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 군 복무하고 '목 디스크'...보훈부는 "지원 못 해" 항소

14년 군 복무하고 '목 디스크'...보훈부는 "지원 못 해" 항소

자유게시판

14년 군 복무하고 '목 디스크'...보훈부는 "지원 못 해" 항소

민수짱 3 3,477 2024.10.13 11:33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14년 군 복무하고 '목 디스크'...보훈부는 "지원 못 해" 항소
2024.10.12. 오후 3:07

[앵커]
열악한 환경에서 10년 넘게 차량 정비를 하다 목 디스크에 걸려 제대한 군인이 보훈 보상자로 인정되지 못하자, 소송을 냈습니다.

1심 법원에선 직무와 인과관계가 있어 지원이 필요하다고 봤는데, 국가보훈부는 대상이 아니라며 항소했습니다.

권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2006년 육군 부사관이 된 뒤 수송 업무 등을 맡아온 A 씨.

군용차를 모는 것뿐만 아니라 차량 정비도 직접 해왔습니다.

부대에 있는 차량은 평균 연식 20년이 넘어, 매일 두세 대씩 정비가 필요했는데,

차를 들어 올려주는 리프트가 없어 직접 차량 아래로 들어가 목을 들고 정비해야만 했습니다.

이런 작업 끝에, A 씨에게 돌아온 건 목 디스크.

결국, 14년의 군 생활을 의가사 제대로 마쳤습니다.

[A 씨 / 육군 중사 전역 : 저는 일단 군대에서 공상처리를 받았거든요. 디스크가 빠져 파열돼서 빠졌다고 하죠. 팔에 그 연필을 못 잡았어요. 팔 저림 때문에.]

이후 A 씨는 보훈 보상 대상자 등록신청을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A 씨가 맡은 일이 목 디스크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는 겁니다.

행정심판도 기각되자 A 씨는 결국, 소송에 나섰고, 1심 법원은 A 씨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재판부는 군 복무 환경과 진단 내용을 바탕으로, A 씨가 목등뼈 부위의 과도한 구부림이나 젖히는 자세를 오랜 기간 지속할 수밖에 없었다고 봤습니다.

또 업무로 상해가 발생하거나 악화하는 데 영향을 줬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노필립 / 변호사 : 공무상 상해를 입은 군인은 보통 정도에 따라서 보훈 보상 대상 처분이 나오는데요. (국가보훈부가) 이러한 부분에 대한 심사를 좀 까다롭게 보는 편이고. 퇴행성 목 디스크의 발병은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는 감정 의견을 (받았고)….]

보훈 보상 대상자로 지정될 경우, 정부로부터 진료비 등 의료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국가보훈부가 항소하면서 A 씨는 3년 가까이 진행해 온 소송을 다시 이어가게 됐습니다.

YTN 권준수입니다.

촬영기자; 홍성노 최성훈
디자인; 전휘린

YTN 권준수 (kjs819@ytn.co.kr)

출처 YTN : https://www.ytn.co.kr/_ln/0103_202410121507459102


Comments

영진 2024.11.06 16:14
국가보훈부 1심 원고 승소후 대법원 승소하여야 합니다.
본인은 1심 승소, 2심 기각, 2심으로 끝났습니다.
법률구조공단 변호사 도움으로 승소하였습니다.
국가유공등록 20년차 입니다.
미소남 01.22 20:26
이게 2012년 당시 정부에서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축소하도록 개정해서 일어나고 있는 행태입니다.
미소남 01.22 20:27
2012년 이전엔 국가상이유공자, 즉 흔히 얘기하는 상이군경이라는 전상군경과 공상군경을 비롯해 전사 및 순직군경, 순직공무원, 공상공무원 정도의 요건 기준만 있었습니다.
이는 과거 한국전쟁을 비롯한 근래의 각종 전장 등에서 전사, 부상 등으로 장해를 입은 대상자, 헌법에 명시된 국방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일정 나이가 되면 징집, 입대하여 일정기간동안 부대에서 숙식생활과 더불어 훈련, 교육 등의 복무를 하며 뜻하지 않게 외상이나 병증으로 영구적 장해를 입은 대상자에 대해 국가에서 예우를 해주는 것입니다.
그런데 MB정부 때인 2012년 이후부터 지원공상군경, 재해부상군경 등 요건을 추가해 출퇴근이 아닌 부대 숙식생활을 하는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과시간 후 부상을 입었다거나, 선임 등의 타의로 체육활동을 하다가 영구 장해를 입었을 때 등을 비롯해 군 복무 중 장해를 입은 대상자들을 차별하고, 지원과 혜택을 줄이는 꼼수 수단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차등하고 있는 현재의 큰 덩어리를 2012년 이전으로 되돌리도록 헌법 소원을 제기하는 것이 맞다는 생각입니다.

