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국사모 '자문 법무법인' 서상수 대표 변호사 '의료분쟁조정위원장' 선임

[공지] 국사모 '자문 법무법인' 서상수 대표 변호사 '의료분쟁조정위원장' 선임

자유게시판

[공지] 국사모 '자문 법무법인' 서상수 대표 변호사 '의료분쟁조정위원장' 선임

영민임다™ 0 1,777 2019.09.10 07:03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존경하는 회원여러분.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의 자문 변호사인 '법무법인 서로'의 서상수 대표 변호사님이 '의료분쟁조정위원장'으로 선임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
“갈등·충돌 현장 찾아 맡은 역할 최선”
서상수 의료분쟁조정위원장
기사입력2019.09.08. 오후 6:21

201909081820_14130924096788_1_20190908182105096.jpg?type=w430

“의료분쟁조정중재기관은 객관적이고 공정해야 합니다. 기관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기여하고 싶습니다”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서상수 의료분쟁조정위원장(법무법인 서로 변호사·사진)은 “공정한 기관으로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며 이 같은 포부를 밝혔다.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이하 의료중재원)은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2012년 설립된 기관이다.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갈등을 조정 및 중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아직 해결해야할 과제가 적지 않다. ‘2018년도 의료분쟁 조정·중재 통계연보’에 따르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의료사고 분쟁 조정이 신청된 1만838건 중 실제 조정이 개시된 사건은 5622건으로 절반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의료인과 환자 사이에 의견이 일치되지 않아 취하 또는 각하됐다.

서 위원장은 의료전문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다수의 의료분쟁 사건을 맡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문제는 되도록 중재기관에서 끝나야 한다. 소송으로 갈 경우 비용과 시간이 너무 많이 든다”는 견해를 밝혔다. 의료사고는 중재로 가는 것이 해결방안으로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다.

의료사고가 의심될 때 환자들도 당황하기 마련인데 서 위원장은 침착하게 자료부터 확보하고, 의료과실 여부를 따져보라고 조언한다. 그는 “많은 환자들이 결과를 보고 ‘의료사고’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의사가 알 수 있었는데 몰랐거나, 피할 수 있었지만 못 피한 것만 의료과실이 된다. 여기에 의료진의 설명의무가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며 “의료사고가 의심된다면 가장 먼저 진료기록을 확보하고, 관련 분야 의사나 변호사 등 전문가와 상담해서 적절한 절차와 방법을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 위원장은 기본적으로 환자와 의료인 모두 동의해야 조정절차가 개시될 수 있는 만큼 의료중재원 자체의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지목했다. 그는 “의료분쟁은 소송으로는 답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너무나 많다. 상당수 의료사고가 별다른 조치 없이 묻히는 것도 이런 이유가 크다”며 “의료중재원은 환자나 의료인, 누구의 편이 되어서도 안 된다. 의료분쟁해결에 있어 확고한 대표기관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조정과 중재를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료인은 의료분쟁조정제도에 대해 여전히 피해의식이 남아 있고 그 참여를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며 “의료인의 피해의식을 없애고 ‘다른 제도나 소송에 비해 친숙할 수 있고 유익할 수 있는 분쟁해결제도’라는 인식을 갖도록 제도를 보완하고 홍보해 적극적으로 제도를 이용하도록 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또 “의료중재원의 조정중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의료분쟁해결 시스템을 잘 갖추고 있는 의료기관을 선정하는 등 의료분쟁조정중재제도의 이용을 권장하는 우회적이고 간접적인 제도의 도입을 강구할 필요도 있다”고 제안했다.

서 위원장은 “조정준비기일, 지방조정, 야간조정, 간이조정 등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모색할 생각”이라며 “의료분쟁조정위원장의 역할과 기능 범위 내에서 제도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전미옥 쿠키뉴스 기자 romeok@kukinews.com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221 대한 상이군경회 탈퇴합시다.. 댓글+14 서상훈 2008.01.17 1750 0
1220 국가유공자 가족은 웨딩서비스도 할인 받는다 윤경주 2012.04.15 1750 0
1219 국사모 회원님 생활 안정 대부 관련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이대길 2019.08.04 1753 0
1218 제발 국가유공자들에게 실질적 예우를..ㅠㅠ 가서 댓글에 응원이든 의견개진이든!! 희망드림 2023.06.25 1754 0
1217 [보훈클럽 사설] 이명박 대통령의 눈물과 500명 김영민 2010.07.14 1755 0
1216 현재7급입니다 재검신청한지 한달이 넘었네요 부천사람 2022.12.13 1755 0
1215 [보훈클럽기사] 감사원의 보훈처 지적사항(LPG지원제도) 행정처리 문제많다! 댓글+1 김영민 2011.03.01 1758 0
1214 보훈대상자 재심사 댓글+2 동네꽃바보 2021.01.26 1758 0
1213 (필독) 은행권 금융 수수료 감면 안내 !! 댓글+8 윤기섭 2015.04.23 1760 0
1212 [RE] 제29조 2항 2호(6.25전몰자 자녀의 자녀에 관한규정) Veteran 2001.04.20 1761 0
1211 아래 동의합시다 글???? 댓글+1 임명호 2018.11.17 1761 0
1210 서울시에서 마스크를 보내주었습니다. 댓글+1 최고보훈 2020.10.06 1762 0
1209 보훈단체들의 도저히 이해하기 힘든 행태 내손돌리도 2021.05.04 1762 2
1208 국가유공자 교통카드 댓글+6 김수훈 2013.09.02 1764 0
1207 박승춘 전 보훈처장 상이군경(5급)등록 관련기사~~~ 댓글+4 이정민 2019.01.03 1764 0
1206 로또 판매점 우선계약 대상에 보훈보상대상자 추가 댓글+1 최민수 2016.05.04 1765 0
1205 유공자노동조합 설립 생각 해 볼 시간. 댓글+15 루디 2023.08.30 1766 1
1204 [공지] 2016년 9월 보훈보상금은 9월9일에 지급됩니다. 댓글+3 김영민 2016.08.26 1767 0
1203 [re] 월남전 참전했는데.. 유공자가 돼나요? 모임회 2001.07.20 1768 0
1202 국민연금 개정 청원이 빛을 발휘할 겁니다. 댓글+1 이현우 2014.05.09 1769 0
1201 상이등급이 7급 사망시 유족에게 보상금 지급 법률 개정 발의 댓글+5 김광진 2015.05.15 1769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