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유공자 보훈활동 '무용담' 끝날 판

한국전쟁 유공자 보훈활동 '무용담' 끝날 판

자유게시판

한국전쟁 유공자 보훈활동 '무용담' 끝날 판

민수짱 0 2,114 2023.06.22 20:50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한국전쟁 유공자 보훈활동 '무용담' 끝날 판
맥 끊기는 6·25 참전의 명예
입력 2023-06-22 20:01

김산기자

70년 전 나라를 수호한 참전용사들의 명예를 이어 온 6·25 참전유공자회가 '자연소멸'할 위기에 처했다.

평균연령이 90세가 넘으며 해마다 생존자가 급감하는 추세지만, 후손에게 회원 자격이 이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유공자회가 진행해 온 보훈 활동이 수년 내로 끊길 전망이다.

유공자회원 자격 당사자로 한정
代 잇지 못하고 '자연소멸' 위기

22일 오전 만난 6·25 참전유공자 후손 곽모(59)씨는 급격히 악화하는 아버지의 건강을 걱정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그는 "아버님 연세가 아흔에 접어들다 보니 허리나 관절이 안 좋으셨던 게 해마다 심각해져 이제는 지팡이나 보조기구 없이는 거동도 힘드신 상황"이라며 "매달 참전유공자회 동료분들이 돌아가신다는 얘기도 자주 듣고 있다"고 말했다.

막내아들로서 '무용담'같은 아버지의 참전 일화를 들어 오며 나름의 명예와 자부심을 느껴왔지만, 정작 사회에서 이를 느낄 계기는 크게 없었을뿐더러 이제는 굳이 기대하지도 않는다고 한다.

그는 "집안에서 친척들끼리 얘기를 나누는 경우는 있어도, 사회생활에서 이를 체감했던 계기는 사는 동안 크게 없었다. 이제는 전쟁을 안 겪어본 입장을 오히려 이해하고 무덤덤한 편"이라고 전했다.

곽씨처럼 6·25 참전용사 가정은 보훈대상 유공 당사자 가운데 가장 고령인 편에 속해 건강 문제로 시름을 앓는 형편이다. 실제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년 대비 감소한 6·25 참전유공자 수는 지난 2021년 1만1천414명에서 지난해 1만2천11명으로 줄었다. 특히 올해 5월까지 4천614명이나 줄어 감소세가 뚜렷한 추세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예우는 자연 소멸할 위기에 처한 상황이다. 관련법상 6·25 참전유공자회원 자격이 유공자 당사자로 한정되고 자녀를 비롯한 후손에게 이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5월까지 4614명 줄어 감소 뚜렷
개정안 발의했지만 수년째 계류

반면 독립유공자 보훈단체인 광복회는 후손까지 회원 자격을 확대해 보훈 활동을 잇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참전용사들은 얼마 안 남은 생애 동안 회원 자격을 확대해달라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6·25 참전유공자회 경기도지부 관계자는 "유공자회 차원에서 진행해 온 보훈 활동들이 끊길 뿐만 아니라, 국가 수호에 이바지한 당사자로서의 명예를 이어가는 건 국가를 위해서도 꼭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회에서 여야 각각 2020년과 2021년 참전유공자 예우 및 단체 설립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정무위원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계류 중이다.

/김산기자 mountain@kyeongin.com

출처 경인일보 :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30622010004129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19 국사모™ 2024.10.05 38759 0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59906 1
20245 나이 들고 몸이 불편해도 국가를 위해 이 한 몸 기꺼이 바치리 댓글+2 민수짱 05.12 189 0
20244 강화군, 국가유공자 위한 전국 최대 규모 우선 주차구역 조성 민수짱 05.12 205 1
20243 이재명 보훈공약 없나요? 댓글+8 최선수 05.11 480 0
20242 보훈부 "국가유공자 대학수업료 면제 소득기준 완화" 민수짱 05.09 415 1
20241 양평군, 5월부터 참전명예수당·6·25전몰군경 유자녀 복지수당 인상 민수짱 05.08 256 0
20240 공수훈련받고 전역 후 연골파열 진단…"보훈보상 대상 아냐" 민수짱 05.05 293 0
20239 충북 진천군, 보훈대상자 상하수도 요금 감면 댓글+1 민수짱 04.28 491 1
20238 제주의 국가유공자들이 홀대받는 안타까운 현실 댓글+1 민수짱 04.26 458 1
20237 제1연평해전 훈장... 사병은 한명도 못받았다 민수짱 04.26 229 0
20236 괴산군, 도내 최초 '보훈생활보조수당' 도입 댓글+1 민수짱 04.26 428 2
20235 국가유공자가 커피 내리는 곳...독립기념관 문 연 특별한 카페 민수짱 04.22 428 0
20234 [기고] 참전유공자 명예수당, 국가가 책임져야- 박남용 경남도의원 민수짱 04.21 297 0
20233 '상이처'보다 더 아픈 '비해당' 댓글+5 피터김 04.21 609 0
20232 군복무 중 손목 절단됐지만…“국가유공자 인정해달라” 소송 패소 민수짱 04.20 386 0
20231 최영호 경남도의원, 보훈수당 불이익 개선 건의안 상임위 통과 민수짱 04.17 500 0
20230 노령수당 댓글+4 유격전문 04.16 904 1
20229 국가유공자 보상금 지급… 헌재 "장자 우선은 차별" 민수짱 04.12 602 0
20228 장애인은 되고 국가유공자는 안되는... 댓글+7 장민석 04.11 1384 0
20227 헌재 “‘국가유공자 보상금 지급 연장자 우선’ 조항은 위헌” 민수짱 04.10 593 0
20226 이천시, 보훈 예우 강화를 위한 보훈명예수당 보훈보상대상자로 대상자 확대 민수짱 04.10 531 0
20225 안동 대형산불로 숨진 월남전 참전유공자 부부의 마지막 길 댓글+4 민수짱 04.08 510 1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