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부상에 따른 상이등급 모순점에 대한 의견-토론합시다

척추 부상에 따른 상이등급 모순점에 대한 의견-토론합시다

토론방

척추 부상에 따른 상이등급 모순점에 대한 의견-토론합시다

김근관 4 1,292 2006.08.14 12:59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국가보훈처 2005. 7. 20(수) 조간 및 석간 보도자료에 의하면 상이군경 등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기준을 개선하여 “등급 판정의 신뢰성 제고 기대”라고 보도하면서 척추부상 등급 기준을 구체화하여 그 동안 일부 불명확한 상이등급 기준으로 인해 민원인들로부터 등급 판정의 신뢰성과 형편성 문제에 개선,보완 하였다고 한다

개정되는 상이등급 기준의 척추부상과 관련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7급 기준을 종전에는 추상적인 용어인 경미한 기능장애로 규정하였으나, 이를 구체화하여「엑스레이 검사 등에서 명백한 기형」이 있거나,「추체높이 10%이상 30%미만의 압박골절」으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로 하였다
개정이유는 “척추부상과 관련된 “경미한”의 상이정도가 너무 추상적이고 모호하여 등급판정에 대한 신검자의 오해소지가 있으므로 이를 명확히 함”


척추부상관련 상이등급기준 조정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척추부상으로 경미한 기형이나 기능장애가 있는 자 : 7급802
․엑스선 사진 촬영 등의 검사에서 명백한 기형(금속물 삽입 등)이 있는 자로서 통증이나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자(경미한 기형)
․엑스선 사진 촬영 등의 검사에서 추체 높이 10퍼센트 이상 30퍼센트 미만의 압박골절이 있고 통증이나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자(경미한 기능장애)

척추부상으로 경도의 기형이나 기능장애가 있는 자 : 6급2항32
․엑스선 사진에 1개 이상의 척추 골절이 인정되거나 경미한 구배 또는 측만변형이 있는 자(경도의 기형)
․엑스선 사진에 압박골절이 추체높이 30퍼센트 이상 50퍼센트 미만의 골절, 안정방출성골절, 챤스씨골절이 인정되는 자(경도의 기능장애)

척추부상으로 중등도의 기형이나 기능장애가 있는 자 : 6급1항117
․엑스선 사진에 척추의 골절 등으로 인하여 15도 이상의 구배 또는 10도 이상의 측만변형이 있는 자(중등도의 기형)
․엑스선 사진에 척추의 골절 등으로 인하여 압박골절이 추체(椎體)높이 50퍼센트 이상인 자(중등도의 기능장애)
․엑스선 사진에 척추의 골절 등으로 인하여 1개의 척추분절에 골유합술을 받은 자로서 후유신경증상이 지속되는 자(중등도의 기능장애)

척추부상으로 고도의 기형이나 기능장애가 있는 자 : 5급 92
․엑스선 사진에 명백한 척추의 골절등으로 인하여 35도 이상의 구배(龜背) 또는 20도 이상의 측만(側灣)변형이 있는 자(고도의 기형)
․엑스선 사진에 척추의 골절 등으로 인하여 2개 이상의 척추분절에 골유합술을 받은 자로서 후유신경증상이 지속되는 자(고도의 기능장애)

신경학적 이상증상을 동반한 척추강직 또는 고도의 기능장애가 있는 자 : 4급113
․쇄골 및 견골의 골절 그 밖의 손상으로 인하여 두 어깨운동이 정상운동범위의 2분의 1 미만인 자
․경부운동 및 흉요부운동이 정상운동범위의 2분의 1 미만인 자
․척추가 심하게 굽어져 정상운동범위의 2분의 1 미만인 자

척추 전체가 고도로 강직되거나 굽어진 자 : 3급83
․쇄골 및 견골의 골절 그 밖의 손상으로 인하여 두 어깨운동이 정상운동범위의 3분의 1 미만인 자
․경부운동 및 흉요부운동이 정상운동범위의 3분의 1 미만인 자
․척추가 심하게 굽어져 정상운동범위의 3분의 1 미만인 자