대한민국 청년으로 똑같이 헌법 수호를 위해 국방의 의무를 이행하려고 현역 입대하여 일정기간을 복무하다가 장해를 입은 건 같은데, 누군 공상군경, 누군 재해부상군경, 지원공상군경으로 분류되는 건 엄연한 차별이라고 보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1 국사모™ 2024.10.05 42457 0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62469 1
20365 국가유공자 고령 나이가? 댓글+1 정직 09.13 478 1
20364 이석규 애국지사 100번째 생일…보훈부 장관 큰절 올리며 축하 댓글+1 민수짱 09.10 393 1
20363 김길래 고엽제전우회장 "후유의증 질병수당, 유족 승계 가능해야" 민수짱 09.10 274 0
20362 있으나 마나한 긴급자금지원제도 댓글+4 은은아빠 09.08 822 2
20361 김진태 지사, 보훈부에 참전명예수당 배우자 승계 건의… 보훈부 장관 "적극 공감" 민수짱 09.07 572 0
20360 참전유공수당 45만원, 본인 사망 후 배우자에겐 한 푼도 안줘서야… 댓글+1 민수짱 09.04 670 1
20359 권오을 장관 “메달 따면 연금에 보훈 혜택 검토…올림픽 수상도 보훈대상 될 수도” 댓글+18 민수짱 09.04 1564 0
20358 혼외자 인지하자 5년 치 보훈급여금 환수.. 국가유공자법 취지와 맞지 않아 ‘취소하라' 민수짱 09.04 439 0
20357 대통령이 직접 예산 토론? 28년만에 처음 봐...낭비성 예산 5조원 살렸다 댓글+2 민수짱 09.04 842 1
20356 국방부조사본부·보훈심사위, ‘복무 중 사망 군인 예우’ 업무협약 민수짱 09.04 301 0
20355 상이 7급 구법 국가유공자분들께 건의합니다. 댓글+1 국민이국가이다 09.03 1070 2
20354 [독자제보 ➁] 6·25 참전 고통은 사실인데... “국가유공자는 아니다” 민수짱 09.02 323 0
20353 보훈부, 고령·독거 국가유공자 안부 '현관 문열림'으로 확인한다 댓글+1 민수짱 08.30 770 1
20352 재해공상군경 부양가족 수당 댓글+27 용된미꾸라지 08.29 2336 1
20351 [李정부 첫 예산] 국방비 5조원 늘린 66조원…초급간부·첨단무기에 집중, 보훈예산은? 민수짱 08.29 644 1
20350 보훈장관, 독립기념관장에 경고 서한‥"독립운동 폄훼 중단해야" 댓글+1 민수짱 08.28 397 1
20349 이번주에 2026년도 정부 예산안이 나올텐데~~ 궁금하네요. 댓글+1 기갑전설 08.25 1540 2
20348 [단독] 독립유공자 후손 5대까지 보훈 급여금 승계 추진 댓글+4 민수짱 08.21 1414 1
20347 보훈부, 감사원에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감사 적극 검토" 요청 민수짱 08.21 411 3
20346 건강보험료 배제 신청 많이 하시는 지요? 댓글+22 단가슴 08.18 2231 2
20345 이재명 대통령 경축사에 대한 생각 댓글+3 건강지킴은건강할때 08.18 738 1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