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공자들도 피해 입어.)홍준표 "NAFTA식 모델은 대미종속형 FTA" - 퍼온글

(유공자들도 피해 입어.)홍준표 "NAFTA식 모델은 대미종속형 FTA" - 퍼온글

토론방

(유공자들도 피해 입어.)홍준표 "NAFTA식 모델은 대미종속형 FTA" - 퍼온글

최민수 0 782 2006.07.14 23:36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국회는 조약 비준하는 '눈뜬 봉사'냐"
홍준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이 "미국과 교역이 가장 많은 독일이나 일본이 FTA를 체결하지 않는 이유를 잘 살펴야 한다"며 "나프타(NAFTA)식 모델은 결국 (대미)종속형 모델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홍 위원장은 "이미 우리나라의 노동유연화가 심각한 상황에서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한미 FTA를 통한 노동조건 악화를 우려하는 것을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한미 FTA를) 제어해야 할 국회의원들이 아는 것이 너무 없다"고 토로했다.

"안 그래도 노동유연성 높아 문제…노동계 우려 이해한다"

홍 위원장은 11일 오전 국회 환노위원장실에서 미국노총산별회의(AFL-CIO)의 제프 보그트 정책국장과 팀 리안 연대센터 아시아담당 임원을 만나 NAFTA 체결 이후 12년 동안 미국, 멕시코에서 공공성이 파괴되고 노동조건이 악화된 사례를 전해들은 뒤 "우리 법제도의 변화를 강제하는, 주권을 침해하는 FTA 비준안이 올라오면 결코 국회에서 통과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프 보그트 정책국장은 이에 덧붙여 "멕시코의 경우 나프타 체결 이후 미국의 요구로 공공토지수용에 대한 헌법조항을 바꾼 바 있다"고 설명했다. 배석한 민주노총 허영구 수석부위원장도 "FTA체결도 하기 전에 이미 대통령령을 바꿔서 스크린쿼터, 자동차 배기량 등 이른바 4대 선결조건을 풀어주지 않았냐"며 "FTA가 체결되면 투자자보호조항에 의거해 여성이나 장애인, 국가유공자를 우대하는 국내법조문들이 제소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허 부위원장은 또한 "한미 FTA체결 이후 양국과 양국 기업들이 노동시장 유연화, 경제 활성화를 명분으로 법개정을 요구하면 다 받아들여질 것 같다"고 우려했다.

홍 위원장은 이에 대해 "KTX 여승무원 문제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는 너무 노동유연성이 높아서 문제"라며 "한미 FTA에 대한 노동계의 우려를 충분히 이해한다"고 답했다.

홍 위원장은 이어 "미국과 교역량이 가장 많은 독일과 일본은 이익 볼 것이 없기 때문에 FTA 체결도 안했고 하려는 움직임도 안 보이는 것"이라며 "반면 미국은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하면 득 볼 것이 많다"고 말했다.

美 노동계, 지난 5월 의회 출석해 증언…우리 국회는?

배석한 장대익 한국노총 수석부위원장이 "협상을 철저히 감독하는 미국 의회에 비해 우리 국회는 너무 하는 일이 없다"고 지적하자, 홍 위원장은 "갈등의 최종적 조정공간인 국회가 너무 빨리 뛰어들면 마지막에 해결의 길이 없다"면서도 "사실 우리 의원들이 너무 정보가 없다"고 털어놓았다.

홍 위원장은 "조약 체결 시 의원들은 그냥 '눈 뜬 봉사' 식으로 내용도 모르고 비준을 해줘 왔다"면서 "조약과 협약을 국회가 정밀하게 심사할 수 있는 법제도를 갖춰야 한다는 이야기가 10여 년 전부터 나왔는데 지금도 변한 게 없다"고 말했다.

또한 홍 위원장은 "예컨대 론스타 문제 같은 경우는 나라를 팔아먹은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여러분도 관련정보들이 있으면 전달해달라"고 당부했다.

