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공자등록 나라위해 몸바친 대가는 빈곤

국가유공자등록 나라위해 몸바친 대가는 빈곤

자유게시판

국가유공자등록 나라위해 몸바친 대가는 빈곤

신규섭 1 877 2016.02.09 18:36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name hyla (Hit : 2995)


subject
국가유공자, 나라 위해 몸바친 대가는 '빈곤'

2012년 유공자법 개정후 인정비율 급감
월 총소득 100만원 미만 38.5% 달해
하위 등급 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지원에도 못미쳐



[이데일리 최선 유선준 기자] " 6.25 전쟁에 참전해 온몸에 포탄 파편을 맞아 30여년간 투병 생활을 했던 분의 국가유공자 인정 문제를 논의한 적이 있었습니다. 참전 당시 얻은 부상과 수십년을 싸웠지만 심사 시점엔 완치 판정을 받는 바람에 국가유공자로 선정되지 못했습니다. 지금 생각해도 안타까운 일입니다."

군 복무 20여년간 보훈민원 장교로 근무한 예비역 소령 A씨. 그는 국가유공자 인정이 결코 쉽지 않다고 했다. 6.25 전쟁 당시 작성된 병원진료 기록은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이 전체의 20% 수준이다. 기록물보관소가 화재로 전소해 아예 진료기록을 확보할 방법이 없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일제 치하에서 독립운동을 벌였던 독립운동가들과 6.25 전쟁 등에서 총을 들고 나라를 지키기 위해 싸웠던 이들이 세상을 떠나면서 보훈대상자(국가유공자·보훈보상대상자 포함)가 매년 1만여명씩 줄고 있다. 남아 있는 국가유공자들은 나라를 위해 희생하면서 얻은 장애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국가 지원은 열악하기만 하다. (사진=연합뉴스

◇ 국가유공자법 개정 후 인정 비율 급감


'나라를 위해 몸 바쳤다'는 인정을 받으면 매월 일정액의 지원금과 의료·교육·주거비 등 다양한 지원을 받는다. 2012년 7월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개정된 이후 국가유공자 인정이 까다로워지고 지원 규모도 예전에 비해 축소됐다는 게 관계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국가유공자 인정 소송을 전문으로 하는 법무법인의 관계자는 "관련법 개정 이후 국가유공자 인정 체감비율이 기존의 20~30% 정도까지 줄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디스크 수술을 받았거나 손가락·발가락의 일부를 잃은 사람들은 국가유공자가 아닌 7등급 보훈보상 대상자로 분류되는 경우가 크게 늘었다"며 "7등급 보훈대상자로 지정되면 매달 25만원의 보조금이 지원의 전부여서 일할 능력이 없는 분들은 생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국가유공자는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다가 다치거나 숨진 사람에게만 자격이 주어진다. 공무를 수행하거나 교육 훈련을 받다가 부상을 입거나 목숨을 잃으면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보훈보상 대상자로 판정된다. 이처럼 국가에 대한 헌신을 인정받았다고 하더라도 재판정 신체검사에 따라 등급이 낮아지거나 자격이 박탈될 수도 있다. 국가유공자로 인정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재판정 신체검사를 받아 등급을 인정받지 못하면 자격이 박탈된다. 보훈보상 대상 상이 6등급을 받던 사람이 7등급을 받게 되면 유족 보상금이 제외되는 식이다.

◇ 나라 위해 몸 바친 대가는 '빈곤'


문제는 국가유공자로 인정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이들의 삶이 크게 나아지진 않는다는 점이다. 2012년 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저소득 국가유공자 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 자료가 집계된 35만명의 국가유공자 중 월평균 총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38.5%에 달했다.

같은 시기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월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가 17.7%였던 것에 비해 두 배 이상 많은 수치다. 월평균 총생활비로 50만~100만원 사이를 지출하는 국가유공자 가구는 33.6%로 일반가구(23.5%)보다 10.1%포인트 높았다. 반면 400만원을 초과하는 국가유공자 가구는 10.3%로 일반 가구(29.5%)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장애나 투병 등으로 정상적인 일자리를 구하기 힘든 때문이다.

그러나 국민 정서는 아직까지 이들에 대한 지원에 인색하기만 하다. 보건사회연구원이 국가유공자들에 대한 금전적 지원수준을 설문조사 대상자들에게 미리 알리고 지원 수준이 충분한 지에 대해 질문한 결과 47.8%가 '보통 수준'이라고 답했다. '부족하다'는 응답은 30%에 그쳤다.

