱 08.13 194 0
20340 국가유공자 7급 보훈 급여 현실화 및 즉각적 개선 요구 댓글+3 건강지킴은건강할때 08.12 1286 8
20339 “민생지원금도 15만원인데”…참전유공자 예우 놓고 정무위 시끌, 왜? 민수짱 08.08 829 0
20338 [단독] "국방비 'GDP 5%'…보훈예산·민군R&D 등 합산" 민수짱 08.08 741 0
20337 장애인 버스 지원 안내 댓글+3 영진 08.06 862 0
20336 [JTBC 단독] 김 일병 사망 당시…현장 지휘관은 차에 남아 '게임' 민수짱 08.05 365 0
20335 국가유공자의 치료권 실효성과 병원 선택권 확대를 위한 국민청원서 (작성자 : 윤예자 제안… 댓글+1 젓은낙옆 08.03 644 3
20334 권오을 “민주유공자법 제정 서둘러야…예산 1%는 보훈예산으로” 댓글+2 민수짱 08.01 1063 1
20333 서울 지자체 중 9곳만 참전유공자 배우자에 지원금 민수짱 07.30 378 0
20332 '선임병 가혹행위·익사' 의무복무자, 26년 만에 보훈보상대상자 인정 댓글+3 민수짱 07.30 365 0
20331 보훈대상자에게 가장 절실한 의료급여수급혜택에 대해?(작성자: 권영복 제안일자 : 2025.0… 댓글+5 젓은낙옆 07.29 962 3
20330 7급 수당 현실화 요구 댓글+8 초근화 07.28 1961 6
20329 국가유공자 건강보험료 제도, ‘배제’가 아닌 ‘면제 또는 미부과’로 개정해주세요. 댓글+12 국군대구병원 07.28 1315 5
20328 고엽제 피해자 관련 7월 22일 한겨례21 기사 내용 2세3세 자녀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댓글+1 지우지우 07.24 390 0
20327 대통령의 국민소통 광장에 접수한 고엽제법 개정 제안 답변서(본 게시판 20314 번 글 관련… 중환 07.17 606 0
20326 "한마디로 죽이 됐다"…제주 호국원 묫자리 파보니 '진흙탕' 민수짱 07.15 557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