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보훈대상자 ‘한국 3분의 1’인데 예산은 49% 많아

호주, 보훈대상자 ‘한국 3분의 1’인데 예산은 49% 많아

자유게시판

호주, 보훈대상자 ‘한국 3분의 1’인데 예산은 49% 많아

민수짱 0 1,246 2022.10.21 12:42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호주, 보훈대상자 ‘한국 3분의 1’인데 예산은 49% 많아

■ 선진보훈이 국가경쟁력 토대다 - 해외 사례

호주 예산 8.7조원… 한국은 5.8조
캐나다 ‘복지·재활로서의 보훈’ 중점

6·25전쟁 참전국 중 미국에 걸맞을 정도로 가장 선진적인 보훈제도를 갖추고 보훈 문화 확산에 공을 들이는 나라가 호주와 캐나다다.

호주의 경우 보훈 대상자가 27만여 명(2021년 기준)으로 한국(83만9118명·2022년)의 약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지만 보훈 예산이 8조7598억 원으로 한국(5조8752억 원)보다 49%가 많다. 정부 예산 대비 보훈 예산 비율도 호주(1.4%)가 한국(1%)보다 높으며, 보훈 관련 공무원 수는 호주가 2000여 명으로 한국(1427명)의 약 1.5배로 많다.

◇1917년 제대군인부 창설한 호주=호주는 1차 세계대전 때인 1914년 전쟁연금법(War Pension Act)을 제정해 참전 군인과 사망한 병사의 부양가족에게 연금과 보훈 혜택을 부여했다. 또 1917년 연방정부 부처 중 하나로 제대군인부를 설립했다. 호주 보훈정책은 주변국과의 전쟁보다는 해외 파병이 더 많았을 정도로, 영국 연방 일원으로 세계 분쟁 지역에서 유엔평화유지군으로 자주 참전하는 것과 연계된다.

호주 보훈문화의 본질은 영국과 프랑스처럼 ‘기억’에 있다. 각종 기념행사를 국립묘지보다는 전쟁기념관이나 기념물 앞에서 거행한다. 전쟁묘지는 주당 1개소로 전국 65개소가 있고 제대군인부가 관리한다.

◇1944년 제대군인부 설립한 캐나다=캐나다는 군인 약 62만 명이 참전한 1차 대전 때 참전군인을 위한 의료 서비스와 직업훈련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현대적 의미의 보훈제도를 만들었다. 1930년 제대군인국을 창설함으로써 보훈 업무가 독자적인 정부 기구에 의해 종합적·체계적으로 자리 잡게 된다. 캐나다군 100만 명 이상이 징집된 1·2차 대전 제대군인에 대한 보상 방안을 검토하다가 보훈제도를 총괄할 수 있는 제대군인부를 1944년 창설했다. 제대군인들이 군에서 나와 시민 생활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제대군인헌장은 1951년부터 시행했다. 캐나다 정부는 2006년 ‘제대군인 신헌장(New Veterans Charter)’인 ‘캐나다 현역 및 제대군인 사회복귀 및 보상법안’을 발표함으로써 보훈의 개념을 보상이 아닌 복지와 재활로 전환시켰다.

정충신 선임기자 csjung@munhwa.com

출처 문화일보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2102001032730114001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379 김원웅 전 광복회장 비리에 국회 고위층 개입 민수짱 2022.08.29 1195 0
378 [특별기고] 국격에 걸맞은 보훈 민수짱 2022.08.29 1845 0
377 “이 월급으론 못 살아” vs. “공무원 시험 줄섰다”… 공무원 임금 7% 인상 요구 논란 민수짱 2022.09.01 1862 0
376 9월분 보훈급여금 조기지급 안내 (출처: 국가보훈처) 미소남 2022.09.03 1472 0
375 [최광숙 칼럼] 한 월남전 참전 노병의 분노/대기자 댓글+1 민수짱 2022.09.13 1192 0
374 5월29일 '해외 파병용사의 날'로 지정…내년부터 정부주관 행사 민수짱 2022.09.12 1227 0
373 국가유공자 건강보험료 배제신청 하게되면 보훈병원 진료시 불이익이 없는지요 댓글+10 어사 2022.09.15 5963 0
372 공공요금감면 신청 댓글+10 정후 2022.09.16 3047 0
371 건강보험 탈퇴하고 배우자 건강보험이나 의료실비로 될까요 ~^^ 댓글+1 서태지 2022.09.16 1517 0
370 국가유공자 대부지원 영진 2022.09.22 1834 0
369 보훈처 위탁병원 공유합니다 댓글+1 방타이 2022.09.24 1429 0
368 [조선일보 기고] 보훈은 강력한 국방의 버팀목이다 민수짱 2022.09.26 1247 0
367 선배님들 치과 치료 위탁병원이나 보훈병원에서 해보신분 계신가요 ?? 댓글+8 이노 2022.09.28 2743 0
366 상이등급 판정 결과. 댓글+4 최고사무기 2022.09.28 2241 0
365 하늘로 떠난 비운의 여성 빨치산 댓글+5 민수짱 2022.10.04 1419 0
364 '폭행 사망' 尹일병…대법도 "국가배상 책임 없다" 민수짱 2022.10.04 1245 0
363 안녕하세요! 취업 관련 민원은 어디에 넣으면 좋을까요? 댓글+13 버들치 2022.10.05 1589 0
362 [단독] '57억 횡령' 이만희, 여전히 유공자...보훈 수당 2천5백 수령 민수짱 2022.10.06 1168 0
361 ‘보훈부’ 탄생 눈앞… 10대 경제대국 걸맞은 ‘선진보훈’ 체계 확립 댓글+3 민수짱 2022.10.07 1157 0
360 보훈부의 승격과 유공자 예우와 처우의 개선 신법을개정하자 2022.10.08 1603 0
359 직업군인 상이연금의 한시적 청구시효 연장에 따른 청구 안내 (~11.27) 댓글+2 영민임다™ 2022.10.08 1182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