◇ 국가유공자·보훈보상 대상자 구분 없애야


인정 등급이 낮은 국가유공자들에 대한 지원 규모는 기초생활수급자 지원 수준에도 못 미친다. 올해 기초생활수급자의 월 최저생계비와 주거비는 71만935원이지만 국가유공자 중 '6등급 3항' 상이자의 월 보상액은 71만3000원, 7등급 상이 유공자는 36만2000원을 받는다. 특히 유공자를 인정받지 못해 보훈보상 대상자로 분류가 된 이들은 이 금액의 70% 수준만 받는다.

전공상이 7등급 국가유공자인 김모(73)씨는 "동사무소에 가면 기초생활수급자들한테는 돈도 주고 쌀도 주는데 유공자 6,7급보다도 대우가 좋다"며 "국가유공자 대신 차라리 기초생활수급자 신청을 하는 게 나을 판"이라고 하소연했다.

국가유공자 단체나 관계자들은 국가유공자에 대한 대우가 대폭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나라를 위해 동일한 희생을 치렀는데도 국가유공자와 보훈대상자로 나눠 차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진진화 국가유공자행정심판사무소 대표는 "국가유공자와 보훈보상 대상자간 서로 받는 연금액과 복지 서비스 질 차이가 크다"며 "보훈보상 대상자도 나라를 위해 헌신한 사람인데 혜택 차이를 크게 둘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정중섭 4·19혁명희생자유족회 회장은 "공로의 경중에 따라 국가유공자의 등급을 나누는 것이 당연시 여겨지는 현실에서 누가 나라를 위해 희생하려 하겠냐"며 "국가 차원에서 국가유공자를 등급에 따라 나누는 잘못된 상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선 (bestgiza@edaily.co.kr)



106.9





Comments

나야 2016.02.09 21:44
장애인만도 못한 대우받는 지원공상군경. 보훈보상대상자.
씁쓸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4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상이군경 참전유공자 유족 국사모™ 2023.12.21 18201 2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56577 1
20100 엄태영 "순직 군경 유족 국가배상 청구 가능토록"…법률안 발의 민수짱 06.28 72 0
20099 9월부터 65세 미만 상이 3~7급 보훈대상자도 장애인지원서비스 가능 민수짱 06.27 313 0
20098 6·25전쟁, 월남전 참전유공자 참전수당 거주지 따라 7배 차이 민수짱 06.26 258 0
20097 찾는 이 없는 ‘100억원짜리’ 세종국가보훈광장 민수짱 06.26 227 0
20096 어느 소녀의 ‘훈장’…6·25 참전 간호장교 이야기 [보훈기획]② 민수짱 06.26 106 0
20095 “할아버지가 구한 나라, 손녀를 구하다”…해외참전용사 손녀 수술 지원 [보훈기획]① 민수짱 06.26 86 0
20094 호국도 보훈도 없던 6월 민수짱 06.26 303 0
20093 [사설]‘전쟁 미망인’ 복지수당 현실화하는 것이 보훈 민수짱 06.26 111 0
20092 '성전환 후 강제전역' 故 변희수 하사 대전현충원 안장식 거행 댓글+1 2번꼬마 06.24 265 0
20091 세종시, 보훈수당 미지급…“상대적 박탈감” 민수짱 06.24 394 0
20090 차순위 자녀까지 대상 넓혔지만 예산은 그대로…'콩한쪽 다툼' 빈번 민수짱 06.24 270 0
20089 조만간 차량 할 구입할 예정입니다... 댓글+2 개토 06.24 379 0
20088 독립·국가유공자, 생계 지원 받기 위해 보훈 급여 포기, 4년 새 45배 급증 댓글+5 민수짱 06.21 728 1
20087 "국가유공자 덕분에" 경남도, 주택 개선·금융 우대 혜택 제공 민수짱 06.21 340 0
20086 긴급!!!!!!!회원님들께! 댓글+4 이명진 06.21 730 0
20085 일 안 해도 月 1300만원 통장에 따박따박…뒷목 잡게하는 '이곳' [이슈+] 댓글+1 민수짱 06.16 1055 1
20084 임성근 전 사단장 ‘탄원서’, “군인이란 군말 없이 죽어주도록 훈련되는 존재” 민수짱 06.13 535 0
20083 [기획] 국가보훈부, 고령화 대응 위한 보훈의료 서비스 개선 방안 모색해야 민수짱 06.12 695 0
20082 “보훈병원에 한의진료 확대 필요”…고령 유공자에 도움 댓글+2 민수짱 06.12 610 0
20081 국가유공자도 모르는 '무늬만 우선주차구역' 정후 06.12 679 0
20080 [차관칼럼] 참전유공자 배우자가 놓친 수당 찾기 민수짱 06.10 474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