상이등급 기준표에 의한 척추장애 경미, 경도, 중등도, 고도, 강직에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어사전,의학사전에서 낱말을 찾아봤다
경미한 : 가볍고 아주 적어서 대수롭지 아니하다.
경도(輕度) :가벼운 정도
중등도 : 중간 정도의 등급이나 수준
고도장해(high-damage) : 질병 또는 재해로 인하여 신체장해가 영구히 남아 신체의 기능을 완전 히 상실 또는 현저하게 감소한 상태를 말한다
강직(强直) : 관절을 이루는 뼈, 연골, 관절낭 따위가 뻣뻣하게 굳어져서 움직일 수 없게 된 상태

그럼 기형과 기능장애의 의미는 무엇일까?
기형(畸形/奇形) : 사물의 구조·생김새 따위가 비정상적으로 된 모양/기이하고 괴상한 모양
기능장애 : 해부학적으로는 이상이 없으나 생활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병

척추부상으로 경미한 기형이나 기능장애가 있는 자를 해석하면
척추부상으로 가볍고 아주 적어서 대수롭지 아니한 사물의 구조·생김새 따위가 비정상적으로 된 모양이나 해부학적으로는 이상이 없으나 생활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병이 있는자라고 하면 될까?

척추부상으로 인한 장애는 기형장애와 기능장애로 구분하였는데 상이등급구분표에 의한 신체부위별상이등급결정에서 아래와 같이 구분하였다

기형장애
․엑스선 사진 촬영 등의 검사에서 명백한 기형(금속물 삽입 등)이 있는 자로서 통증이나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자(경미한 기형)
․엑스선 사진에 1개 이상의 척추 골절이 인정되거나 경미한 구배 또는 측만변형이 있는 자(경도의 기형)
․엑스선 사진에 척추의 골절 등으로 인하여 15도 이상의 구배 또는 10도 이상의 측만변형이 있는 자(중등도의 기형)
․엑스선 사진에 명백한 척추의 골절등으로 인하여 35도 이상의 구배(龜背) 또는 20도 이상의 측만(側灣)변형이 있는 자(고도의 기형)

기능장애
․엑스선 사진 촬영 등의 검사에서 추체 높이 10퍼센트 이상 30퍼센트 미만의 압박골절이 있고 통증이나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자(경미한 기능장애)
․엑스선 사진에 압박골절이 추체높이 30퍼센트 이상 50퍼센트 미만의 골절, 안정방출성골절, 챤스씨골절이 인정되는 자(경도의 기능장애)
․엑스선 사진에 척추의 골절 등으로 인하여 압박골절이 추체(椎體)높이 50퍼센트 이상인 자(중등도의 기능장애)
․엑스선 사진에 척추의 골절 등으로 인하여 1개의 척추분절에 골유합술을 받은 자로서 후유신경증상이 지속되는 자(중등도의 기능장애)
․엑스선 사진에 척추의 골절 등으로 인하여 2개 이상의 척추분절에 골유합술을 받은 자로서 후유신경증상이 지속되는 자(고도의 기능장애)
․경부운동 및 흉요부운동이 정상운동범위의 2분의 1 미만인 자(고도의기능장애)


위내용을 보면 1개의 척추분절에 골유합술을 받은 자는 중등도의 기능장애로 구분하였는데 후유신경증상이 지속되는 자라야 인정한다고 한다 그러면 척추분절에 골유합술을 받고 후유신경증상이 없으면 신체부위별 상이등급결정 항목에는 적용할곳이 없다


상이등급구분표에 척추장애 경미, 경도, 중등도, 고도, 강직에 해당하는 항목을 결정해야 할것 같다

1개의 척추분절에 골유합술을 받고 운동장애는 발생시 후유신경증상이 없으면상이등급기준은 어디에 적용할까?  

2개의 척추분절에 골유합술을 받고 운동장애는 발생시 후유신경증상이 없으면 상이등급기준은 어디에 적용할까?

3개의 척추분절에 골유합술을 받고 운동장애는 발생하는데 후유신경증상이 없으면 상이등급기준은 어디에 적용할까?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개선전 규정에는
척추부상으로 중등도의 기능장애가 있는자 : 6급1항117
․엑스선 사진에 척추의 골절 등으로 인하여 1개의 척추분절에 골유합술을 받은 자
척추부상으로 고도의 기능장애가 있는자 : 5급92
․엑스선 사진에 척추의 골절 등으로 인하여 2개 이상의 척추분절에 골유합술을 받은 자

무엇을 개선하여 척추부상 등급 기준을 구체화하여 그 동안 일부 불명확한 상이등급 기준으로 인해 민원인들로부터 등급 판정의 신뢰성과 형편성 문제에 개선,보완하였는가?

