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공자 등 그 유족이 무료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급여증(1종) 발급 선정기준은?

국가유공자 등 그 유족이 무료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급여증(1종) 발급 선정기준은?

보훈안내자료 FAQ(자주하는 질문)

국가유공자 등 그 유족이 무료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급여증(1종) 발급 선정기준은?

0 3,394 2020.02.13 01:45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국가유공자 등 그 유족이 무료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급여증(1종) 발급 선정기준은?


ㅁ 답변내용


● 의료급여증(1종)의 발급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가유공자 및 가족으로서 보건복지부 소득재산조사를 통하여 소득인정액 기준 이하에 해당되는 경우


※ 소득인정액 기준


① 일반가구와 취약가구로 구분(이원화)


② 일반가구 :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는 기준중위소득의 80%


③ 취약가구 :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는 기준중위소득의 100%


* 18세미만, 65세 이상, 1-4급까지의 장애인, 상이 1-3급자로만 구성


④ 2019년도 소득인정액기준


(단위:원)


구 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일반가구


1,365,606


2,325,222


3,008,026


3,690,829


4,373,632


5,056,435


취약가구


1,707,008


2,906,528


3,760,032


4,613,536


5,467,040


6,320,544


※ 소득재산조사 방법


① 재산의 소득환산율 : 일반재산・금융재산・자동차는 연 4%(월 0.333%)


* 단, 공제후 금융재산 총액이 250백만원 이상일 경우 의료급여 제외


* 보철용 차량의 경우 : 1-7급까지 상이유공자가 직접 활용하는 배기량 2,000cc 미만의 승용자동차 1대는 재산산정에서 제외


* 금융재산 공제 : 2,000만원까지 공제


* 부채(우리처 대부 포함)은 재산에서 공제


② 기본재산 공제 : 대도시(13,500만원), 중소도시(8,500만원), 농어촌(7,250만원)


③ 공적소득 공제 : 간호수당, 생활조정수당


※ 발급대상 가족범위


① 생계나 주거를 같이하는 동일 주민등록상 국가유공자 및 가족


* 배우자, 직계혈족 및 형제자매, 생계를 같이하는 직계혈족의 배우자, 배우자의 직계혈족, 배우자의 형제자매 등


② 동일 주민등록이 아닌 배우자, 30세미만 미혼자녀(취업자 제외), 외국인의 경우 해당조건에 맞을 경우 발급대상 가족의 범위에 포함


* 외국인의 경우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인정범위 준용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외국인 범위 관련 법령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5조의2(외국인에 대한 특례), 동법 시행령 제4조(수급권자에 해당하는 외국인의 범위)


※ 특례사항


∙ 발급기준인 소득인정액은 초과하나 지속적으로 의료비 지출이 있어 실제 생활이 어려운 가구에 대해 국가유공자 본인 1인에 대해서만 의료급여 지원(개인 지원)


* 2015년 하반기 확인조사부터 신설


* 국가유공자 본인에 대해서만 적용(수권 유족은 적용안됨)


* 지속적 의료비 : 6개월 이상 장기치료에 지출된 의료비


* 재산・소득 조사는 가구원 전원에 대해 실시하고 의료급여는 유공자 본인만 지원


자료제공 : 국가보훈처 


Comment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추천
74 의료 주민등록상 동거하는 가족의 개인 사업이 의료급여증(1종) 탈락 사유에 포함되는지 2020.02.13 1786 0
73 의료 군복무중 입은 상이처 또는 질병을 국비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절차는 2020.02.13 1528 0
72 의료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거주지 인근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경우에 진료비를 환급받는 절차는 2020.02.13 1712 0
71 의료 「나라사랑 큰 나무」 배지 배부처는 2020.02.13 3020 0
70 의료 보훈병원 진료 예약 시 진료대기 기간이 긴 데 단축 방안은 없는지 2020.02.13 2130 0
69 의료 보훈병원 입원 치료 시 진료기간 및 비용에 제한이 있는지 2020.02.13 2468 0
68 의료 고엽제후유의증환자가 의료급여증(1종) 발급대상에 포함 되는지 2020.02.13 1584 0
67 의료 군 복무 중에 입은 상이처 또는 질병을 제대하기 전에 일반병원에서 국비진료가 가능한지 2020.02.13 1334 0
66 의료 고엽제후유의증환자는 모든 질병이 국비로 진료가 되는지 2020.02.13 1952 0
65 의료 독립유공자 포상 신청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2020.02.13 1880 0
64 의료 국민건강보험 배제신청한 국비진료대상자라도 위탁병원에서 틀니 및 임플란트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2020.02.13 2684 0
63 의료 위탁병원 지원대상자의 국비(감면)지원 범위는(급여항목 중 전액 본인부담금 지원 여부) 2020.02.13 1782 0
62 의료 의료급여증(1종) 탈락 사유에 결혼이 포함되는지 2020.02.13 1385 0
61 의료 국비진료대상자에게 간병인이 국비로 지원 되는지 2020.02.13 2491 0
60 의료 국가유공자 또는 유족이 교통사고로 인한 후유증을 치료 할 경우에 진료비 지원이 가능한지? 2020.02.13 1272 0
59 의료 독립유공자 국립현충원으로 이장 절차는 2020.02.13 2112 0
58 의료 위탁병언에서 받은 진료의뢰서로 국가보훈처 지원외의 병원에 입원(치료)할 경우 지원이 되는지 2020.02.13 2153 0
57 의료 독립유공자·국가유공자의 유족이 위탁병원에서 감면진료를 받을 수 있는지 2020.02.13 2453 0
56 의료 의료급여증(1종) 발급자는 1차, 2차, 3차 진료기관에서 순차적으로 진료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2020.02.13 2053 0
55 의료 국가유공자 유족 및 가족 등에 대한 의료지원은 무엇인지 2020.02.13 1888 0
54 의료 감면대상자가 보훈병원에서 감면받는 내역이 어떻게 되는지 2020.02.13 1312 0
53 의료 상완골(위팔뼈)뼈 상이처 수술로 10센티미터 흉터가 있어 반팔 등 팔을 드러내놓을 수 없는 경… 2020.02.13 1903 0
52 의료 국가유공자와 동거한 자부일 경우 감면진료대상이 되는지 2020.02.13 1913 0
51 의료 강원·제주·도서지역 거주 국가유공자 가족이 위탁병원에서 진료비 감면이 되는지 2020.02.13 2418 0
50 의료 위탁병원에서 국가유공자 확인이 안 될 경우 어떤 절차를 거쳐 진료를 받아야 하는 지 2020.02.13 1420 0
49 의료 참전유공자가 감면을 받을 수 있는 일반병원은 어느 병원인지 2020.02.13 1338 0
48 의료 참전유공자의 유족 또는 가족에 대한 의료지원은 2020.02.13 1489 0
47 의료 신종플루, 결핵 등 격리를 위해 상급병실 이용 시 의료비 지원이 되는지 2020.02.13 2119 0
46 의료 보훈병원의 상급병실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2020.02.13 3016 0
45 의료 2012년 7월 보훈체계 개편에 따른 국가유공자·보훈보상대상자의 의료지원 정책은 2020.02.13 1512 0
44 의료 5·18민주화유공자 및 그 유가족에 대한 의료지원은 2020.02.13 1360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