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이후 국가유공자가 된 경우 이장이 가능한지

사망 이후 국가유공자가 된 경우 이장이 가능한지

보훈안내자료 FAQ(자주하는 질문)

사망 이후 국가유공자가 된 경우 이장이 가능한지

0 1,341 2020.02.13 12:13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사망 이후 국가유공자가 된 경우 이장이 가능한지


ㅁ 답변내용


● 등록신청을 하기 전에 사망하였으나, 전투 또는 이에 준하는 직무수행 또는 국가의 수호・안전보장, 국민의생명・재산보호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중 상이를 입고 그 상이정도가 국가보훈처장이 실시하는 신체검사에서 상이등급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국립묘지 이장이 가능합니다.


● 군인이나 경찰공무원으로 전투 또는 이에 준하는 직무수행 또는 국가의 수호・안전보장, 국민의 생명・재산보호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중 상이를 입고 전역한 분으로서, 우리 처에 등록신청을 하기 전에 사망하였으나 그 상이정도가 국가보훈처장이 실시하는 신체검사에서 상이등급으로 판정된 경우 에는 전상군경유족・공상군경유족에 해당됩니다.


● 국립묘지안장관리시스템 또는 국립현충원 홈페이지의 「이장신청」을 이용하여 이장 신청하시고, 심사 후 핸드폰 문자메시지 등으로 이장이 승인 통지되면 유골 봉안 등은 국립묘지와 협의하시면 됩니다.


● 제출서류


- 제적등본 또는 기본증명서, 경력증명서(경찰) 각 1부


※ 행정정보공동이용망을 통해 병적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유족이 별도로 병적증명서 제출


- 이장 당일 : 화장증명서, 개장신고필증 또는 유골반환증 1부


ㅁ 관련규정


●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5조


●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2조 및 제13조, 제19조


자료제공 : 국가보훈처 


Comment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56 의료 국민건강보험 배제신청한 국비진료대상자라도 위탁병원에서 틀니 및 임플란트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2020.02.13 2734 0
255 의료 보훈병원 진료 예약 시 진료대기 기간이 긴 데 단축 방안은 없는지 2020.02.13 2183 0
254 의료 위탁병원의 의사 자질부족 및 병원환경 미흡 등으로 교체가 가능한지 2020.02.13 1673 0
253 의료 위탁병원 입원 치료 시 거동이 불가한 환자(지속적인 치료를 요하는)의 경우에도 퇴원 권유를 받… 2020.02.13 1774 0
252 의료 보훈병원에서 진료가 어려운 고난도 질환의 진료를 위해 외부병원 전원이 가능한지 2020.02.13 1799 0
251 의료 무공수훈자 등 75세 이상 위탁병원 진료비 감면지원 시행 이후 제도를 알지 못해 진료비를 납부… 2020.02.13 2043 0
250 의료 의료급여대상인데 차량(혹은 보철용차량) 구입 시 의료급여증이 중지되는지 2020.02.13 2202 0
249 의료 5.18민주유공자의 자녀로 의료급여 지원을 받고 있는데 분가를 해도 계속 지원을 받을 수 있는… 2020.02.13 2455 0
248 의료 참전유공자 위탁병원 이용 연령을 확대할 계획이 있는지 2020.02.13 1765 0
247 의료 지정위탁병원을 전문위탁진료 병원으로 지정할 수 있는지 2020.02.13 2306 0
246 의료 의료급여 지원받던 중 진료병원을 지정하라는 안내를 받았는데 진료병원을 지정해야 하는지, 지정하… 2020.02.13 3019 0
245 의료 5·18민주화운동부상자 및 특수임무부상자로서 상이등급 미달자에게 상이처 관련 보철구를 지급할 … 2020.02.13 1924 0
244 의료 보훈병원 홍채인식 본인확인서비스란 무엇인지 2020.02.13 2039 0
243 의료 신종플루, 결핵 등 격리를 위해 상급병실 이용 시 의료비 지원이 되는지 2020.02.13 2160 0
242 의료 상완골(위팔뼈)뼈 상이처 수술로 10센티미터 흉터가 있어 반팔 등 팔을 드러내놓을 수 없는 경… 2020.02.13 1947 0
241 보훈선양 국립현충원 안장대상은 2020.02.13 1383 0
240 보훈선양 국립호국원 안장대상은 2020.02.13 1696 0
239 보훈선양 국립현충원 안장절차는 2020.02.13 1951 0
238 보훈선양 국립호국원 안장(이장)절차는 2020.02.13 2987 0
237 보훈선양 국가유공자 사망 시 묘비제작비의 지급대상과 절차는 2020.02.13 1653 0
236 보훈선양 참전유공자 등의 국립호국원 안장의 제한사유는 2020.02.13 2159 0
235 보훈선양 국립현충원 안장대상자의 배우자도 합장이 가능한지 2020.02.13 2259 0
234 보훈선양 국가유공자 사망시 영구용 태극기 지원 절차는 2020.02.13 1851 0
233 보훈선양 국립호국원에 개별안장이 가능한지 2020.02.13 1384 0
232 보훈선양 순직・공상공무원과 보국수훈자도 국립현충원 안장이 가능한지 2020.02.13 1686 0
231 보훈선양 국립현충원 안장시 개별안장이 가능한 지 2020.02.13 1165 0
230 보훈선양 국립서울현충원 내 “충혼당”의 납골 봉안 대상은 ? 2020.02.13 2108 0
229 보훈선양 20년간 복무하다 전역 후 사망한 제대군인이 현충원에 안장할 수 있는지, 복무기간에 교육기간도… 2020.02.13 2129 0
228 보훈선양 6・25전쟁에 참전한 민간인도 국립호국원에 안장될 수 있는지 2020.02.13 1176 0
열람중 보훈선양 사망 이후 국가유공자가 된 경우 이장이 가능한지 2020.02.13 1342 0
226 보훈선양 국립묘지 최대 안장기한 60년이 도래하면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처리가 되는지 2020.02.13 1726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