1분절 또는 2분절에 골유합술은 받은자가 7급을 받는가하면 3분절 골유합술 받은자가 6급2항117을 적용받은 사례가 많다 어떤 근거로 등급을 부여했는가 의문이 생긴다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개선전에 1분절 골유합술을 받고 6급1항117을 적용받은자가 재확인신체검사를 하면 후유신경증상이 없으면 7급으로 등급하락하는가?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판정의 신뢰성과 형편성이 개선,보완된게 아니라 불명확한 상이등급기준으로 등급판정의 문제점만 만든꼴이 아닌가?  


본인의 주장

1. 노동력상실률을 신체검사규정에 적용해야한다

가. 척추 1분절에 인공디스크 치환술을 하고 운동장애만 발생하면 노동력상실이 15%로 7급802을 적용해야한다
나. 척추 1분절에 인공디스크 치환술을 하고 후유신경증상이 지속된자는 노동력상실 24%로 6급2항을 적용해야한다
다. 척추 1분절에 골유합술을 받은자는 운동장애가 영구적으로 발생하고 노동력 상실이 24%로 경도의 운동장애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6급 2항에 적용해야 한다
라. 척추 1분절에 골유합술을 받은자중 운동장애가 발생하고 후유신경이 지속된자는 6급 1항을 적용해야 한다

마. 척추 2분절이상에 골유합술을 받은자중 운동장애만 발생하면 노동력 상실률 43%로 6급1항을 적용해야한다

바. 척추 2분절이상에 골유합술을 받고 운동장애가 발생하고 후유신경증상이 지속된자는 5급 92을 적용해야한다


2.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 신체감정서는 국가유공자 신체검사에 반영하자

가. 신체검사장에서 5분이내에 등급판정하기에 신뢰성이 없다 그러므로 신체감정결과는 A.M.A 방식에의한 운동장애와 맥브라이드 방식에 의한 노동력상실률을 그대로 인정하여 등급부여를 하자


Comments

김대성 2006.08.17 17:20
김근관님의 의견에 적극 동의합니다.

지난 시절 병원에서 위문을 받았을때
경추 1개 분절 수술하고 6급 2항을 받은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 기준은 겉만 멀쩡해 보이면 모두 7급이라 하더군요. 감히 국가 권력에 대항하고 싶지는 않지만
개선된 규정이 어디에도 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당당히 국가 보훈처에 합리적인 개선을 요구합니다.
정규오 2006.09.26 21:06
저는 2분절 골유합술 받고 7급받았었습니다.
정종석 2006.10.16 18:46
저는 친구와 같이 요추 1분절 수술을 받은 후
친구는 떨어졌으며 저는 7급을 받았습니다
1년후 친구가 다시 재검을 받은 후 6급을 받았더군요^^;
어떤 의사를 만나는가에 따라 달라지는 등급, 인정 할 수 없네요
오영상 2007.05.07 22:09
뒤늦게 글 읽게되었습니다 정말 어려운말을 쉽게 정리하셨습니다 김근관선배님.... 내용중에 골유합술받고 운동장애만 있는자가 분절에 따라서 확실히 애매합니다

그리고 이번에 개선된 등급부여 기준이 현 신검의들이 함께 참여하여 기준을 정한거라고 들었습니다

아마도 김근관선배님께서 지적하신 부분은 신검의맘<<이란 뜻이 들어간다고 생각됩니다

의사들은 정해진 법에 따라서 말하는게 아니고 본인에 말 자체가 법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경미한/경도 차이가 문제입니다 분명히 같은 사람이 다른 신검의에게 신검을 받으면 틀리게 나올겁니다 같은 의사이기전에 다른 사람이니깐요....

그리고 마지막에 선배님에 주장이란 글 아주 동감합니다
선배님에 경우 국가유공자 입장에서 깨끗하고 투명한 신검을 목적으로 정리하신거고

현재 정해진 규정은 어떻게 해서든지 연금을 아껴보기 위한 규정아닐까요? 전 이렇게 생각합니다

정말 고통속에 살고있는 국가유공자 예비유공자를 위한 개선된 규정이라면 선배님말씀처럼 적용해야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6급1항에 명시된 골유합술받은 사람이 분절에 관계없이 7급이라니.... 이게 말이 됩니까?

