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주택 전세·매입임대주택에 입주하는 대상 및 절차는

기존주택 전세·매입임대주택에 입주하는 대상 및 절차는

보훈안내자료 FAQ(자주하는 질문)

기존주택 전세·매입임대주택에 입주하는 대상 및 절차는

0 2,539 2020.02.13 15:39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기존주택 전세·매입임대주택에 입주하는 대상 및 절차는

 

ㅁ 답변내용

 

● 기존주택 전세・매입임대주택 입주대상은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이며 (‘19년 기준 3인가구 3,781,270원) 총자산 19,600만원 이하, 자동차 2,499만원 이하(‘19년 기준)이고 전체공급량의 2% 범위 내에서 우선공급으로 지원됩니다.

 

● 시행처의 물량공급계획에 따라 주택 우선공급 우선순위부에 의거 희망자 선정하여 지원기준 해당자를 공공주택사업자(LH 등)에게 통보합니다.

 

※ 추천순위 : 영구임대아파트 신청자 → 임대신청자 → 수시신청자

 

● 신청절차

 

- 전세임대

연초 영구임대

아파트로 접수

<보훈처>

무주택 여부 확인 후 희망자 명단

확정・통보

<보훈처 →

공공주택사업자>

입주자 자격 검색 및 선정 통보

<공공주택사업자>

입주대상자에

주택물색 안내

<공공주택사업자>

 

 

 

 

 

 

 

입주희망주택

물색・결정

<입주대상자>

전세가능

여부 검토

<공공주택사업자>

전세계약 체결

<공공주택사업자⇔임대인>

⇘ 임대차계약체결

입주자

입주

<입주자>

 

- 매입임대

연초 영구임대

아파트로 접수

<보훈처>

무주택 및 선정자격 소득 조사 후 희망자 명단 확정・통보

<보훈처 →

공공주택사업자>

입주자 자격

검색 및

선정 통보

<공공주택사업자>

임대차계약

<공공주택사업자

⇔입주자>

입주<입주자>

 

● 세부운용기준

 

가. 신청자격

 

∙ 사업대상지역에 거주하는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이며 총자산이 19,600만원 이하, 자동차 2,499만원 이하인 자


<2018년 도시근로자 가구 월평균 소득액의 70%>

(금액 : 원/월)

3인 이하

4인

5인

6인

3,781,270

4,315,641

4,689,906

5,144,223


∙ ’19년도 주택우선공급 신청계획 등에 따른 신청자격요건 해당자

 

나. 시행처 : LH공사, SH공사, 각 지역 지방공사

 

다. 우선공급 물량확보 및 배정 : 공급량의 2%

 

∙ 물량확보 : 연초 LH 및 지방도시공사에 일괄 요청

 

∙ 물량배정

 

▪ 전세임대 : 지역별(시, 군, 구)로 배정

 

▪ 매입임대 : 지역별(시, 군, 구)・유형별(전용면적)로 배정

 

라. 대상주택

 

∙ 전세임대 : 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아파트・오피스텔* 중 국민주택규모(전용면적 85㎡)이하 전세주택 또는 부분전세주택(1인 가구의 경우 전용면적 50㎡이하 주택으로 제한)

 

  * 바닥난방, 취사시설, 화장실을 구비하여 주거용으로 이용하는 경우

 

∙ 매입임대 : 다가구주택, 다중주택,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아파트

 

마. 임대조건

 

∙ 전세임대

 

▪ 임대보증금 : 지원한도액 범위 내 전세지원금의 5%

 

▪ 월임대료 : 전세지원금 중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금액에 대한 연 1~2% 이자해당액

 

▪전세금 지원한도액

 

- 수도권 9,000만원, 광역시 7,000만원, 그 밖의 지역은 6,000만원

 

  ※ 지원한도액을 초과하는 전세주택은 초과하는 전세금액을 입주자가 부담할 경우 지원 가능단, 전세금은 호당 지원한도액의 250%이내로 제한하되 가구원의 수가 5인 이상시 예외 인정 가능

 

∙ 매입임대

 

▪ 시세의 30% 수준

 

바. 임대기간

 

∙ 최초 임대기간은 2년으로 하되, 9회 재계약(2년 단위) 가능(최장 20년 거주)

 

  ※ 재계약시점에 시행되는 기존주택 전세・매입임대 입주자격을 충족하는 자에 한함.