홍 위원장은 "보수적인 의원들은 한미 FTA에 대해 찬성하는 편이지만 졸속추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국회 내에) 많은 편"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홍 위원장을 면담한 제프 보그트 AFL-CIO 정책국장은 "우리는 이미 지난 5월 (미국) 의회 청문회에 출석해 나프타 모델에 동의할 수 없다고 증언한 바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우리 국회에서는 몇 차례의 토론회가 있었을 뿐 해당 상임위원장이 反FTA 성향의 이해당사자를 공식 면담해 의견을 청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프레시안 윤태곤/기자

보훈처는 투자자보호조항에 의한 정부제소권의 위력을 알고 있는가?
한.미FTA가 체결 되면 향후에 일어날 엄청난 사태를 보훈처에서 짐작이나 하고 있을까? 미국의 유공자들은 FTA가 체결되도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초강대국인 미국은 오래된 전사자의 시체 발굴을 위해 냉전상태인 북한에 까지 가서 시체를 발굴하여 자국으로 데려와 안장한다. 그리고 선진국답게 보훈정책과 제도 역시 탄탄하다. 그리고 다른국가들과 FTA를 체결한 경험이 있다.미국은 자국의 유공자들에 대한 안정장치도 마련해 두고 FTA협상장에 나올 것이다. 하지만 대한민국 유공자들의 장래는 보장된 것이 없다. 정말 걱정된다.
이에 대한 노력과 대안이 없다면, 가장 최선의 방법은 한.미FTA가 체결 되지 않는 것이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401 [re] 재검에 대해서 궁금한데요 문판석 2004.04.02 814 0
400 [re] 이문제는 토론하면 할수록 감정적으로 흐르게 되어 있읍니다 댓글+1 김근관 2006.08.02 817 0
399 보훈가족 사교육비 대책에 대해 토론합시다. 댓글+1 강석진 2004.05.21 820 0
398 골프장 국가유공자에게 도움이 어느 정도 될까? 양용수 2003.07.19 822 0
397 국사모 모임을 자주 가졌으면 합니다. 참석하셨으면 합니다. 댓글+2 윤성일 2004.02.06 822 0
396 [re] 대한민국상이군경회 정기총회의 내용이 지켜지고있나요? 댓글+1 국사모 2004.01.26 823 0
395 대한민국을 상대로. 서경희 2002.11.13 825 0
394 [해외파병 "얻은 것"과 "잃은 것"]베트남 참전 경험자 의견 국사모 2003.09.22 827 0
393 일본군 위안부의 실상을 알린다 박경화 2004.09.03 827 0
392 [re] 옳은 생각입니다만.. 전 약간은 다르게 생각합니다. 댓글+1 유상훈 2003.06.25 828 0
391 SBS 세븐데이즈(ㅆㅏ이트주소: http://tv.sbs.co.kr/7days/ ) 댓글+4 김성철 2004.05.26 829 0
390 이번 4월 총선에서 본떼를 보여줍시다. 강명진 2004.02.23 834 0
389 누구를 위하여 고속철도는 달리는가? 댓글+3 이정민 2004.01.28 835 0
388 유승준은 군기피가 아닙니다..입국찬성 댓글+4 조요한 2003.06.01 838 0
387 보훈처에 저의 건의사항 내용 어떠한가요 댓글+3 정환성 2004.06.14 840 0
386 [설문조사결과] 2006.11.6~12.28 국사모가 진정한 국가유공자를 위한 조직으로 거듭나… 국사모 2006.12.28 842 0
385 가산점 관련하여 한말씀 드립니다. 댓글+2 이병석 2004.04.04 843 0
384 [re] 유공자 본인의 취업보호는 진정 되지 않는것인가? 박영기 2005.10.15 846 0
383 [설문조사결과] 2006.07.11 여러분의 가장 큰 관심사는 무엇인가요? 국사모 2006.07.11 846 0
382 4. 보훈처홈에서 퍼온글-보훈단체 정화와 더블어 거듭나는 계기 반드시 되어야 바람직 댓글+1 박재신 2006.10.08 852 0
381 MBC "이제는 말할수 있다."에서 본 월남전... 김경수 2004.03.29 855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