좋습니다 한분절은 억울해도 이해한다고 치죠
그렇지만 두분절이상은 도대체 먼가요;;;

아무리 상태가 좋다고해도 한분절보단 두분절이 장애가 심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건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그렇다고 결론지어집니다

새로 수정한 규정은 연금을 줄이기위한 목적이라고 밖에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김근관 선배님께서 주장하신 몇가지 항목 아무리 읽어봐도 흠 잡을곳이 없습니다 올리신대로 적용을 한다면 정말 지금에 신검결과에 많은 사람들이 불만을 표시하는데 아마도 거진 없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혹시 있더라도 아주 작은 불만이겠죠

그리고 7급에 보면 엑스선 사진 촬영 등의 검사에서 명백한 기형(금속물 삽입 등)이 있는 자로서 통증이나 기능장애를 동반하는자 (경미한 기형)

저는 이부분에 뜻을 대충 알수있겠습니다

이런분들을 7급을 주기 위한 규정아닐까요?

골유합술받고 핀 안박은 분들이나 치환술받은분들 그리고 돌출된 디스크만 제거하고 핀으로 고정한사람들 신경휴유증상이 있든 없든 관계없이 무조건 이런사람들을 7급을 줄려고 만든 말 같습니다 정말 6급에 해당될려면 명시된 규정에 100%해당되야 가능하단 소리같습니다

50%해당되고 50%해당 안되면 바로 7급으로 밀어 버린다는 생각같습니다

그리고 규정에 없는 경우는 무조건 7급으로 밀던가 신검의에게 결정할수 있는 권한을 준거 같습니다 신검의가 저희들 편이 아닌데 그렇다면 합당한 등급을 절대 안준다는거 아니겠습니까?

제 생각에 틀린 부분이 많을수도 있겠지만요 전 이렇게 생각합니다

선배님께서 올려주신글 잘 읽고 참고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33 육군 참모총장의 답신 박경화 2004.02.17 1152 0
232 가족의 혜택-너무나 당연하다 댓글+1 신병일 2006.02.24 1152 0
231 국가유공자의 배우자 및 본인의 대학원 학비감면 절실하다 댓글+2 장정웅 2003.08.28 1150 0
230 국가유공자에 대한 버스 승차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라 ! 댓글+2 국사모 2004.08.20 1150 0
229 헌재답글입니다. 정말 비분강개 할일입니다. 백상호 2006.03.06 1147 0
228 가산점 폐지는 어쩌면 예견된 결과... 댓글+3 김도형 2006.03.01 1146 0
227 [공지] 취업을 위한 수강료지원 안내 - 보훈처 댓글+1 국사모 2007.05.25 1144 0
226 국가유공자 판정 받을 수 잇느지요? 가르쳐 주세요 댓글+2 박진숙 2006.06.30 1139 0
225 아름다운 대한민국 국가유공자와 아름다운 국가보훈처,청의 공무원분들과 아름다운 미래를 함께 하고… 댓글+2 국사모 2004.05.04 1133 0
224 가산점 폐지에 대하여.... 염승준 2006.02.24 1133 0
223 2틀만에 훈련소에서사망 유공자등록.. 댓글+6 김주희 2004.07.30 1130 0
222 국립묘지에 관한 기본법 입법예고 신현민 2005.05.05 1130 0
221 국가보훈처 취업지원 제도 개선 방안 댓글+4 박진철 2012.07.10 1128 0
220 국가유공자와 장애인의 차별? 신용보증기금의 예 댓글+1 박창영 2004.01.14 1127 0
219 공무원 유공자 지원시 상한선 30%으로 제한한다는거...절대로 바꿔지기 힘든건가요? 댓글+1 양민하 2005.11.04 1122 0
218 공용주차장??? 댓글+2 전중건 2004.07.16 1119 0
217 [설문조사결과] 국사모 게시판 글작성시 실명과 닉네임으로 남기는것에 대한 의견? (2007.1… 국사모 2007.10.29 1117 0
216 교통카드 대체안 무명무실화 되는건지... 댓글+5 윤민욱 2006.03.30 1115 0
215 호조제폐지 육은주 2007.10.22 1114 0
214 썩어 있는 제도에 대해 한마디.. 댓글+6 이재학 2001.12.25 1109 0
213 LPG 차량 청와대 질의 내용 공개 위진환 2002.09.27 1104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