 

ㅁ 관련규정

● 「기존주택매입임대업무처리지침」 제9조제4항

● 「기존주택전세임대업무처리지침」 제7조제4항

●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 업무처리지침」 제15조제2항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68조

● 「5・18민주유공자예우 관한 법률」 제60조

● 「특수임무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제75조

● 「참전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제3조

 

자료제공 : 국가보훈처


Comment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추천
68 대부 군인연금 등 다른 법령에 의하여 지급되는 연금을 담보로 대부가 가능한지 2020.02.12 1454 0
67 대부 보훈처의 대부금이 아닌 자부담금 또는 금융기관의 대부금으로 취득한 주택에 대하여도 지방세가 감… 2020.02.12 1022 0
66 대부 아파트 지원 우선순위부는 어떤 기준으로 작성하는지 2020.02.12 1039 0
65 대부 보훈처 대부이율의 인하 요구 2020.02.12 941 0
64 대부 신용관리대상자도 보훈처의 대부금을 받을 수 있는지 2020.02.12 1587 0
63 대부 무주택 국가유공자로서 주민등록표상 동거인으로 되어 있는 경우 주택 우선 공급이 가능한지 2020.02.12 2407 0
62 대부 대부원리금 상환을 연장하려고 하는데 사유 및 절차는 2020.02.12 1045 0
61 대부 연초 주택 우선 공급 신청서 접수 시, 반드시 전년도말 현재 무주텍세대주여야 하는지? 2020.02.12 1176 0
60 대부 우선공급 받은 임대아파트의 분양전환을 포기하고 주택 우선 공급(분양)을 받을 수 있는지 2020.02.12 951 0
59 대부 수권자가 아닌 국가유공자의 가족 명의로 주택 우선 공급이 가능한지 2020.02.12 1425 0
58 대부 주택구입 및 주택임차대부 지원대상자는 2020.02.12 1173 0
57 대부 [대부] 2021년도 보훈대부업무 시행지침(주택, 대부) 2021.03.28 2356 0
56 대부 대부원리금을 인터넷상에서 납부하는 방법은 2020.02.12 1279 0
55 대부 대부금으로 취득하는 부동산을 부부공동명의로 등기가 가능한지 2020.02.12 1138 0
54 대부 농토구입대부 지원대상자는 2020.02.12 1077 0
53 대부 20년 이상 경과한 주택 소유자가 주택 우선 공급 대상에 포함되는지 2020.02.12 1117 0
52 대부 사업(창업)대부 지원대상은 2020.02.12 1084 0
51 대부 당해 연도에 주택을 우선 공급하는 지역, 평형별, 공급가구수 등 정보를 알 수 있는지 2020.02.12 1256 0
50 대부 주택개량대부 지원조건(한도액, 상환조건, 담보조건)은 2020.02.13 1836 0
49 대부 아파트 중도금 납부를 위하여 주택구입(아파트 분양)대부를 받을 경우 대부금액은 누구에게 지급되… 2020.02.12 2477 0
48 대부 보훈처에서 대부를 받고 현재 남아있는 원금이 얼마인지 알려면 인터넷에서 확인할 수 있는지 2020.02.12 877 0
47 대부 대부금으로 취득한 대부재산에 대한 세제 감면혜택 내용은 2020.02.12 1331 0
46 대부 주택 우선 공급 대상자로 선정되어 건설업체에 통보되었으나 계약을 하지 않을 경우에 재신청 하는… 2020.02.12 869 0
45 대부 부동산 담보 및 연대보증인 입보에 대하여 2020.02.12 1587 0
44 대부 국민임대아파트도 국가유공자 및 유족이 우선 입주할 수 있는지 2020.02.12 4504 0
열람중 대부 기존주택 전세·매입임대주택에 입주하는 대상 및 절차는 2020.02.13 2540 0
42 대부 일반분양을 받아 분양권을 확보한 상태에서 주택 우선 공급 신청이 가능한지 2020.02.12 1463 0
41 대부 타인소유의 토지에 건축한 주택을 소유한 경우에 주택 철거시 주택 우선 공급이 가능한지 2020.02.12 1071 0
40 대부 대부금을 상환하는 방법 및 절차는? 2020.02.12 1115 0
39 대부 참전유공자(가족)가 주택 우선 공급을 받을 수 있는지 2020.02.12 1373 0
38 대부 거주지 이외의 지역에 건설하는 주택의 우선 공급을 받을 수 있는지 2020.02.12 1000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